[include(틀:신오지방)] [include(틀:신오지방 지도)] ||<-4><:> {{{+3 {{{#000,#fff '''들판시티'''}}} }}} [br] {{{#000,#fff '''ノモセシティ''' ''Pastoria City''}}}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들판시티/Pastoria_City_Pt.png|width=100%]] [[파일:IMG_20211129_072344.jpg|width=100%]]}}} || ||<#99ffcc,#3d6651><-4> '''지도 설명''' || ||<-4> ''원래 이 땅에 펼쳐져 있었던 대습초원을 보호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마을'' || ||<#99ffcc,#3d6651><-4> '''표어''' || ||<-4> ''대습초원과 사는 마을'' || ||<#99ffcc,#3d6651><-4> '''위치'''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nnoh_Pastoria_City_Map.png]]}}} || ||<#99ffcc,#3d6651><-4> '''인접 지역''' || ||<#ccffff,#516666> 북쪽 ↑ ||<-3> [[사파리존#s-5|대습초원]] || ||<#ccffff,#516666> 서쪽 ← ||<-3> [[212번도로]]([[연고시티]] 방향) || ||<#ccffff,#516666> 동쪽 → ||<-3> [[213번도로]]([[입지호수 근처]], [[장막시티]], [[물가시티]] 방향) || ||<#99ffcc,#3d6651><-4> '''BGM''' || ||<-4><:>{{{#!HTML}}}|| ||<|2><-2> '''DP 디아루가·펄기아·Pt 기라티나[br]{{{-2 (낮)}}}''' || 작곡가 || 편곡가 || || [[이치노세 고]] || [[이치노세 고]] || ||<-4><:>{{{#!HTML}}}|| ||<|2><-2> '''DP 디아루가·펄기아·Pt 기라티나[br]{{{-2 (밤)}}}''' || 작곡가 || 편곡가 || || [[이치노세 고]] || [[이치노세 고]] || ||<-4><:>{{{#!HTML}}}|| ||<|2><-2>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br]{{{-2 (낮)}}}''' || 작곡가 || 편곡가 || || [[이치노세 고]] || [[카게야마 쇼타]] || ||<-4><:>{{{#!HTML}}}|| ||<|2><-2>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br]{{{-2 (밤)}}}''' || 작곡가 || 편곡가 || || [[이치노세 고]] || [[카게야마 쇼타]] || [목차] == 개요 == 대초원의 마을. 평탄한 지형에 점점이 민가가 흩어져 있다. 습지인지라 도시의 4분의 1이 수몰되어 있다. 모티브는 [[쿠시로]]. 실제로 쿠시로 인근에는 국립공원까지 지정된 대규모 습지인 [[쿠시로 습원 국립공원|쿠시로 습원]]이 있다. == 시설 == * [[대습초원]] 광대한 습지로 사실상 신오지방 [[사파리존]]. 여기에선 전작까지 사파리 영역과 마찬가지로 제한 시간 내에 포켓몬을 가지고 마음껏 잡을 수 있는 게임이 있다. 면적이 매우 넓으므로, 열차를 이용해 신속하게 목적지까지 갈 수 있다. 전작과는 달리 출현하는 포켓몬의 변화 때문에 게이트에 있는 망원경으로 나오는 포켓몬을 확인할 수 있다. 신오지방에선 매우 드문 [[메가자리|왕자리]]와 [[샤크니아|샤프니아]] 같은 포켓몬이 나온다. 대습초원에 서식하는 [[독개굴|삐딱구리]]가 마스코트이므로, 포켓몬센터 옆엔 삐딱구리 사진스팟도 놓여있다.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Pt]]에선 삐딱구리의 얼굴을 끼우는 사진관도 있고, 대습초원의 망원경으로 보면 때때로 '''진짜 삐딱구리'''가 위치한다. 거기다 프렌들리숍에는 삐딱구리 동상이 있다.[* 이 삐딱구리 동상은 소드실드의 라이벌 호브의 방에도 위치하며 4세대 리메이크 떡밥으로 여겨지기도 했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삐딱구리 축제까지 열린다. * [[들판체육관]] [[체육관 관장]]은 물 포켓몬을 사용하는 슈퍼 맥시멈 가면 [[맥실러]]. 체육관 내부는 물에 잠겨있고 스위치를 눌러 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새로운 길을 여는 방식이다. == 스토리 == 들판체육관에 진입하기 전에, 라이벌(용식)이 배틀을 걸어온다. DP에서는 3차전, Pt에서는 4차전이다. 때문에 체육관 진입전에 포켓몬센터를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들판체육관 배지 획득 후 갤럭시단이 갤럭시폭탄을 확보해 주인공이 그를 쫓아 [[입지호수 근처]]까지 간다. Pt 버전에선 핸섬이 뒷북으로 쫓아온다. == 기타 == 삐딱구리의 얼굴을 끼우는 사진관에 가끔 얼굴을 대 보면 진짜 삐딱구리가 나와서 한번 울고 가는 [[이스터 에그]]가 Pt 버전에 있다. 사파리존이 있다는 것과 갈 수 있는 두 갈래의 길, 그리고 신오지방의 남쪽에 있다는 점, 같은 BGM을 쓴다는 것과 Pt 한정으로 다섯번째 체육관이 있다는 점은 관동지방의 [[연분홍시티]]와 유사하다. [[신수마을]]과 BGM을 공유한다. 사실 이 도시엔 [[포켓몬저택]]에 맞먹는 엄청난 수수께끼가 하나 있다. 도시 동쪽에 한 물가에서 파도타기를 써서 나아가다 보면 경계가 있는데, 이 경계 지역에 '''정체를 알 수 없는 유람선'''이 있다. 이게 도대체 무엇이고 왜 있는지는 작중에선 알 수 없다. 게다가 게임 내에서 쓰이지 않은 [[더미 데이터]] 중 '''승선티켓'''이 있는데, 일단 설명은 [[상트안느호]]의 티켓이라 적혀 있지만 사실 이 유람선의 승선티켓이 아니냐는 추측과 신오지방에서는 보기 힘든 다른 지방의 포켓몬을 유람선으로 데려와 대습초원에 방생한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또다른 추측으로는 초기 단계에는 신오쪽 체육관을 다 돌면 이곳을 통해서 타 지방으로 갈 수 있게끔 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프렌들리숍의 1시쪽에 있는 민가에서는 [[하트비늘]]을 받고 기술을 되살려주는 npc가 있으며,[* BDSP에서는 어느정도 횟수를 넘어서면 덕분에 하트비늘을 많이 모았다며 이후부터는 무료로 기술을 되살려준다.] 9시 민가의 npc는 하루에 한번 타입반감열매를 준다. 이곳의 민가에서 특정 포켓몬의 콘테스트 치수가 최대일 경우 콘테스트 비주얼 심사 버프를 해주는 밴드를 준다. [[분류:포켓몬스터/지역/신오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