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소행성]] ||<:><-2> '''{{{#white 65803 디디모스}}}'''|| ||<:> '''구분'''||[[아폴로(소행성)|아폴로]] 소행성군 · [[근지구천체]] || ||<:> '''직경'''||0.78(±0.03) km|| ||<:> '''크기'''||0.797(±6%)×0.783(±6%)×0.761(±10%) km|| ||<:> '''궤도 장반경'''||1.644324 천문단위(AU)|| ||<:> '''원일점'''||2.275618 천문단위(AU)|| ||<:> '''근일점'''||1.013030 천문단위(AU)|| ||<:> '''궤도 경사각'''||3.407877°|| ||<:> '''이심률'''||0.38392332|| ||<:> '''승교점 경도'''||73.1933°|| ||<:> '''근점 편각'''||319.3189°|| ||<:> '''평균 근점 이각'''||325.5199°|| ||<:> '''공전 주기'''||770.1575일(2.109년)|| ||<:> '''자전 주기'''||2.2593(±0.0002)시간|| ||<:> '''지구 최대 접근 거리'''||6,097,680 km (0.0406512 AU)|| ||<:> '''절대 등급'''||18.26|| ||<:> '''위성'''||디모르포스|| ||
[[파일:디디모스+디모르포스.png|width=100%]] || || '''{{{#white 디디모스와 위성 디모르포스}}}''' || ||
[[파일:디디모스1.png|width=100%]] || || '''{{{#white 디디모스의 궤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1 65803 Didymos / 1996 GT}}} [[1996년]] [[4월 11일]]에 발견된 [[아폴로(소행성)|아폴로]] 계열 소행성. 지구 근처를 가깝게 지나는 궤도로 인해 [[근지구천체]]이자 지구위협천체(PHO)로 분류되어 감시되고 있는 소행성이다. 그 직경은 0.78km로 대략 [[63빌딩]] 3개를 쌓아 놓은 것과 길이가 비슷하다. 2.26시간의 빠른 자전 주기로 인해 적도가 부푼 [[회전타원체]] 형태를 하고 있다. 소행성으로서는 드물게 주위를 도는 [[위성]]을 가지고 있다. 이 위성은 [[2003년]]에 발견되어 '디모르포스'(Dimorphos)로 명명됐고, 모천체의 이름이 [[그리스어]]로 '쌍둥이'라는 뜻인 '디디모스'가 되는 것에도 영향을 끼쳤다. 위성의 지름은 약 170m이고 대략 11.93시간마다 디디모스 주위를 한 바퀴 공전한다. 둘의 질량 차이는 약 100배 정도로 추정된다. [[NASA]]의 [[이중 소행성 궤도 변경 시험|DART]] 미션이 바로 이 디디모스계에 접근하여 위성 디모르포스에 우주선을 충돌시키고 궤도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한국 표준시 기준으로 [[2022년]] [[9월 27일]] 오전 8시 15분, 마침내 DART 우주선이 디모르포스에 정확히 충돌하였다. 스페인 알리칸테 대학의 나이르 그로골로(Nair Trógolo, Instituto de Física Aplicada a las Ciencias y la Tecnología, Universidad de Alicante, Spain)가 이끄는 연구팀은 디디모스의 표면에 있는 암석들이 너무 빠른 자전 속도로 인해 우주로 빠져나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https://phys.org/news/2023-03-didymos-quickly-detaching-equator-orbit.html|#]] == 탐사 == 규모가 작은 궤도 시스템을 지구 근처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례이기 때문에 소행성 탐사의 유행과 맞물려 탐사 시도가 잦아졌다. === [[이중 소행성 궤도 변경 시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중 소행성 궤도 변경 시험)] ||
[[파일:Dimorphos.jpg|width=100%]] || || '''{{{#white 충돌 30초 전의 DART 우주선이 촬영한 위성 디모르포스}}}''' || [[이중 소행성 궤도 변경 시험|DART]](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프로젝트는 우주선을 소행성에 6.6 km/s의 속도로 충돌시켜 궤도를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인류가 지구위협천체들로부터 지구를 방어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 프로젝트의 타격 목표물로 디디모스의 위성인 디모르포스가 결정되었다. DART 우주선은 [[2021년]] [[11월 24일]]에 발사되었고, 약 10개월이 지난 2022년에 예상시간에 맞춰 9월 27일 오전 8시 15분에 디모르포스로 충돌하였다. 충돌 과정은 NASA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생중계되었다. 충돌을 위해 디모르포스에 다가간 우주선이 충돌 직전까지 디모르포스의 사진을 촬영해 보내오면서 인류는 디모르포스의 표면 근접샷까지 관찰할 수 있었다. 충돌 직후의 상황이 이탈리아 우주국의 큐브샛인 '리시아 큐브'를 통해 지구로 전송되었지만 궤도가 실제로 변화한 여부는 지상에서의 여러 관측 설비와 [[허블 우주 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등을 통해 충분한 관측을 거친 뒤 [[10월 11일]]에 발표되었다. 관측 결과 디모르포스의 공전 주기는 기존의 11시간 55분에서 11시간 23분으로 32분 정도 단축되었다. 이는 성공 기준인 73초의 '''26배''', 당초 추정됐던 값인 10분의 3배 이상에 달하여 DART 프로젝트의 성공을 1차 입증하였다.[[https://m.yna.co.kr/view/AKR20221012006351075?section=international/all|#]] [[ESA]]와 NASA는 이후 [[2024년]]에 시작될 헤라(Hera) 미션을 통해 DART의 더 정확한 결과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이 미션에 대해 트위터에선 [[공룡]] 드립이 제법 나왔다. [[K-Pg 대멸종|공룡이 멸종한]] 원인 중 가장 유력한 원인이 소행성 충돌설이기 때문이다.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2/sep/28/this-ones-for-the-dinosaurs-how-the-world-reacted-to-nasas-asteroid-smashing-success|#]] == 관련 문서 == * [[근지구천체]] * [[이중 소행성 궤도 변경 시험|DART]] * [[2022 EB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