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디지몬 애니메이션 시리즈)] [목차] == 개요 == [[토에이 애니메이션]]이 제작을 맡아 [[후지 테레비]] 일요일 아침 9시에 [[1999년]] [[디지몬 어드벤처]]를 시작으로 [[2000년]] [[디지몬 어드벤처 02]], [[2001년]] [[디지몬 테이머즈]], [[2002년]] [[디지몬 프론티어]]까지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처럼 작품이 종영하면 후속작을 냈었지만 디지몬 프론티어가 일본에서 부진하는 바람에 4년간 디지몬 TVA 시리즈가 제작되지 못하였고[* 이 시기 해당 시간대에는 [[금색의 갓슈벨]]이 방영됐다.] 그 사이 [[2005년]]에는 원래 제작 발표 당시 극장용 영화로 공개됐던 [[디지몬 제볼루션]]을 [[후지 TV]]에서 TV 스페셜로 방영하는데 그쳤다. 그리고 마침내 [[2006년]] [[디지몬 세이버즈]]가 방영. 그러나 TVA의 시청률 등 대중적인 반응은 어느정도 나왔던 반면[* 다만 이는 뒷 시간대인 9시 30분에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가 편성된 영향도 있다.] 관련 상품 판매에서 참패를 겪게 되며 TVA 시리즈는 물론, 디지몬 시리즈 자체에 빙하기가 찾아왔다.[* 이후 2020년 [[디지몬 어드벤처:]]를 방영할 때 까지 [[후지TV]] 일요일 오전 9시에는 [[게게게의 키타로(애니메이션 5기)|게게게의 키타로 5기]], [[드래곤볼 카이]], [[토리코(TVA)|토리코]], [[드래곤볼 카이]] 마인부우 편, [[드래곤볼 슈퍼(애니메이션)|드래곤볼 슈퍼]], [[게게게의 키타로(애니메이션 6기)|게게게의 키타로 6기]] 순으로 방영되었다.] [[2010년]] 방송사와 시간대를 바꾼채 [[디지몬 크로스워즈]]를 방영하며 부활. 초반 시청률은 좋았으나 후속파트인 디지몬 헌터 부문에서 다시 침체를 겪게 되어 이번에는 6년간 또 제작이 되지 않았다. [[2015년]] [[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 3번째작인 [[디지몬 어드벤처 tri.]]는 극장용 작품이었는데 후기 시리즈로 가면서 각종 문제점이 드라나 작품의 완성도 하락으로 이어지는 바람에 결국 실패한 추억마케팅이 되었다. [[2016년]] [[디지몬 유니버스 어플리 몬스터즈]]가 뛰어난 완성도로 눈길을 끌었으나, 기획 도중에 겹쳐진 [[어른의 사정|여러 사정]]과 관련 상품 판매의 부진 속에 막을 내렸다. [[2020년]] [[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의 리부트 작인 [[디지몬 어드벤처:]]가 방영 되었다. 스토리가 좀 안좋긴 했으나 상품판매가 좋았던지 [[2021년]] [[디지몬 고스트 게임]]이라는 후속작을 냈다. 디지몬 시리즈 [[극장판]]은 [[대한민국]]에 제대로 나오지 못하다가, [[2020년]] [[6월 25일]] [[얼리버드픽쳐스]]에서 뜬금없이 [[운명적인 만남]]부터 [[디지몬 세이버즈 더 무비 궁극파워! 버스트 모드 발동!!]]까지 전 편을 [[네이버 영화]]([[네이버 시리즈]])를 통해 대여 형식으로 재수입했다. [[더빙]] 버전은 아니고 전편 [[일본]]판 [[자막]] 버전이다. [[얼리버드픽쳐스]] 재수입의 의의는 특이한 곳에서 하나 나왔다. 디지몬 극장판 시리즈들은 옛날에 나와서 [[포스터]]들이 잡티가 많고 저화질인데, 얼리버드픽쳐스에서 '''처음부터 포스터를 다시 만들어서''' 고화질 포스터들이 찍혀나왔다. [[미국]], [[일본]], [[대만]] 등에 있는 모든 구버전 극장판 포스터들은 전부 다 [[화질구지]]인데, 얼리버드픽쳐스에서 포스터'''만''' 신경쓴 듯 하다. 포스터 신경쓸 김에 [[더빙]]까지 신경써서 내놨으면 어떠냐는 반응도 있다. == 목록 == * '''[[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디지몬 어드벤처 세계관]]''' * [[디지몬 어드벤처]] (1999~2000) * [[디지몬 어드벤처 극장판|프롤로그]] - 국내 방영 * [[우리들의 워 게임!]] - 국내 방영 * [[파워 디지몬]] (2000~2001) * [[디지몬 허리케인 상륙!! 초절진화!! 황금의 디지멘탈|황금의 디지멘탈]] - 국내 방영 * [[디아블로몬의 역습]] - 국내 방영 * [[디지몬 어드벤처 tri.]] (2015~2018) *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키즈나|라스트 에볼루션]] (2020) - 국내 방영 * [[디지몬 어드벤처 02 THE BEGINNING]] (2022) * '''기타 세계관''' * [[디지몬 테이머즈]] (2001~2002) * [[디지몬 테이머즈 모험자들의 싸움|모험자들의 싸움]] - 국내 방영 * [[폭주 디지몬 특급]] - 국내 방영 * [[디지몬 프론티어]] (2002~2003) * [[고대 디지몬 부활]] - 국내 방영 * [[디지몬 제볼루션]] (2005) * [[디지몬 세이버즈]] (2006~2007) - 국내 방영 * [[디지몬 세이버즈 더 무비 궁극파워! 버스트 모드 발동!!|궁극파워! 비스트 모드 발동!!]] - 국내 방영[* 극장판 상영 이벤트인 토에이 아니메페어의 축소로 극장판은 20분 분량의 단편만 제작.] * [[디지몬 세이버즈 3D 디지털 월드 위기일발!|디지몬 세계 위기일발!]][br] * [[디지몬 크로스워즈]] (2010~2012) - 국내 방영[* 이 시기 토에이 아니메페어가 폐지, 디지몬 시리즈 역시 토에이 TVA의 메인 프랜차이즈가 아니었기에 극장판이 제작되지 않았다. 그 대신 팬서비스 격으로 [[시간을 달리는 소년헌터들]]이 방영.] * [[어플몬스터]] (2016~2017) - 국내 방영 * [[디지몬 어드벤처:]] (2020~2021)- 국내 방영 * [[디지몬 고스트 게임]] (2021~) - 국내 방영 === 드라마 C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지몬 시리즈/드라마 CD)] == 국내 방영 == [[한국]]에서는 처음 [[디지몬 어드벤처]]가 2000년 11월 7일부터 [[KBS2]]를 통해 방송되어 [[일본]]과 마찬가지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일본도 상당한 인기였지만, 한국에서의 인기는 정말 '''엄청났다.''' 당장 디지몬이 방영하던 때에 디지몬을 보지 않고 다른 작품을 보는 아이들도 꽤나 많았던 일본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디지몬을 보지 않았던 아이들이 별로 없었을 정도다. 디지몬이 시작하기 5분전부터 놀이터에는 아이들이 사라지고 절대 침묵의 고요함만이 남았던 나라가 바로 한국이니...] 또한, [[디지몬]]들이 진화할 때 배경에 튀어나오는 일본어들이 지적을 받아서인지 방송했을 때 '''그 글자들을 모두 수정하였다.''' 지금 생각해보면 엄청난 작업. [[파워 디지몬]]은 디지몬 어드벤처가 종영된 그 날에 방송되어 두 개의 에피소드(15화, 33화)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 방영되었다. [[디지몬 테이머즈|테이머즈]]도 방송될 예정이었는데 작중 [[은세나]]의 집과 [[구미호몬]]의 [[왜색]], [[데리파]]의 [[촉수]] 공격에 대한 선정성 때문에 무산될 위기의 처했으나 다행히 왜색이 강하지 않다는 점, 선정적인 공격이라고 보기엔 어렵다는 점이라는 결론이 나와 한개의 에피소드를 제외하고 무사히 방영되었고 이후 디지몬 시리즈의 인기가 하락하자 [[KBS]]는 이 작품을 끝으로 더 이상 디지몬을 수입하지 않게 되었다. KBS판 디지몬 시리즈의 특징은 가위질을 밥먹듯이 하는 KBS임에도 도저히 넘어갈 수 없는 왜색이 있는 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편집 없이 온전하게 방영되었다는 것이다. 해당 PD가 신경 좀 많이 쓴 듯. KBS 방영된 모든 시리즈(어드벤처, 02, 테이머즈)의 연출은 [[이원희(PD)|이원희]]가 맡았다. [[디지몬 프론티어|프론티어]]부터는 [[대원방송]]이 수입해 방송하고 있었다.[* [[대원미디어]]는 디지몬 시리즈의 제작사인 [[토에이 애니메이션]]과 [[반다이]] 계열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2008년 국내 이후 [[포켓몬스터]]의 방영권이 포켓몬 코리아로 넘어간 이후 대원은 디지몬의 국내 방영권을 소유하고 있다.] [[디지몬 세이버즈|세이버즈]]는 전작 프론티어의 완구 판매 부진 때문이라서 그런지 일본 방영 이후 3년뒤에 방송.[* 게다가 세이버즈는 본토에서도 크게 부진한 것도 한 몫 한다.] 2012년 5월 7일부터는 [[디지몬 크로스워즈]]가 방송했으며, 이후 2022년 3월 21일부터는 [[디지몬 어드벤처:]]가 방송되었다. [[어플몬스터]]와 [[고스트 게임: 디지몬]]이 [[재능방송]]에서 2019년 1월과 2022년 8월 2일부터 방송되었다. 어드벤처부터 프론티어까지의 극장판은 [[투니버스]]에서 방영하였으며, 연출은 모두 [[김이경(PD)|김이경]] PD가 맡았다. 이후 세이버즈는 1편만 대원방송에서 방영하였다. 이후 나온 극장판인 [[디지몬 어드벤처 tri.]](자막판)와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은 [[얼리버드픽쳐스]]에서 수입하였다. [[오프닝]]은 프론티어까진 직접 작곡하여 사용했으나 예외적으로 투니버스가 방송해 준 극장판의 경우 원판의 오프닝을 번안해서 사용했다. * [[디지몬 어드벤처]] - 국내 방영 * [[파워 디지몬]] - 국내 방영 * [[디지몬 테이머즈]] - 국내 방영 * [[디지몬 프론티어]] - 국내 방영 * [[디지몬 세이버즈]] - 국내 방영 * [[디지몬 크로스워즈]] - 국내 방영 * [[어플몬스터]] - 국내 방영 * [[디지몬 어드벤처:]] - 국내 방영 * [[고스트 게임: 디지몬]]-국내 방영 대원미디어와 관계가 밀접한 덕인지 관련 도서는 [[대원씨아이]]가 출판하며, 비디오테이프는 챔프영상에서 냈다. === 국내판 성우 === * '''굵은 글씨'''는 주역 인물&디지몬으로 출연했던 성우. 극장판 한정 대타는 제외한다. * __밑줄__은 적으로 출연했던 성우. (나중에 아군이 되는 역과 중복 캐스팅도 포함. 단, 일회용 악역 인물&디지몬 출연자는 배역이 중복되지 않는 경우에 한함.) ||<:> '''극회''' ||<:> '''명단''' || || [[KBS 성우극회]][* 극회 내 최고참은 [[유강진]].] ||__[[강수진(KBS 성우)|강수진]]__, [[김경수(성우)|김경수]], [[김관진(성우)|김관진]], '''[[김자연]]''', [[김옥경]], '''[[김은아(KBS 성우)|김은아]]''', '''[[김정애]]''', [[남도형]], [[노민]], [[류다무현]], '''[[문선희]]''', [[박영재(성우)|박영재]], [[박주광]], [[박하진(성우)|박하진]], '''[[배정미]]''', __[[변영희]]__, '''[[사문영]]''', [[석승훈]], __[[성완경]]__, '''[[손정아]]''', [[송덕희]], [[심승한]], __'''[[안경진]]'''__, [[안소이]], '''[[양석정]]''', [[양정애]], [[오인성]], [[온영삼]], [[유강진]], [[유동균(성우)|유동균]], '''[[유지영]]''', '''[[은영선]]''', '''[[이선(성우)|이선]]''', [[이원준(성우)|이원준]], [[이장원(성우)|이장원]], [[이주원(성우)|이주원]], '''[[임미진]]''', [[임진응]], [[임채헌]], [[장광]], [[장민혁]], [[전인배]], '''[[정미숙]]''', [[정훈석]], [[조영호]], '''[[조진숙]]''', '''[[차명화(성우)|차명화]]''', '''[[한인숙]]''', __'''[[함수정]]'''__, [[홍승섭]], '''[[홍시호]]''', [[홍진욱]] || || [[MBC 성우극회]][* 극회 내 최고참은 [[박기량(성우)|박기량]].] ||[[김서영(성우)|김서영]], [[김지영(성우)|김지영]], [[김호성]], [[노계현]], [[박기량(성우)|박기량]], '''[[박선영(성우)|박선영]]''', [[손원일(성우)|손원일]], '''[[우정신]]''', '''[[이선호(성우)|이선호]]''', [[이영란]], [[이원찬]]. '''[[정재헌]]''', [[최석필]], '''[[최원형]]''' || || [[EBS 성우극회]][* 극회 내 최고참은 [[엄상현]], [[전태열]].] ||[[권지애]], '''[[엄상현]]''', '''[[전태열]]''', [[정영웅]] || || [[대교방송 성우극회]][* 극회 내 최고참은 [[이장우(성우)|이장우]], [[안현서]].] ||[[가빈]], __'''[[신한호]]'''__, '''[[안현서]]''', [[이장우(성우)|이장우]] || || [[CJ ENM 성우극회]][* 극회 내 최고참은 [[이자명]].] ||[[김광국(성우)|김광국]], [[김기흥]], [[김명준(성우)|김명준]], [[김새해]], [[김영찬(성우)|김영찬]], '''[[김율]]''', [[김지율]], [[박성태]], [[시영준]], [[신용우]], [[유영(성우)|유영]], [[여민정]], [[이용신]], [[이자명]], [[이현진(성우)|이현진]], [[이희수]], [[정명준]], [[정선혜(성우)|정선혜]], [[정유미(성우)|정유미]], [[정유정(성우)|정유정]], [[정혜옥]], [[주자영]], [[최재호(성우)|최재호]], [[한채언]], [[현경수]], [[홍범기]] || || [[대원방송 성우극회]][* 극회 내 최고참은 [[김성연(성우)|김성연]](1기들 중 대교방송 5기로 먼저 데뷔).] ||[[강시현(성우)|강시현]], [[고구인]], '''[[권다예]]''', [[김나율]], '''[[김도영(성우)|김도영]]''', [[김민정(성우)|김민정]], '''[[김성연(성우)|김성연]]''', [[김연아(성우)|김연아]], [[김종엽]], '''[[김채린]] ''', '''[[김하영(성우)|김하영]]''', [[김혜성(성우)|김혜성]], [[디도(성우)|디도]], [[문유정]], [[박고운]], [[박서진(성우)|박서진]], [[박성영]], [[박준원(성우)|박준원]], [[박준형(성우)|박준형]], [[서반석]], [[서유리]], [[서원석]], [[성예원]], [[손정민(성우)|손정민]], [[신경선]], '''[[신나리(성우)|신나리]]''', '''[[심규혁]]''', [[심정민]], [[안효민]], '''[[윤아영]]''', [[윤은서]], '''[[이경태(성우)|이경태]]''', '''[[이동훈(성우)|이동훈]]''', [[이명화]], __'''[[이미나(성우)|이미나]]'''__, [[이보희(성우)|이보희]], [[이새아]], [[이유리(성우)|이유리]], __ '''[[이은조(성우)|이은조]]'''__, __'''[[이재범(성우)|이재범]]'''__[* 이쪽은 [[어플몬스터]]에서 [[적이 된 아군|아군이였다가 적이 되는]] [[김영웅(어플몬스터)|캐릭터]]를 맡았다. 스포일러 주의.], '''[[이재현(성우)|이재현]]''', [[이주승(성우)|이주승]], '''[[이주은(성우)|이주은]]''', [[이지현(성우)|이지현]], [[이창민(성우)|이창민]], [[이현(성우)|이현]], __[[임하진]]__, [[임혁(성우)|임혁]], '''[[장미(성우)|장미]]''', '''[[장예나]]''', [[정주원]], [[정의한(성우)|정의한]], '''[[조경이]]''', '''[[채민지]]''', [[최낙윤]], [[황창영]] || 한편 디지몬 시리즈 국내판 성우 캐스팅의 특징을 몇 가지 살펴보면, 1. [[디지몬 테이머즈]]까지는 원판에서 남자 성우가 맡은 남캐 주역(특히 초등학생 캐릭터)은 한국판에서는 무조건 여자 성우가 맡는 징크스가 있었다.[* 사실 당시에 소년 캐릭터를 소화할 수 있는 남자 성우가 적었던 점은 고려해야 한다.] 이후 [[디지몬 프론티어]]에서 [[선우현]]과 [[선우윤]]에 남자 성우가 캐스팅 되면서 그 징크스가 깨지게 된다.[* 단, 원판에서 남자 성우가 맡은 [[안도영]]은 한국판에서는 여자 성우인 [[한인숙]]이 맡았다.] 2. 반대로 주역들의 디지몬은 성숙기 이상로 진화해도 원판에서는 기존 성우가 그대로 맡지만 한국판에서는 외형에 따라서 거의 바뀐다.[* 대표적으로 [[그레이몬]], [[가루몬]] 계열이나 완전체인 [[가루다몬]], [[홀리엔젤몬]](파워디지몬 제외)] 다만 한국판도 기존 성우가 맡는 경우도 없진 않다.... == 음악 == === 음악 관계자 === * [[와다 코지]] : '''[[Butter-Fly]]'''를 비롯하여 거의 모든 오프닝곡을 불렀다. (2016년 4월 3일, 상인두암의 재발로 인해 작고.) * [[마에다 아이(성우)|AiM]] : 초기 3작품의 모든 엔딩을 불렀고, 프론티어 2기 엔딩에 참여했다. * [[미야자키 아유미]](宮崎歩) : [[brave heart]]같은 주로 디지몬이 진화할 때 나오는 배경음악을 맡았다. 위의 둘보단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시원시원한 가창력을 가졌다. * 오오타 미치히코 : 초기작중 거의 모든 보컬곡의 작곡가 겸 테이머즈의 "SLASH!"를 부르기도 했다. * [[아리사와 타카노리]](有澤孝紀) : 디지몬 시리즈의 보컬곡을 제외한 배경음악의 작곡을 담당했다. * [[전영호(키보디스트)|전영호]] : 한국 번안판 [[Butter-Fly]], [[brave heart]], [[ターゲット~赤い衝撃~]] 등을 담당했다. * [[TULA]] : [[디지몬 시리즈/주제가/디지몬 어드벤처|찾아라 비밀의 열쇠]][* 원곡은 TULA가 아닌 홍종명 씨가 불렀으며, 고인의 또 다른 대표곡으로는 [[GTO(만화)/애니메이션|GTO]]의 주제가인 Driver's High가 있다.], [[Power Up!]], [[디지몬 시리즈/주제가/파워 디지몬|내일을 찾아]] 등 한국판 대다수 삽입곡을 맡았다. * [[정여진(가수)|정여진]] : [[디지몬 시리즈/주제가/파워 디지몬|To my wish]], [[디지몬 시리즈/주제가/디지몬 테이머즈|외롭지 않아]] 등 한국판 ED 곡을 대다수 담당했다. * [[방용석(작곡가)|방용석]] : 한국판에서 프론티어까지 '''모든 곡'''을 작곡했다. === 주제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지몬 시리즈/주제가)] == [[디지몬 애니메이션 시리즈/논란|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디지몬 애니메이션 시리즈/논란)] === 주인공의 속사정 === 주요 등장인물들의 [[속사정#s-1|속사정]] 같은 것들이 의외로 하드한 것들이 많다는 특징도 있다. [[매튜(디지몬 시리즈)|부모의]] [[리키(디지몬 시리즈)|이혼]] 정도는 양반이나, [[장한솔|양자]], [[서정우(디지몬 시리즈)|애정결핍]], [[한소라|모친과의]][[은세나|갈등]], [[선우윤|모종의 이유로]] [[선우현|결별한 형제]], [[토마 H. 놀슈타인|잘못된]] [[차도혁|가정 교육]] 지나칠 정도로 비사교적 성격, 정신적 외상 등 '''"이거 애들 애니 맞아?"''' 하는 수준의 어두운 구성이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한다. 특히 그 정점을 달리는 것이 바로 [[디지몬 테이머즈]]의 [[황주연]]. 덧붙여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주인공격 캐릭터들은 모두 [[고글]]을 쓰고 나온다는 전통이 있다. 예외로 5번째 작품인 세이버즈의 [[최건우|주인공]]와 9번째 작품인 고스트 게임의 [[아마노카와 히로|주인공]]만은 고글을 쓰지 않았다. 시리즈 별로 주인공 일행 내에 [[혼혈|혼혈아]]가 한명 이상씩은 꼭 있다는 것도 특징이다.[* 단 크로스워즈, 고스트 게임 제외.] 어드벤처에선 [[프랑스]]+[[일본]] 쿼터인 [[매튜(디지몬 시리즈)|매튜]], [[리키(디지몬 시리즈)|리키]] 형제, 테이머즈에선 [[중국]]([[홍콩]])[* 단, 둘 다 태어날 당시에는 [[영국령 홍콩|영국령]]이였다.] 일본 하프인 [[곽소룡]], [[곽소희]] 남매, 프론티어에선 이탈리아계 귀국 자녀인 [[고은비(디지몬 프론티어)|고은비]], 세이버즈에선 [[오스트리아]]+일본 하프인 [[토마 H. 놀슈타인]], 유니버스 어플리 몬스터즈에선 영국 일본 하프인 [[이랑호]]. === 캐릭터 설정 관련 === [[미회수 떡밥]]이나 언급만되는 배경설정들이 상당수 있으며 이는 본디 설정상 느슨한 부분을 남겨놓아 더 뻗어나간 자유로운 2차 창작들을 유도하기 위함으로 실제 한창 인기를 끌던 당시의 디지몬 공식웹에서는 이런류의 창작물들을 제작진 측에서도 장려하는 분위기였다. 또한 미디어 믹스등의 전개를 통해 풀어나가는 부분도 있었으나 국내에는 여건상 단편적인 설정만 보여줄수 밖에 없었기에 떡밥만 풀고 왜 회수를 안하냐는 소모적인 논란도 다소 존재했다. 다만 몇몇 설정의 경우 기획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흐지부지된 경우도 존재하기에 마냥 2차 창작 장려로 보기는 힘들다. === 디지몬 취급 관련 === 이상하게 식물형, 요정형 계통 디지몬의 취급이 나쁘다. 대부분 [[전투력 측정기]] 수준의 안쓰러운 모습을 자주보인다.[* 완전체까지 진화해서 겨우 성숙기 다크티라노몬 진정시킨 게 전부인 어드벤처의 [[릴리몬]]부터 프론티어의 [[페어리몬]]과 세이버즈의 [[해바라기몬]].] 대표적인 예가 바로 [[브롯사몬]]. '''"레오몬만큼 많이 나오지만 레오몬보다 일찍 퇴장하며 레오몬보다 100배나 존재감이 희미한 캐릭터"''' 야수형은 그래도 서브 히어로도 맡으면서 나름 간지는 잡으니 얘네에 비하면 '''귀족'''이다. 천사형도 식물형, 요정형과 비슷하지만 오히려 이쪽은 '''강력하긴 한데 종종 애매한 계통'''이다. 대표적으로 [[세라피몬]]. 반면에 용 계통 디지몬들은 항상 메인 주인공을 꿰차고 있으며 중요한 고비에서 승부수를 던지는 역할을 맡는다.[* 정확히 말하면 순수 용형은 미묘하고, 용인형이 대우가 좋다.] [[아구몬]]에서 [[브이몬]], [[길몬]], [[도루몬]], [[샤우트몬]], [[감마몬]] 등. 가장 인기있는 그룹 [[로얄 나이츠]]만 해도 '''여덟'''[* [[매그너몬]], [[오메가몬]], [[알파몬]], [[엑자몬]], [[듀나스몬]], [[알포스브이드라몬]], [[듀크몬]], [[제스몬]].]이 드래곤 관련일 정도에 모티브인 [[황제드라몬]]도 고대용인형이었다.[* 이후 로얄나이츠의 시조가 용인형이라는 곳이 걸렸는지 팔라딘모드는 고대성기사형으로 바뀐다.] 2인자 캐릭터인 [[매튜(디지몬 시리즈)|매튜]]가 늑대형인 [[가루몬]] 계열 디지몬이 파트너인게 정착되어서 갯과동물을 모티브로한 디지몬은 취급이 좋은 편이다. 어지간하면 용형과 비슷한 대우를 받는 편. 또한 여성 주인공의 파트너 디지몬은 완전체나 궁극체로 진화하면 무조건 여성형으로 진화한다. 예외가 있다면 [[가루다몬]]/[[페닉스몬]]과 [[실피드몬]] 정도?[* 다만 실피드몬은 중성적인 외형인 여성취급이다. 게다가 단일 진화가 아닌 조그레스 진화.] [[호크몬]]이나 [[앙고라몬]]의 경우는 남자 성우까지 사용해서 성장기 시절부터 남성형을 상정하고 나온 것이기 때문에 여자 디지몬으로 진화할 수 없으니 논외. === 스토리 전개 관련 === 중후반부에서 레귤러 멤버가 1명 늘어나 주연들이 '''짝수'''가 된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테이머즈는 [[이재익(디지몬 시리즈)|전설의 테이머]]의 포지션이 좀 애매하고[* 테이머즈는 주연과 조연으로 나뉘어 취급 차이가 크다. 재익의 경우 비중은 다른 조연들과 비슷하지만, 최종결전때에는 주연들과 함께 싸운다.], 프론티어의 [[선우윤|신전사]]는 마지막까지 함께 싸우지 못했으며, 크로스워즈는 오히려 5명에서 [[츠루기 젠지로|잉여]] [[히노모토 아카리|두 명]]을 밀어내고 주역 3명으로 스토리를 진행했[[엑자몬|다가 다시 등장했다.]] 어플몬스터는 초기 멤버가 4명이라 주연이 '홀수'가 되었다. 이마저도 반전으로 인해 다시 4명으로 줄었지만.... 시리즈 전통으로 가장 인기가 높은 악역캐는 중간에 [[갑툭튀]]하며, [[최종보스]]가 아닌 것도 특징이다. [[디지몬 어드벤처]]의 [[묘티스몬]], [[파워 디지몬]]의 [[블랙워그레이몬]]과 [[마왕몬]][* 다만 V테이머에서는 최종보스로 등장한다.], [[디지몬 테이머즈]]의 [[베르제브몬]], [[디지몬 프론티어]]의 [[더스크몬]]이 그 예. [[디지몬 크로스워즈]], [[디지몬 세이버즈]],[[디지몬 어드벤처:]]는 좀 미묘. 크로스워즈 쪽에서 굳이 대라면 [[다크나이트몬]], 세이버즈 쪽에서는 [[메르크리몬]]이나 [[로얄 나이츠]], [[디지몬 어드벤처:]]에서는 [[데블몬]]이나 [[다크나이트몬]]들일 것이다. 여담으로 작품별 시대적 배경으로는 [[디지몬 어드벤처]]는 [[1999년]]으로 [[파워 디지몬]]은 [[2002년]]으로 [[디지몬 테이머즈]]는 [[2001년]]으로 각각 설정되었다. 참고로 디지몬 어드벤처에서 [[신태일(디지몬 시리즈)|신태일]]은 [[1988년]]생/12세로 디지몬 테이머즈에서 [[오유민]]은 [[1990년]]생/12세로 각각 설정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디지몬 시리즈, version=1827)] [[분류:디지몬 애니메이션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