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물족]]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DeepDiver-OW.png]] || 한글판 명칭 ||<-4>'''디프 다이버'''|| || 일어판 명칭 ||<-4>'''ディープ・ダイバー'''|| || 영어판 명칭 ||<-4>'''Deep Div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물]] || [[물족]] || 1000 || 1100 || ||<-5>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덱에서 카드를 1장 선택하고, 덱의 맨위에 놓는다.|| [[유희왕 GX]] [[유희왕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 144화에서는 [[아몬 가람]]이 [[에드 피닉스]]와의 듀얼에서 사용. 에드의 [[데스티니 히어로#데스티니 히어로 덩크 가이|데스티니 히어로 덩크 가이]]의 공격으로 파괴된 후, [[엑조디아#봉인된 엑조디아|봉인된 엑조디아]]를 덱의 맨위에 놓으며 [[엑조디아]]의 완성을 꾀했다. 하지만 에드가 엑조디아를 눈치채고 포스 오브 포로 패의 제한을 4장으로 만들어버리는 바람에 모처럼 덱에 올려놓았던 봉인된 엑조디아를 다시 묘지로 보내버려야만 하는 신세가 된다. 그리하여 아몬은 [[궁극봉인신 엑조디오스]]의 봉인을 풀 결심을 하게 되는데…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771_1.jpg]] || 한글판 명칭 ||<-4>'''디프 다이버'''|| || 일어판 명칭 ||<-4>'''ディープ・ダイバー'''|| || 영어판 명칭 ||<-4>'''Deep Div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물]] || [[물족]] || 1000 || 1100 || ||<-5>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덱에서 몬스터 카드를 1장 선택하고, 덱의 맨위에 놓는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08]] 동봉으로 등장한 하급 효과 몬스터. 전투 파괴시 몬스터 1장을 덱 위에 놓는 강제 발동 [[유발효과]]를 가졌다. 유사 서치 효과로서 대상 몬스터에 별다른 제약이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지만, 그 대신 발동 조건이 다소 수동적이고 느린 전투 파괴인데다 다음 드로우가 그걸로 고정된다는게 영 찜찜하다. 꼭 서치해야 하는데 딱히 다른 서치 수단이 없는 몬스터가 있다면 [[라바르바르 체인]]의 대용으로 넣어볼 수는 있을 것이다. 그 라바르바르 체인은 금지라서… 일단 물 속성이고 묘지로 가는 역할이라는 점에서 [[빙염의 쌍룡]]과의 상성은 꽤 좋지만, 그 빙염의 쌍룡이 현 상황에서는 좀 역부족인지라… 다른 서치 및 리크루트 수단이 있는 몬스터라면 그쪽을 사용하면 그만이니, 이 카드를 굳이 채용하겠다면 다른 서치 수단이 빈약한 카드를 주축으로 삼는 덱으로 한정된다고 볼 수 있다. 각종 카테고리 서포트 카드, [[증원(유희왕)|증원]] 등 종족 / 속성 서포트 카드, [[크리터(유희왕)|크리터]]나 [[검은 숲의 마녀]] 등에도 대응되지 않는 몬스터로 꼽을 수 있겠지만, 이렇게까지 한정하자니 채용할 만한 덱이 그리 많지 않다. 만능 서치 수단이라면 [[봉인의 황금궤]]나 [[세피라#세피라의 신탁|세피라의 신탁]] + [[스타더스트 차지 워리어]] 등 다른 선택지도 있다. 쓰겠다면 직접적인 서치가 아니라는 특성을 이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낮은 공격력을 살려 [[샐비지(유희왕)|샐비지]], 전투 파괴를 능동적으로 쓸 수 있도록 [[강제전이]] 등을 활용해볼 수 있겠다. 배틀 페이즈 종료시 발동되므로 같은 배틀 페이즈 중에 다른 서치나 리크루트 효과에 의해 덱이 셔플되어도 지장을 받지 않는다는 점도 있다. [[데스티니 히어로 대시 가이]]와 조합하여 덱에 올린 몬스터를 그대로 특수 소환시킬 수도 있다.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지더라도 이 카드가 제외되는 등으로 묘지에 존재하지 않게 될 경우,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이 카드의 효과는 발동되지 않는다. 발매 후 같은 게임에 동봉으로 등장했던 [[강자의 고통]]이나 [[차원 유폐]]와는 달리 복각되지 못하고 오랫동안 절판 상태였다가, [[해황의 포효(스트럭처 덱)|해황의 포효]]에 수록되면서 복각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08]][br]게임 동봉 카드 || WC08-KR00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08]][br]게임 동봉 카드 || WC08-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해황의 포효(스트럭처 덱)|해황의 포효]]- || SD23-JP019 || [[노멀]] || 일본 || || ||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08|Yu-Gi-Oh World Championship 2008]][br]게임 동봉 카드 || WC08-EN001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Battle Pack: Epic Dawn || BP01-EN017 || [[레어]][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