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E2E2E> '''{{{#white Dixit}}}''' || ||<|100> [[파일:external/cf.geekdo-images.com/pic455883_md.jpg|width=100%]] || '''디자이너''' || Jean-Louis Roubira || || '''발매사''' || Libellud || || '''발매년''' || 2008 || || '''인원''' || 3 ~ 6명[br](보드게임긱: 4-6인, 5-6인 추천) || || '''플레이 시간''' || 30분 || || '''연령''' || 6세 이상[br](보드게임긱: 8세 이상) || || '''장르''' || 파티게임 || || '''테마''' || 카드게임 / 유머[br]파티게임 || || '''시스템''' || 동식 액션 선택 / 투표[br]스토리텔링 || || '''홈페이지''' || [[http://en.libellud.com/games/dixit|공식페이지]] / [[https://boardgamegeek.com/boardgame/39856/dixit|긱페이지]][br][[http://www.divedice.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1927&category=068041|다이브다이스 페이지]]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852&cid=58774&categoryId=58774&expCategoryId=58774|네이버 캐스트]] || [목차] == 개요 == 2008년에 발매된 [[보드게임]]이다. 다른 보드게임들이 모두 수읽기, 빌드짜기, 주사위 굴리기 등 머리와 운에 의존한 게임디자인을 쓰고 있을 때, 감성(...)에 의존한 게임 디자인으로 상당히 큰 충격을 준 작품이다. 2010년 [[Spiel des Jahres]]를 비롯해 여러 보드게임 상을 수상한 명작. 다양한 그림이 그려진 카드를 뽑은 후, 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듣고 진열된 카드 중에서 해당 카드가 무엇인지 맞추는 게임이다. || [[파일:external/www.divedice.com/dixitbox_cp_300.jpg]] || [[파일:external/kbgimg2.godohosting.com/dixit_thumb_300.jpg]] || 2011년 [[코리아보드게임즈]]에서 한글화해서 출시하였다. == 규칙 == === 준비과정 === || [[파일:external/adamsfilmsfoodnfun.files.wordpress.com/dixitt.jpg|width=500]] || || 게임 구성품 || 모든 플레이어가 6장씩 카드를 뽑고, 숫자칩과 토끼 말을 가져온다. 숫자칩은 자신이 생각한 정답을 표시하기 위해서, 토끼 말은 취득 포인트 표시에 사용된다. === 게임과정 === ==== 이야기꾼의 설명 ==== 차례를 맞이한 플레이어가 이야기꾼이 된다. 이야기꾼은 자신이 가진 카드 중에서 하나를 뽑아, 그 카드에 대한 짤막한 설명을 한다. 설명은 말, 음악, 퍼포먼스 등 모든 것이 가능하다. 그 후, 그 카드가 보이지 않도록 내놓는다. ==== [[낚시(인터넷 용어)|낚시]] ==== 해당 설명을 들은 다른 플레이어들은 자신이 가진 카드 중에서 가장 그 설명에 가깝다고 생각되는 카드를 골라 보이지 않도록 내놓는다. ==== 선택의 시간 ==== 이야기꾼이 선택한 카드와 다른 플레이어가 선택한 카드를 잘 섞어, 모두가 볼 수 있도록 공개한다. 그 후, 이야기꾼이 아닌 플레이어들은 공개된 카드를 보고, 이야기꾼이 제출한 카드가 무엇인지 선택한다. ==== 정산 ==== 결과에 따라 각 플레이어는 포인트를 얻는다. - 모든 플레이어가 틀리거나 맞은 경우: 자신의 차례인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플레이어가 2점의 포인트를 얻는다.(따라서 설명하는 플레이어는 다른 사람들이 모두 맞추거나 모두 틀리는 일이 없도록 '''적당히''' 애매모호하게 설명해야한다.) - 그렇지 않은 경우: 자신의 차례인 플레이어와 정답을 맞춘 플레이어는 3점의 포인트를 얻는다. 자신의 차례가 아닌 플레이어중, 다른 플레이어를 낚는 데(...) 성공한 플레이어는 낚은 수만큼 포인트를 얻는다. ==== 다음 차례로 ==== 공개한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하고, 모든 플레이어가 카드를 한장씩 뽑은 후, 다음 플레이어로 순서를 넘긴다. === 종료조건 === 턴 종료 후 뽑아올 카드가 없으면 게임이 종료된다. 가장 많은 포인트를 획득한 사람이 승리. 단 확장판 카드를 포함하여 2세트 이상의 덱으로 게임하는 경우 30점을 먼저 모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 룰영상 === [youtube(SWvzmI2jts8)] == 특징 == * 다른 보드게임과는 완전히 다른 감각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특이한 게임으로, [[파티게임]]으로 적합한 편이다. 승리를 위해서는 적당하게 애매모호한 설명을 할 수 있어야 하며, 타인의 낚시에 잘 걸리지 않는 통찰력이 필요하다. * 스토리텔링 시스템을 채용한 만큼 이 게임은 결국 얼마나 재미있는 설명과 낚시가 이어지는가에 따라서 그 재미가 달라지는데, 재밌는 설명이 가능한 플레이어가 많을 수록 어이없는 설명과 이어지는 낚시로 모두가 웃는 플레이가 가능해진다. * 카드에 그려진 그림이 몽환적인 분위기를 띈 것이 많아 설명하기가 상당히 난감한 것이 단점이자 장점. == 확장판 == [[파일:ㄷㅅㅎㅈㅍ.jpg|width=270]] 아무래도 카드가 84장 밖에 없다 보니 계속 게임을 하다 보면 지겨워 지는 것도 사실인데, 그 때문에 많은 확장판이 나와있다. 카드만 더 들어있는 버전도 있고, 확장판만으로 게임을 할 수도 있다고 한다. 확장판중에는 설명을 하는 대신에, 몸짓만을 하도록 하건, 노래 또는 허밍만 해서 힌트를 주게 강제한 버젼도 있다. == 기타 == [[더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 8회전 데스매치였던 이미지 게임이 이 게임을 모티브로 한 게임이다.--근데 친목게임으로 변질되었다.-- 드라마 [[상속자들(드라마)|상속자들]]에서 딕싯을 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하였다. [[http://sjse87.blog.me/30181886113|링크]] 딕싯 뿐만 아니라, [[코코너츠(보드 게임)]], [[쿼리도]] 등도 나온 듯 하다.[[http://it.donga.com/16317/|#]] 드라마 [[킬링 이브]]에서도 딕싯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주인공 빌라넬이 영국의 상류층 가족과 딕싯을 하는데 게임 구조를 파악해하지 못해 지루해하고, 이 때문에 가족 중 오빠 측에게 의심받을 뻔한다. 다행히 임기응변으로 극복하는데 성공한다. [[분류:보드 게임]][[분류:2008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