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사이키델릭 록]][[분류:인도의 문화]] [include(틀:록 음악의 역사)] ||<-2> '''라가 록의 대표곡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MtDYAJ2UtU,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4irXQhgMqg,height=200)]}}} || || ''See My Friends''[br][[킹크스]] (1965) || ''[[Paint It Black]]''[br][[롤링 스톤스]] (196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NtTTHlRaU,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xyOhFBoxSY,height=200)]}}} || || ''[[Love You To]]''[br][[비틀즈]] (1966) || ''Eight Miles High''[br][[버즈(미국 밴드)|버즈]] (196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iF8f234sLio,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XqPNlng6uI,height=200)]}}} || || ''White Summer''[br][[야드버즈]] (1967) || ''[[The End(도어즈)|The End]]''[br][[도어즈]] (196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PPe8-1G2s0,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UFCkM-tNUQ,height=200)]}}} || || ''Hole in My Shoe''[br][[트래픽(밴드)|트래픽]] (1967) || ''Black Mountain Side''[br][[레드 제플린]] (1969) || }}}}}}}}} || ||<-2><#ff9933> '''{{{+1 라가 록}}}[br]{{{#128807 Raga rock}}}''' || ||<|2> '''기원''' ||^^'''장르'''^^ [[록 음악]], [[인도/문화#s-2|인도 음악]], [[사이키델릭 록]] || ||^^'''지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 || '''등장 시기''' ||[[1960년대|1960년대 중반]] || || '''시초작'''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 {{{-2 (1965, [[비틀즈]])}}} || || '''시대''' ||[[1960년대|1960년대 중반 –]] [[1970년대|1970년대 초중반]][br]^^'''전성기'''^^ [[1960년|1960년대 중반 –]] [[1970년대|1970년대 초반]] || || '''사용 악기''' ||[[보컬]],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베이스 기타]], [[드럼]], [[시타르]], [[타블라]] 등 || || '''관련 장르''' ||라가, [[사이키델릭 록]] || || '''대표 음악가''' ||[[비틀즈]], [[롤링 스톤스]], [[킹크스]], [[버즈(미국 밴드)|버즈]], [[야드버즈]], [[도어즈]], [[레드 제플린]] || [목차] [clearfix] == 개요 == 라가 록은 [[록 음악]]의 하위 장르 중 하나이다. == 상세 == [[인도]]의 음악과 서양의 록 음악의 결합으로 인해 탄생한 장르이다. 이후 [[사이키델릭 록]]의 탄생에도 영향을 준 장르로, 넓게 보면 사이키델릭 록의 하위 장르로도 분류된다. '''역사상 최초로 동서양의 음악이 대중음악으로 융합한 사례다.''' 라가 록의 가장 큰 특징은 영국이나 미국풍이 아닌 인도풍의 음악이라는 점이다. 그렇기에 인도 음악 특유의 몽환적인 분위기가 잘 나타나며, 이러한 인도풍을 나타내기 위해 [[시타르]]나 [[타블라]]같은 인도 전통 악기가 쓰이기도 하며, 시타르의 느낌을 내기 위해 금속성 소리를 내는 [[댄일렉트로]]사의 기타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 역사 == 라가 록의 시초격인 음악가는 [[비틀즈]]의 [[조지 해리슨]]이었다. 그는 당시 마약에 찌들어 사는 등 여러가지 일로 고생하면서 살고 있었는데, 당시 아내였던 [[패티 보이드]]의 권유로 [[힌두교]]에 귀의하면서 마음의 안정을 찾기 시작했다. 이 와중에 비틀즈 멤버들은 인도 음악에 크게 관심을 가졌고, 조지 해리슨은 [[시타르]]의 대가인 [[라비 샹카르]]에게 시타르까지 배우는 등 열정을 갖는다. 그 후 1965년 비틀즈의 앨범 [[Rubber Soul]]을 통해 서양 음악에서 최초로 시타르가 쓰인 곡인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를 발표하며 라가 록의 탄생을 알렸다. 그 뒤를 이어 [[롤링 스톤스]], [[킹크스]], [[버즈(미국 밴드)|버즈]], [[야드버즈]] 등 당대 내로라하던 아티스트들 또한 인도의 향이 물씬 나는 라가 록을 시도하게 된다. 특히 롤링 스톤스의 라가 록 넘버인 [[Paint It Black]]는 록 음악의 불모지이자 라가 록이 잘 알려지지 않은 한국에도 잘 알려진 록 음악 중 하나이며, 버즈의 라가 록 넘버인 Eight Miles High는 비단 라가 록 뿐만 아니라 [[사이키델릭 록]] 역사상 최고의 음악 중 하나로 꼽히며[* 이 곡은 후대에 나온 [[돈 매클레인]]의 [[American Pie(노래)|American Pie]]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 라가 록의 전성기가 시작된다. 이렇게 1960년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들이 모두 시도했던 라가 록은 사이키델릭한 정서, 그리고 평화와 사랑을 노래하던 [[히피]]들에게도 큰 인기를 끌었다. 이에 따라 인도 음악계의 거장인 [[라비 샹카르]]는 히피 문화의 최정점에 열린 [[우드스톡 페스티벌]]에도 초청받아 무대에 서는 등 라가 록과 인도 음악은 60년대 후반 최전성기를 맞는다. 1970년대에 히피 문화가 다소 사그라들고 라가 록을 대표하던 음악가들이 다른 장르로 이동하거나 해체되었지만, 인도 음악과 서양의 록 음악을 결합시킨 실험은 계속되었다. 당시 이러한 실험을 했던 대표적인 음악가로는 야드버즈의 후신인 [[레드 제플린]]이 있다. [[지미 페이지]]는 1960년대 중반에도 이미 라가 록에 관심이 많았던 음악가였는데[* 당장 위에 대표곡으로 제시되어 있는 야드버즈의 White Summer는 지미 페이지가 작곡한 곡이다.], 1971년 [[로버트 플랜트]]와 [[뭄바이]]로 여행을 떠났을 때 인도 문화에 더욱 큰 관심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인도에 대한 관심과 실험의 결과로 나온 곡이 레드 제플린의 최대 명곡 중 하나로 꼽히는 [[Kashmir(노래)|Kashmir]]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