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70년 출생]][[분류:쿠웨이트 출신 인물]][[분류:요르단 왕비]][[분류:요르단의 무슬림]][[분류:하심 가문]][[분류:팔레스타인계 인물]] ||<-2> '''요르단 압둘라 2세의 왕비[br]{{{+1 라니아 알압둘라}}}[br]رانيا العبد الله | Rania Al-Abdulla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Q4.jpg|width=100%]]}}} || || '''본명''' ||라니아 알야신[br](Rania Al-Yassin)|| ||<|2> '''출생''' ||[[1970년]] [[8월 31일]] ([age(1970-08-31)]세)||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티]]|| || '''학력''' ||[[카이로 아메리칸 대학교]] {{{-2 ([[경영학]] / 학사)}}}|| || '''배우자''' ||[[압둘라 2세]] ,,(1993년 결혼),,|| || '''자녀''' ||후세인, 이만, 살마, 하솀|| || '''아버지''' ||파이살 세드키 알야신|| || '''어머니''' ||일람 야신|| || '''형제''' ||디나, 마즈디|| || '''종교''' ||[[이슬람교]]{{{-2 ([[수니파]])}}}|| || '''SNS''' ||[[https://instagram.com/queenrania?igshid=fh281rcpsk8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QueenRania, 크기=23)] [[https://m.facebook.com/QueenRani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https://youtube.com/@QueenRan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목차] [clearfix] == 소개 == || [[파일:라니아.jpg|height=4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Queen_Rania_in_Washington%2C_DC.jpg|height=400]] || || '''20대 시절''' || '''30대 시절''' || [[요르단]]의 [[왕비]]로 [[쿠웨이트]] 출생인 [[팔레스타인인|팔레스타인계 아랍인]]이다. [[압둘라 2세]]의 부인이고 아름답기로도 유명하다. 왕비는 1970년생으로 쿠웨이트에서 태어났다. 93년 1월 왕세자였던 압둘라 2세를 디너 파티에서 처음 만났는데 만난 지 단 2개월 뒤 약혼을 발표했고, 다시 몇 달 뒤인 6월에 결혼. [[http://www.google.co.kr/search?um=1&hl=en&newwindow=1&client=firefox-a&rls=org.mozilla:en-US:official&biw=1149&bih=893&tbm=isch&sa=1&q=요르단+라니아+압둘라+왕비&oq=요르단+라니아+압둘라+왕비&aq=f&aqi&aql&gs_sm=e&gs_upl=2503l4001l0l4241l9l9l1l0l0l2l321l1546l0.4.2.1l7l0&sfr=vfe|사진 보기]] 왕비는 교육에도 관심이 많아 2011년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 참석차 대한민국을 찾을 때 [[부산교육대학교]]를 찾아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11/30/0200000000AKR20111130202800051.HTML|교육시스템을 참관]]하기도 했다. 남편과의 금슬은 좋으며 후세인 왕세자, 이만 공주, 살마 공주, 하셈 왕자 등 2남 2녀의 자식을 두었다. ~~그런데 [[히잡]]은 왜 안 써요?~~[* 종교적 권위로 왕실인 하심 가문을 능가할 수 없기 때문에 요르단은 다른 이슬람 국가들보다 상대적으로 종교의 영향력이 약한 편이다. 특히 왕실에서 철저하게 세속주의를 추구하여 격식을 차려야 하는 중요 행사를 제외하곤 여성에게 히잡을 강요하는 것을 금지한다. [[무아트 알 카사스베|분살당한 요르단 조종사]]의 유족을 위로차 방문할 때에도 히잡쓰고 갔으며, 추모 집회에 참석할 때에도 히잡을 목에 둘렀다. 이외에는 안쓰며 일반인에게도 강요하지 않는다. 아니더라도 중동국가나 동남아시아 등의 왕족들은 법 위에 있으며 사우디 공주 [[아미라 앗타윌]] 역시 히잡을 쓴 사진이 드물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압둘라 2세, version=76)] == 대외 활동 == [youtube(-Nb9275XZNE)] '''라니아 왕비가 2008년 5월 18일에 올린 동영상''' 그녀는 자체적으로 유튜브 계정이 있으며 유튜브를 통해 [[아랍]]에 대한 편견을 불식시키는 활동을 하고 있다. 노블리스 오블리제 라는 말이 어울리듯,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왕족이며, 때문에 여러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그녀의 메시지를 전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수있다. 2015년에 [[다에시]]가 활개쳤을 때 그들을 이슬람적이지 않다고 말했으며 IS의 I를 빼자고 주장한 적이 있었다. [[http://www.huffingtonpost.kr/2015/03/09/story_n_6836268.html|요르단 라니아 왕비 "IS에서 I를 빼자. 그들은 전혀 이슬람적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