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2 ''' 라라 ''' }}} (2018) [br] ''Live Again, Love Again'' }}} || ||<-2>[[파일:영화 라라.jpg|width=100%]] || || {{{#white '''감독''' }}} ||한상희|| || {{{#white '''각본''' }}} ||안소울|| || {{{#white '''출연''' }}} ||[[정채연]], [[산이|정산]], 치 푸 외|| || {{{#white '''장르''' }}} ||[[멜로]], [[드라마]]|| || {{{#white '''제작사''' }}} ||도너츠 컬처|| || {{{#white '''배급사''' }}} ||영화사 그램|| || {{{#white '''개봉일'''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2018년 2월 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2월 22일]]|| || {{{#white '''상영 시간''' }}} ||97분|| || {{{#white '''제작비''' }}} || || || {{{#white '''총 관객수''' }}} ||1,669명 (2018년 2월 28일 기준)|| || '''[[영상물 등급 제도|{{{#white 국내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과 [[베트남]]의 합작 멜로 판타지 영화. 대한민국에는 2월 22일에 개봉하지만 2월 13일부터 [[SK브로드밴드]]의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 [[oksusu]]를 통해 [[웹드라마]] 형식으로 약 10분씩 영상을 쪼개어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에 2화씩 선공개했고 2월 27일 기준으로 총 8화가 올라와 전체 화가 올라오게 되었다. == 시놉시스 == '''사랑이어서 참 고마웠다고..''' 더 이상 히트곡을 내지 못함에 힘들어하던 ‘지필’은 우연히 SNS에서 피아노곡을 듣게 되고, 묘한 감정에 빠진다. 결국 그는 곡의 주인인 ‘미’를 찾아, 그리고 헤어진 여자 친구 ‘윤희’의 흔적을 찾아 베트남으로 떠나는데.. == 등장인물 == * 윤희 ([[정채연]]) * 지필 ([[산이|정산]]) * 미 (치 푸) == 예고편 == ||[youtube(0cA8Ng2mun4)]|| || 대한민국 예고편 || ||[youtube(grXsRhANf2M)]|| || 베트남 예고편 || == OST == ||
'''{{{#white Part}}}''' || '''{{{#white 곡명}}}''' || '''{{{#white 길이}}}''' || '''{{{#white 아티스트}}}''' || '''{{{#white 작곡}}}''' || '''{{{#white 편곡}}}''' || '''{{{#white 작사}}}''' || '''{{{#white 비고}}}''' || || 1 || 더 좋아 || || 산이, 마은진 || 하드캐리, 김진호, 산이 || 하드캐리, 최선용, 동환 || 하드캐리, 산이 || || || 2 || 잘 지내 || || 투앤비, 옐로우 밴치 || 김성균 || 김성균 || 감성소녀 || || || 3 || 불행했음 좋겠다 || || 산이, 전상근 || 산이, 제피 || 제피 || 산이 || 이전에 발매했던 노래를 편곡하여 OST에 포함시킨 곡이다. || === [[베트남 흥행]] === 애초에 베트남을 타깃으로 만든 듯한 영화이고 박스오피스 1위를 6주간 하였다. 영화 메인 OST를 베트남 버젼으로도 제작해 베트남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왜 한국 흥행은 염두에 두지 않았는지는 의문이다. ~~주연 둘의 경력이 배우와는 거리가 있으며 티켓파워가 담보되지도 않다보니 연기력 이슈가 국내보다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않는 해외에서 특히 케이팝의 효과를 누리기 좋은 베트남에서의 흥행을 노린듯하다. ~~ == 기타 == 대한민국과 베트남의 합작 영화이지만 여러모로 대한민국보다 베트남을 대상으로 만드는 듯한 느낌이 강하다. 2월 8일까지 제대로 된 홍보는 커녕 한국어 예고편조차 만들어지지 않는 상태. 한국 관객을 타깃으로 두지 않고 베트남 관객을 타깃으로 제작한 것이 분명해 보인다. 특이한 점은 베트남에서 이런 류의 판타지 로맨스 영화는 거의 제작 된 적이 없고 국가 특징으로 코미디나 호러 영화가 인기인걸 생각하면 대단히 도전적이었고 예상치 못한 베트남 내의 박스 오피스 1위였다. 해당 영화로 인해 CJ베트남이 설립되었다. [[분류:한국의 로맨스 영화]][[분류:한국의 판타지 영화]][[분류:2018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