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남아시아의 통화)] ເງີນກີບລາວ, 응오엔 낍 라오 [[파일:Bank_of_the_Lao_P.D.R._logo.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라오스]]의 법적 통화. [[ISO 4217]]코드는 LAK, 기호는 ₭로 표기한다. 보조단위로 "앗(Att)"이 있지만 환율이 무진장 낮기 때문에 사실상 사장된 상황이다. 인플레는 8.49%(2008년), 3.92%(2009년), 6.80%(2010년)으로 높지는 않지만 상당히 들쭉날쭉하다. 돈이 잘 돌지 않는 사회주의 국가의 특성상 역으로 해석하면 발전이 없는 셈이고 정으로 해석하면 매우 심각하게 흔들리는 상황. 대개 이런 --막장-- 통화의 경우는 [[미국달러]]나 주변국 통화([[태국 바트]], [[베트남 동]], [[중국 위안]])의 위세에 밀리기 마련이지만[* 실제로 달러가 우세이다], 킵의 경우는 정부의 끊임없는 광고와 노력 덕에 2010년 이후부터 달러 사용량을 밀어내고 적극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편이다. 하지만 여전히 저 4가지 통화가 돌아다니기는 한다. 독립 이전인 1945년부터 임시정부측이 발행한 통화[* 비공식 게릴라성 통화.] 및 1952년 발행한 로얄 킵[* 전신인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피아스트를 교체하기 위한 통화이다.], 그리고 독립 직후 1953년에 발행한 인도차이나 발행권[*원어 Institut d'Emission des Etats du Cambodge du Laos et du Vietnam. 보다시피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을 한꺼번에 묶은 통화다.]이라는 것이 존재했지만, 실질적으론 1957년 시리즈를 최초로 보고 있다. == 환전과 환율 == 2022년 11월 21일 현재 17,444.24킵/USD 국내에서 킵 지폐를 매수 및 매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여행이나 출장 목적으로 사야할 경우에는 화폐 수집상과 안면이 있어서 매매기준율 약간을 넘어서 거래가 가능하다면 몰라도 그럴 경우에는 아래쪽 외국 통화를 국내 시중은행이나 사설환전소에서 환전해서 현지 은행에서 해야한다. [[https://www.phongsavanhbank.com/psv/modules.php?lg=eng&modules=exchange_detail|풍사완 은행 환율창]] * 아시아: 태국 바트, 중국 위안, 싱가포르 달러, 일본 엔, 베트남 동, 말레이시아 링깃, 한국 원, 홍콩 달러, 브루나이 달러 * 유럽: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 스위스 프랑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 1기 == === 1차 === 1957년 등장. "라오스 왕국"이던 시절에 발행한 킵이라 도안으로 '''시사왕웡'''왕(King Sisavang Phouli-Vong)의 얼굴을 박아넣었다. ||<-2>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킵/kip11.jpg|width=100%]] || ₭1 || 탓 잉 항 불탑 || 물소로 농사짓기 || || [[파일:attachment/킵/kip12.jpg|width=100%]] || ₭5 || 마크모 사원 || 소달구지 || || [[파일:attachment/킵/kip13.jpg|width=100%]] || ₭10 || 옹 테우 사원 || 모내기 || || [[파일:attachment/킵/kip14.jpg|width=100%]] || ₭20 || 구 정부 청사 || 옷감짜기 || || [[파일:attachment/킵/kip15.jpg|width=100%]] || ₭50 || 구 의회 건물 || 통나무 나르는 코끼리 || || [[파일:attachment/킵/kip16.jpg|width=100%]] || ₭100 || 시사왕웡 || 프라케오 사원, 꽃바구니 든 여성 || || [[파일:attachment/킵/kip17.jpg|width=100%]] || ₭500 || 시사왕웡, 프라케오 사원 || 구 티트 루앙 사원 || * 1 ~ 50킵은 자체발행, 100킵은 프랑스은행, 500킵은 영국 데라루에서 발행했기에 서로 제각기 스타일이 다르다. * 동전의 경우 알루미늄제 10, 20, 50앗이 발행되었지만... 딱 한 번만 만들고 생산을 멈췄다. === 2차, 3차 === 선대 왕이 돌아가시는 바람에, 3년 후인 1962년 돌연 만들어지게 되었다. '''사왕바타나'''왕(King Savang Vatthana), 및 '''수완나푸마'''(Souvanna Phouma, 2~3차[* 엄밀하게는 왕이 아니라 수상에 가깝다. 그래도 나름 '''왕자'''라서 왕대접 해주는 것이다.])왕의 얼굴이 들어가 있다. 2차 권종 생산 11년 후인 1974~5년이 되어야 10, 1000킵 개정판과 100, 500, 5000킵이 만들어지며 채워졌다.(여기에 수완나푸마가 들어가기 때문에, 3차로 구분하기도 한다.) 하지만 개정판 2종은 세상빛을 보지도 못하고 그대로 사장되어버렸다. 바로 [[라오스 내전]]이다. ||<-2> 2차 발행분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킵/kip21.jpg|width=100%]] || ₭1 || 형상화한 부처 || 옛 국장 || || [[파일:attachment/킵/kip22.jpg|width=100%]] || ₭5 || 시사왕웡 || 타트 루앙 사원, 코끼리 탄 사람 || || [[파일:attachment/킵/kip23.jpg|width=100%]] || ₭10 || 여성 || 햇살 무늬 || || [[파일:attachment/킵/kip24.jpg|width=100%]] || ₭20 || 사방바타나, 사원 || 소프 사원 || || [[파일:attachment/킵/kip25.jpg|width=100%]] || ₭50 || 사방바타나, 불탑 || 루앙 사원 || || [[파일:attachment/킵/kip26.jpg|width=100%]] || ₭200 || 사방바타나, 타트루앙사원 || 탓 유앙 폭포|| || [[파일:attachment/킵/kip27.jpg|width=100%]] || ₭1,000 || 사방바타나, 마크모 사원 || 전통 카누 경기 || ||<-2> 3차 발행분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킵/kip33.jpg|width=100%]] || ₭10 || 사방바타나 ||<|2> 소달구지 || || [[파일:attachment/킵/kip34.jpg|width=100%]] || ₭100 || 사방바타나, 프라케오 사원 || || [[파일:attachment/킵/kip35.jpg|width=100%]] || ₭500 || 사방바타나, 옹 테우 사원 || 남 응움 댐 || || [[파일:attachment/킵/kip36.jpg|width=100%]] || ₭1,000 || 사방바타나 || 인도코끼리 || || [[파일:attachment/킵/kip37.jpg|width=100%]] || ₭5,000 || 사방바타나, 폰사이 사원 || 라나트와 캔 연주 || == 2기 == 공산당 소속인 "빠텟라오(조국 라오스)"조직이 아직 인민민주공화국으로 발전하기 이전에 내놓은 시리즈이다. 등장은 별도로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1974년 ~ 1976년으로 추정된다. 화폐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전형적인 공산당풍 소형지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류는 총 7종이다. 참고로 '''[[중국산]]'''이며, 동전은 없었다. 1기와의 교환비는 1(신) : 20(구). == 3기 == 라오스 인민 민주공화국이 세워진 이후의 시리즈. 2기(파테트 라오) 킵과의 교환비는 1(신):100(구)이다. 특별히 개혁이나 대대적인 교환형태를 취하지 않고, 기본인 1킵부터 꾸준히 고액권이 등장하며 있던 것이 사라지고 하는 순환형태로 발행되었다. 크게 나누면 2012년 현재 3개 세대로 나눌 수 있다. 동전도 발행되기는 하였으나(1980년 10, 20, 50앗 / 1985년 1, 5, 10, 20, 50킵), 만성적인 인플레덕에 금방 밀려버려 사용이 끊겨버렸다. 현재는 500킵 및 1000킵을 잔돈처리용, 2,000킵(약 280원)부터를 현금으로 취급하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렸다. 500킵 미만은 그대로 공기화. 거지에게 던져줘도 안 받는다. === 구권 === ||<-2> || 앞면 || 뒷면 || || [[파일:₭1.jpg|width=100%]] || ₭1 || 국기 들며 행진하는 지식인, 농민, 노동자, 군인 || 교실에서 공부하는 학생들 || || [[파일:6270eb62dd92d5.18767297-original.jpg|width=100%]] || ₭5 || 상점 풍경 || 인도코끼리의 통나무 운반 || || [[파일:623b3663d650c5.06046805-original.jpg|width=100%]] || ₭10 || 통나무 옮기는 모습 || 환자 치료하는 모습 || || [[파일:₭20.jpg|width=100%]] || ₭20 || 전차와 병사들의 행군 || 직물 공장 내부 || || [[파일:₭50.jpg|width=100%]] || ₭50 || 모내기 || 남 응움 댐 || || [[파일:₭100.jpg|width=100%]] || ₭100 || 벼 수확 || [[메콩강]] 우호교와 저장탱크 || === 현행권 === ||<-2> || 앞면 || 뒷면 || || [[파일:₭500.jpg|width=100%]] || ₭500 || 근대식 관개설비 || 커피 수확 || || [[파일:₭1000.jpg|width=100%]] || ₭1,000[* 2008년에 개정판이 나왔지만 '''1년 만에 짤리고''' 원점회귀했는데, 도안의 여인들이 너무 [[실사]]적이라 [[어른의 사정]]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은행의 판단 때문이었다고 카더라. ] || 라오족 전통의상의 여인 3인조, 파탓루앙[* ພຣະທາດຫຼວງ, Pha That Luang. 수도 비엔티안에 있는 크메르 황금 불교사원. 한때 [[태국]]이 개발살냈었기 때문에, 현재 세워져 있는 것은 재건축한 것이다.] || 가축들과 송전탑 || ||<-2> || 뒷면 || || [[파일:65048a28a7d9a6.60907258-original.jpg|width=100%]] || 앞면 공통 || [[까이쏜 폼위한]] 주석, 타트 루앙 사원 || || [[파일:623b37e9eef314.14253000-original.jpg|width=100%]] || ₭2,000 || 세셋2 수력발전소 || || [[파일:Laos_BOL_5000_kip_2020.00.00_B520a_PNL_AA_0103600_r-768x342.jpg|width=100%]] || ₭5,000 || [[방비엥]] 시멘트 공장 || || [[파일:63b2b4bd582603.37000606-original.jpg|width=100%]] || ₭10,000 || [[빡세]][* 라오스 남부 참빠삭 주의 도시. --빠삭하구나-- 한때 프랑스의 도움을 받아 참빠삭 왕국이 세워지던 곳이나, 라오스 왕국이 만들어지면서 패망했다.]의 [[라오스]]-[[일본]] 우정의 다리 || || [[파일:64c8bf0a9d6233.17638701-original.jpg|width=100%]] || ₭20,000 || 툰 힌분 수력발전소 || || [[파일:650488aa2405c9.24694944-original.jpg|width=100%]] || ₭50,000 || 대통령 관저 || || [[파일:65048a2a049a49.55293800-original.jpg|width=100%]] || ₭100,000 || 2가지가 있다.[* 까이쏜 폼위한 동상과 박물관(구권), 비엥싸이 마을(신권). 참고로 옆의 도안은 신권이다.] || == 둘러보기 == [include(틀:라오스 관련 문서)] [각주] [[분류:통화]][[분류:라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