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chinfood-choyu-rau.jpg]] [목차] == 개요 == [[신 중화일미]]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우측의 노인. 왼쪽은 [[초유(신 중화일미)|초유]]. 성우는 구애니판은 [[이시모리 탓코우]]/[[주호성]].[* 배우 [[장나라]] 아버지이자 배우겸 성우인 그 주호성 맞다. 참고로 익살스러운 연기톤은 배추도사랑 비슷하다. 비룡 역을 맡은 [[최수민]]과 동기지만, 주호성이 '''3살'''어리다.] 신애니판은 [[츠지 신파치]][* 구애니판에서 [[오골계]]를 다룬 에피소드의 마을 이장 역으로 출연한 바 있다. 신애니판의 레귤러진 성우 중 유일하게 구애니판에 출연 경력이 있는 성우다.]/[[안장혁]]. 원작의 이름은 루오우 대사.(ルオウ(羅鋈) 大師) 더빙판에선 '''만사통 어르신'''. 정발판 단행본에서는 '라우 대사부'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6권부터 16권까지 '[[로웬 대사]]'로 표기돼서 독자들을 헷갈리게 한다.~~정작 [[로웬 대사|거지할배]]는 마오가 특급주사되고나서 코빼기도 안비치다가 마지막에 다시 한번 나온다.~~[* 다들 알다시피 로웬 대사는 그 만두형제에게 교훈을 가르쳐주는 선선대 자금성 주방장] == 작중 행적 == 광주의 유명 음식점인 [[양천주가]]의 총 주방장. 현재는 부주방장인 [[초유(신 중화일미)|초유]]에게 모든 걸 일임하고 일선에서 거의 물러난 상태라 요리를 만들지는 않으며, 이런저렁 행정적인 일만 처리하는 위치인듯. 평소에는 빈둥빈둥 돌아다니며 술을 마시는 평범한 할아버지지만,[* 양천주가에도 얼굴을 잘 안비추는 모양이다. [[메이리]]왈 자신도 한번도 본 적이 없다고 언급하였으나, 마오가 양천주가에 들어간 뒤 등장하는 빈도를 보면 양천주가에서 어릴적부터 자랐을 메이리가 못봤다는게 말이 안된다고 판단했는지 애니에선 대사가 삭제되었다.] 광주 요리계의 원로로 대접받는 위치답게 요리에 관한 식견과 솜씨는 상당히 뛰어나다. 아쉽게도 식견만 강조되고 요리실력을 작중에서 보여줄 기회가 거의 없었을 뿐이다. 작중에선 식견쪽 분야를 살려 심사를 하는 모습만 나와서 그런지 그렇게 큰 비중이 없다. 나오는 요리는 만두대결 직후 로웬 대사를 대접하기 위해 만든 동파로가 전부다. 심지어 이 동파로 에피소드는 애니판에서 짤렸다. 시로의 독백으로는 '음식의 본향 광동에서도 천재로 이름난 요리사라는데 주정뱅이로밖에 안 보인다'고. 실제로 작중에서는 솜씨를 보여주는 일이 없이 유마오신의 까마득한 태사부로서 조언이나 몇 마디 하는 데 그쳤다. 구작 애니메이션 오프닝에선 요리하는 모습이 나오긴 한다.[* 웍을 이용해 조리중인 음식에 독한 술을 뿌려주다 자기가 한모금 들이켜 주신다.][* 적어도 노사+애주가 컨셉을 보아 구 애니메이션은 [[친 겐사이]]에서 모티브를 딴듯. 친 겐사이도 더 올라가면 유명한 성룡의 영화 취권 1편에서 주인공 황비홍(성룡)의 스승으로 등장한 배우 '원소전'이 연기한 캐릭터 '소화자'에서 모티브를 따온 캐릭터다.] 애니메이션판 [[쉐르]](천봉) 편에서는 [[유마오신]](비룡)의 [[크고 아름다운]] 만두를 썰기 위해 웃통을 벗고 우마도를 휘두르기도 했다.[* 원작에선 평범하게 그냥 주방칼로 자른다.]--근육이 대단하다-- 양천주가 총 요리장 외에 광주의 [[전설의 조리기구]]를 관리하는 장로의 직책도 맡고 있다. 영령도의 소유권을 두고 마오와 레온이 승부를 겨룰 때 네명의 심사위원 중 하나로 나오는데 늘 취해있는 평소와는 달리 말짱하고 위엄있는 모습으로 나와 때와 장소는 가리는 주정뱅이라는 걸 보여준다. 마오와 레온이 선보이는 놀라운 요리에 체통없는 모습을 보여주는 다른 심사위원들과 달리 무게감을 유지하는건 덤. [[분류:신 중화일미/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