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유럽 신화]] [목차] == 개요 == 라우페이(Laufey), 로피 또는 날(Nál)[* 현대 [[아이슬란드어]]로는 이 철자는 '나울'로 읽는다.]은 [[북유럽 신화]]에서 [[로키(북유럽 신화)|로키]]의 [[어머니]]로 언급되는 인물이다. == 특징 == 라우페이의 남편, 즉 로키의 아버지의 이름은 [[파르바우티]](Fárbauti)로[* 현대 아이슬란드어에서는 이 철자는 '파우르바우티'로 읽는다.] 물론 둘 다 [[거인]]이다. 그녀의 이명 중 하나인 '날'이란 이름은 [[바늘]]이란 의미인데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그녀가 마르고 가녀린 탓에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 일설에 의하면 '라우페이'는 '잎이 많은 것', '파르바우티'는 '매섭게 내리치는 것'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날'은 상술한 대로 바늘이란 뜻이고. 이 의미가 맞다면 [[로키]]는 번개가 '[[침엽수|바늘 같은 잎이 많은 것]]'을 '매섭게 내리쳐' 태어난 것, 즉 불이 된다. 로키를 불의 신으로 간주하는 전승을 뒷받침하게 된다.] [[에다]]에 로키의 혈통을 밝히면서 몇 번 언급될 뿐인 인물이지만, 특이할 점이라면 로키가 소개될 때 로키 라우페이아르손(Loki Laufeyarson), 즉 '라우페이의 아들 로키'라고 칭해진다는 것이다. 북유럽의 작명법은 본인 이름 뒤에 ['부모 이름의 소유격'+-son(아들)/-dottir(딸)]를 붙여 혈통을 나타내는데, 대개는 아버지의 이름을 붙이지[* 보르 부리손→오딘 보르손→토르 오딘손 등등...같은 원리로 로키에게 부칭을 붙이면 로키 파르바우타손(Loki Fárbautason)이다.(노르드어 문법상 i로 끝나는 남성 인명의 소유격은 i를 a로 바꾸고, y로 끝나는 여성 인명의 소유격은 ar를 붙인다)] 어머니 이름을 붙이는 경우는 드물다. 이로 미루어 라우페이가 파르바우티보다 더 유명하거나 강대한 존재였으리라는 추측도 있다. 일각에서는, 북유럽 신화의 거인족은 신족보다 덩치가 크게 묘사되는데 로키는 애시르 신들과 비슷한 체구로 묘사되는 것을 근거로, 라우페이가 거인+애시르 혹은 바니르 혼혈이어서 남편보다 영향력이 강했던 건 아닌가 하는 의견을 내놓기도 한다. 아니면 사람들이 잔머리의 달인인 로키가 '사내답지 못함'을 부각하기 위해서 일부러 어머니 쪽 이름으로 기록한다는 설도 있다. 마블의 라우페이의 경우 아예 아빠로 [[성전환]]되었다. == 현대 창작물에서 == === [[갓 오브 워]] === 게임 에필로그 후에 이름이 언급된다. {{{#!folding [ 스포일러 보기 ] 작중에서는 이미 고인인, [[아트레우스(갓 오브 워 시리즈)|아트레우스]]의 어머니이자 [[크레토스/북유럽 신화|크레토스]]의 두번째 부인 [[페이(갓 오브 워 시리즈)|페이]]의 본명임이 밝혀진다.}}} ## === [[마블 코믹스]]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우페이(마블 코믹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우페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