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Bahn Rhein-Ruhr}}} [[파일:S반 로고.svg|width=150]] [목차] == 개요 ==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전역(...)의 [[S반]] 시스템. 승차권 발매 지역에 따라서 [[라인-루르 교통조합]](VRR) 또는 [[라인-지크 교통조합]](VRS)에 속한다. 승차권 발매 지역이 달라도 운임 구역만 맞으면 받아 준다. 처음에는 [[독일연방철도]]가 갖고 있던 잉여 기관차와 객차로 운행하다가 가감속 능력이 더 좋은 S반 차량계의 레전드 420형을 도입했다. 하지만 워낙 이동거리가 길다 보니까[* 웬만한 노선은 편도 70~80km씩 운행하고 S19(뒤렌-아우 안 데어 지크)처럼 운행거리가 110km인 노선도 있다.] [[화장실]]이 없어서 불편하다는 이유로 1970년대 후반에 운전실과 화장실이 달린 객차를 대랑 도입했다..지만 아예 다른 차를 투입하는 S8(하겐-묀헨글라트바흐) 외에는 화장실 달린 S반은 없다. 과거에는 [[독일국영철도 243형|컨테이너 박스처럼 생긴 기관차]]가 이때 도입한 냉방시설이라곤 창문밖에 없는 객차를 끌고 다녔지만 최근에는 [[에어컨]]이 달린 [[독일철도 423형|422/423형]]이 절찬리에 도입되어 운행 중이다. 차량 기지는 [[도르트문트]], [[뒤셀도르프]], [[쾰른]] 등에 있다. 쾰른 지역인 VRS 지역의 차량기지에 소속된 차량과 나머지 차량의 마킹이 오묘하게 다르다. VRR 지역의 차량은 S-Bahn Rhein-Ruhr인데 VRS 지역의 차량은 S-Bahn '''Köln'''. [[독일철도 423형|기계적으로는 동일한 차량]]이지만 차호도 전자는 422형, 후자는 423형으로 다르다. ~~[[지역감정]]인가~~ 여담으로 독일에서 첫 [[사철(철도)|사철]] S반이 등장한 곳이기도 하다. 사실상 ~~마을기차~~ [[공기수송(교통)|장사 안 되는 노선]]을 지방정부가 운영하는 모양새이지만... 나머지는 모두 [[도이치반|Deutsche Bahn Regio NRW]]에서 운영하지만 S28만 Regiobahn GmbH에서 운영한다. 유감스럽게도 독일 여행객들은 그닥 탈 일이 없다. 독일 여행하는 사람들의 십중팔구는 유레일 패스를 들고 다니는데 이걸로 갈 수 있는 역을 RE 같은거 타면 될 거를 굳이 시간 오래 걸리는 이걸 탈 일은 전무하기 때문이다. == 노선 일람 == * S1: [[도르트문트 중앙역|도르트문트]] - [[보훔 중앙역|보훔]] - [[에센 중앙역|에센]] - [[뒤스부르크 중앙역|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역|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중앙역]] - 힐덴 - [[졸링엔]] (97.5km) * S11: [[뒤셀도르프 국제공항|뒤셀도르프 국제공항 터미널]] - [[뒤셀도르프 중앙역]] - [[노이스]] - 도마겐 - [[쾰른 중앙역|쾰른]] - [[베르기슈 글라트바흐]] (70.4km) * S12: 호렘 - [[쾰른 중앙역|쾰른]] - 포어츠 - 트로이스도르프 - [[지크부르크/본역|지크부르크/본]] - 아우 (105.1km) * S19 : [[뒤렌]] - 호렘 - [[쾰른 중앙역|쾰른]] - 트로이스도르프 - [[지크부르크/본역|지크부르크/본]] - 헤네프 - 아우 (110.1km) * 최장노선인데 화장실은 없다.. * S2: [[도르트문트 중앙역|도르트문트]] - [[헤르네]] - [[뒤스부르크 중앙역|뒤스부르크]] - [[에센 중앙역|에센]] (58.7km) * S23: [[본(독일)|본]] - 메켄하임 - 라인바흐 - 오이스키르헨 * S28: 카르스터 제 - [[노이스]] - [[뒤셀도르프 중앙역|뒤셀도르프]] - 메트만 슈타트발트 - [[부퍼탈 중앙역|부퍼탈]] (34.3km) * S3: [[오버하우젠 중앙역|오버하우젠]] - [[뮐하임 중앙역|뮐하임]] - [[에센 중앙역|에센]] - [[보훔 중앙역|보훔]] - 달하우젠 - 하팅엔 미테 (33.1km) * S4: [[도르트문트]] 뤼트겐도르트문트 - 마센 - 우나 (30.3km) * S5: [[도르트문트 중앙역|도르트문트]] - [[비텐]] - 베터 - [[하겐 중앙역]] (31.3km) * S6: [[쾰른]] 니페스 - [[쾰른 중앙역]] - 랑엔펠트 - [[뒤셀도르프 중앙역|뒤셀도르프]] - 라팅엔 - [[에센 중앙역|에센]] (75.9km) * S68: 랑엔펠트 - [[뒤셀도르프 중앙역|뒤셀도르프]] - [[부퍼탈]]-포빈켈 (40.1km) * S7 : [[부퍼탈 중앙역|부퍼탈]] - [[렘샤이트]] - [[졸링엔]] (41km) * S8: [[하겐 중앙역|하겐]] - [[부퍼탈 중앙역|부퍼탈]] - [[뒤셀도르프 중앙역|뒤셀도르프]] - [[노이스]] - [[묀헨글라트바흐 중앙역|묀헨글라트바흐]] (81.6km) *유일하게 화장실이 있는 노선 * S9: 할테언 암 제 - 글라트벡 - [[보트로프]] - [[에센 중앙역|에센]] - 펠버트 - 랑엔베르크 - [[부퍼탈 중앙역|부퍼탈]] (107.9km) [[분류:독일의 철도]] [[분류: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의 대중교통]] [[분류:S반]][[분류:공항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