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팔레스타인 관련 문서)] ||<-2> {{{+1 {{{#000000 '''라파 국경 검문소'''}}}}}}'''[br]'''{{{#000000 '''معبر رفح''' [br] '''Rafah Border Crossi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afah_new_checkpoint.png|width=100%]]}}} || ||<-2> {{{-1 [[이집트]]측 국경검문소}}} || ||<-2>[include(틀:지도, 장소=Rafah Border Crossing, 너비=100%)] || || '''{{{#000000 접경지역}}}''' || [include(틀:국기, 국명=이집트)][br][include(틀:국기, 국명=팔레스타인)] [[가자지구]] || || '''{{{#000000 길이}}}''' || 8,891km || || '''{{{#000000 설립일}}}''' || [[1979년]] || || '''{{{#000000 관할기관}}}''' || 이집트 국경경비대(قوات حرس الحدود) || [목차] [clearfix] == 개요 == 라파 국경 검문소는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경계선에 위치해 있는 이집트측 국경검문소이다. 가자지구의 [[라파흐]](رفح)지역에 위치해있다. == 상세 == 1979년 3월에 체결한 [[https://en.wikipedia.org/wiki/Egypt%E2%80%93Israel_peace_treaty|이집트-이스라엘 평화조약]]이 1980년 1월에 발효하자, 이스라엘 정부가 [[시나이 반도]]를 이집트 정부에게 반환하는 과정에서 라파 지역의 국경(이집트↔이스라엘)이 설정되었으며, 이집트와 가자지구 사이의 완충지대로서 기능했다. [[2000년대]]의 전반기까지 [[이스라엘 육군|국방부 육군청]]과 [[이스라엘 경찰|공안부 경찰청]]과 [[벤 구리온 국제공항|교통부 공항청]]이[* [[https://en.wikipedia.org/wiki/Israel_Airports_Authority|교통부 공항청]]은 국제공항들을 경영하면서 [[출입국심사]]를 실행하는 민정관청이다. [[자연인]]의 [[출입국]] 및 [[호적]](戶籍)과 [[주민등록|민적]](民籍)을 관리하면서 [[거주이전의 자유]]를 감시하는 [[https://en.wikipedia.org/wiki/Population_and_Immigration_Authority|내무부 이민청]]은 [[2000년대]]의 후반기에야 설치되었다.] 합동으로 관리했기 때문에 이 곳을 통해서 이스라엘 본토에 들어온 이스라엘 국민들과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았다. 그러다가 2005년에 이스라엘국의 민정관청들이 [[https://en.wikipedia.org/wiki/Israeli_disengagement_from_Gaza|유대인 정착촌의 주민들을 데리고]] 가자 지구에서 급하게 철수했으니, 이집트측에 국경검문소 관리권이 이양되었다. 이리하여 국경(이집트↔가자지구)이 폐쇄되었다가, 2005년 11월, 유럽연합 라파 국경 지원단의 감독 하에 라파 국경은 재개방되어, 오늘날까지 가자지구와 이집트의 사이를 왕래하는 통로로 기능하였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분쟁으로 [[가자지구]]의 사방이 [[이스라엘 방위군|이스라엘 국방부]]가 건설한 장벽으로 봉쇄된 현재는 이곳이 가자지구가 외부세계와 통하는 유일한 합법 통로로 기능하여, 가자지구에서 소비되는 생필품은 이곳을 통해 무역이 이루어지고 있다.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인해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지상군 투입을 예고하자, 이집트 정부는 라파 국경을 폐쇄하여 가자지구의 유일한 통로가 막히다가 [[https://m.yna.co.kr/view/AKR20231021037551099?section=international/all|가자 주민 구호품 전달 때만 개방했다.]] 나중에는 외국 여권 소지자들만 개방한다.[[https://www.straitstimes.com/asia/qatar-brokers-deal-between-egypt-hamas-and-israel-for-limited-gaza-evacuations-source|#]] 전쟁이 발생한 후 봉쇄된 가자지구에 고립되었던 한국 국적의 일가족 5명[* 한국인 여성과 한국으로 귀화한 그녀의 배우자, 그들의 자녀. 그중 장녀는 유튜버 수헤르(suhair)로 활동중이다.[[https://youtube.com/@suhair_J?si=IVpTzbboK3dOg-6X|#]]]이 11월 2일, 이 곳을 통과해 이집트로 건너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06538|#]] [[분류:국경]][[분류:이집트-팔레스타인 관계]][[분류:팔레스타인의 지리]][[분류:이집트의 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