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허베이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000,#ddd 허베이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廊坊, ruby=Lángfáng)][ruby(市, ruby=Shì)]}}}'''[br]랑팡시 | Langfang City}}} || ||<-3> [include(틀:지도, 장소=廊坊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허베이성]] 랑팡시 광양구 광양다오230호[br]河北省廊坊市广阳区广阳道230号 || ||<-2> '''{{{#ffff00 지역}}}''' || [[화베이]] || ||<-2> '''{{{#ffff00 면적}}}''' || 6,417.28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구 2현급시 6현 1자치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5,464,087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851.46명/km² || ||<-2> '''{{{#ffff00 서기}}}''' || 왕리퉁(王立彤) || ||<-2> '''{{{#ffff00 시장}}}''' || 리궈융(李国勇)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517억 1,161만 ^^(2020)^^ || || '''{{{#ffff00 1인당}}}''' || $9,464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월계화]] || || '''{{{#ffff00 시목}}}''' || [[회화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冀R'''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廊'''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13'''10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316''' || ||<-2> '''{{{#ffff00 우편번호}}}''' || '''065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HE-10''' ||}}}}}}}}} || ||<-3> [[http://www.lf.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허베이성]]의 도시. 인구는 2020년 기준 약 540만명이다. == 상세 == '''[[베이징시]]'''와 '''[[톈진시]]''' 두 거대 도시 사이에 위치해 있다. 도시 자체는 규모가 큰 편이나, 두 거대도시 사이에 있는 이유로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수도권인 [[징진지]]에 해당하는 만큼 [[베이징시]]와 [[톈진시]]와의 교류가 활발하고 생활권이 같다. 그래서인지 [[허베이성]] 내에서도 나름 경제력이 존재한다. [[대한민국]]의 [[경기도]] [[부천시]], [[일본]] [[가나가와현]]의 [[가와사키시]]와 같은 포지션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면적은 부천시에 비해 매우 크며(약 100배 이상), 대한민국 최대 면적 광역시인 '''[[인천광역시]]의 6배에 달한다!''' 특이하게도 [[월경지]]가 존재한다. [[베이징시]] 기준 남쪽 지역은 본 지역이며, 동쪽 지역이 바로 월경지인데, 싼허시(三河市), 샹허현(香河县), 다창회족자치현(大厂回族自治县) 세 지역이 월경지 안에 존재한다. 본래는 연결된 지역이었으나 베이징과 톈진의 지속적인 시가지 확장으로 인해 월경지가 된 것이다. 싼허시에는 옌자오(燕郊)라는 지역이 있는데, 베이징의 일종의 [[위성도시]]로, [[베이징]] 동부 도심 지역의 주거지역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발전된 곳이다. [[베이징]]의 대표적인 코리아타운인 [[왕징]]에 거주중이던 한국인들도 집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이유로 이주한 경우도 있어 한국인이 꽤 많이 거주중이다. --막상 현지를 가면 찾아보기 힘들다.-- 옌자오는 [[베이징]]과 아주 가깝지만, [[허베이성]] 소속이므로 택시 요금 등이 매우 저렴하며[* 2020년 1월 기준 기본요금은 7위안이다(한화 약 1200원). 베이징의 절반 수준], [[베이징]]의 법규를 따르지 않는다. 매일 출퇴근길마다 헬게이트가 열리고[* 지하철이 없고 기차 역시 편수가 적어 통근을 하려면 버스에 의존하는데, 버스 배차가 승객수를 도저히 따라가지 못하다보니 8시반에 회사에 도착하려면 '''새벽 5시반~6시부터 정류장에서 줄을 서야한다.'''] 차량 진입에 어려움[* 베이징에서는 미세먼지 절감과 교통혼잡 완화를 위해 타 지역 번호판의 진입을 엄격히 제외한다. 허베이성 번호판이 발급되는 옌자오 역시 마찬가지.]이 있지만 집값의 메리트가 워낙 커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 == 경제 == 지하자원이 시 경제의 대부분을 책임진다. 허베이성에서도 상당히 거대한 양의 석탄이 매장된 도시로, 현재 랑팡시 내에 매장된 석탄의 양은 약 190억톤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또한 매장된 석탄 대부분이 [[무연탄]]이다. 이 외에도 2억톤의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으며, 관련 개발도 진행 중이다. == 교통 == [[베이징시]]과 [[상하이시]]를 잇는 [[징후고속철도]] [[랑팡역]]이 있다. 또한 [[베이징시]]에서 [[친황다오시]]를 잇는 철도 역시 [[월경지]]를 통과한다. 관내에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공항 터미널과 부지 상당수가 랑팡시에 위치한다. 다만 공항에 가기 위해서는 베이징 땅을 지나가야 해서 공항 터미널은 랑팡 입장에서는 실질 월경지이다.]이 있으며, 관외에도 근처에만 2개의 대규모 공항[*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 ]이 있으므로 항공 교통 역시 편리하다. 시내에는 [[지하철]]이 없다.다만 추후 [[베이징시]] 지하철과의 연결이 예정되어 있다. [[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 [[다싱공항역]]이 랑팡시 주소지이다. == 출신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랑팡시 출신 인물)] [[분류:허베이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