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구글의 창업주)] [include(틀:역대 구글의 CEO)] ||<-2> '''[[구글|[[파일:구글 로고.svg|height=22]]]] CEO[br]{{{+1 래리 페이지}}}[br]Larry Pag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래리 페이지.jpg|width=100%]]}}} || || '''본명''' ||로렌스 에드워드 페이지[br]Lawrence Edward Page|| ||<|2> '''출생''' ||[[1973년]] [[3월 26일]] ([age(1973-03-26)]세)|| ||[[미국]] [[미시간주]] 이스트랜싱||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 || '''학력''' ||[[미시간 대학교]] {{{-2 ([[컴퓨터공학]] / [[학사]])}}}[br][[스탠퍼드 대학교]] {{{-2 ([[컴퓨터과학]] / [[석사]])}}}|| || '''경력''' ||[[구글]] CEO ^^(1998–2001)^^^^(2011–15)^^[br][[알파벳(기업)|알파벳]] CEO ^^(2015-2019)^^ || || '''재산''' ||'''1,148억 달러 {{{-2 (한화 약 153조 8403억원)}}}'''[* 2023년 9월 [[포브스]] 기준으로, [[세계 부자 순위]] 8위에 해당한다. [[알파벳(기업)|알파벳]] 지분 3.1% 가량을 보유하고 있는 개인 최대주주이다.]|| || '''배우자''' ||루신다 사우스워스 ^^(2007년 결혼)^^|| || '''자녀''' ||2명|| || '''서명''' ||[[파일:Larry_Page_google_signature.svg|width=150&bgcolor=#fff]]|| [목차] [clearfix] == 개요 == 래리 페이지는 [[미국]]의 [[기업인]]이다. [[구글]]의 설립자로 유명하며 1,3대 CEO를 역임했다. 현재는 경영에서 물러나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기업)|알파벳]]의 이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 생애 == [[미국]] [[미시간주]]에서 태어난 [[유대인]]이다. 부모 둘 다 대학교 컴퓨터과학 교수였다. 래리는 [[미시간 대학교]]에 진학해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부모와 마찬가지로 컴퓨터과학 교수가 되고 싶었던 그는 [[스탠퍼드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해 [[월드 와이드 웹]], 텔레프레슨스(원격 관리툴) 등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러다 1996년 'BackRub'라는 원시적 검색엔진을 만들게 되었고 이게 페이지 랭크 알고리즘으로 구체화되자 동료였던 [[세르게이 브린]]과 함께 [[구글]]을 공동창업했다. == 성격 == 상당히 독특한 성격의 소유자로, 비엔지니어가 엔지니어를 관리하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매니저를 전부 해고하려 시도하는 등. [[구글/조직문화|구글의 고유한 기업문화]] 상당 부분은 래리 페이지의 철학에 기반하고 있다. 다만 이 때문에 20대 초반에는 CEO로서는 불안하다는 투자자들의 요구에 따라 [[에릭 슈미트]]를 CEO로 앉히기도. 이후 그를 도와 구글의 [[기업공개]]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이후 구글의 CEO로 돌아왔다가 구글의 조직 개편을 거쳐 지주 회사인 [[알파벳(기업)|알파벳]]의 CEO 자리에 앉았다. 2019년에는 현 구글 CEO [[선다 피차이]]에게 내어주고 자문역으로 내려왔다. 현 시점 그의 역할은 자잘한 경영에서 물러나 구글이라는 거대한 회사의 비전을 제시하는 자문가에 가깝다. 이는 에릭 슈미트에게 CEO 자리를 넘긴 시점부터 계속 되어 왔던 것으로 앤디 루빈과 만나 그의 아이디어인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를 5,000만 달러에 인수한다는 결정을 내리는 등 중요한 인수 합병의 결정은 대부분 그가 내린다고 한다. 이는 현 시점에서는 연구 개발 단계에서 머물러 수익을 내지는 못하지만 미래에는 인류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중대한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회사 차원에서 내리기 힘든 투자는 개인적으로라도 한다고. 최근에는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에 1억 달러를 투자하기도 했다.[* 대학원 시절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연구도 진행했을 만큼 자동차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 여담 == * 2012년 성대 질환을 겪어 일부가 마비된 이후로는 목소리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상태다. * [[유대계 미국인]] 집안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독실한 유대교 신자인 어머니와 달리, ‘기술’을 종교로 삼았던 아버지의 길을 따랐다. 이는 래리가 여덟 살 때 부모가 이혼한 상처 때문일지도 모른다. * 외향적인 브린이 남의 주목을 받는 데 익숙하다면, 내성적인 페이지는 혼자 있는 것을 즐겼다. 브린이 실용적이고 문제 해결에 뛰어난 반면, 페이지는 신중하고 분석적인 스타일이다. 훗날 구글 제국을 이룩하는 데 있어, 두 사람의 대조적인 캐릭터는 상호 보완을 이뤘다.[* 구글의 2대 CEO인 에릭 슈미트는 둘에 대해 "래리는 수줍음 많고 사려 깊고 섬세하며 선형적으로 사고한다. 세르게이는 시끄럽고 제정신이 아니고 통찰력이 넘친다. 두 사람이 너무 다르다. 처음 이곳에 왔을 때 세르게이 혼자서 말을 다 해버려서 래리가 말을 못하나 보나 했다."라고 말했다.[[http://shindonga.donga.com/3/all/13/109782/3|#]]] * [[일론 머스크]]는 업무를 위해 [[실리콘밸리]]에 출장올 때 마다 페이지의 집에서 묵곤 했을 정도로 절친한 사이였으나 [[인공지능]] 관련 이슈로 절연했다고 한다. 페이지는 인공지능 업계에서 향후 [[AGI]]가 나타나 모든 면에서 자연지능을 능가하게 되더라도 의식이 기계에 의해 복제될 수 있다면 그 자체로 인간의 의식만큼 소중하다고 주장하며 [[구글]] 내에서 별다른 안전장치를 대비하는 것을 무의미하게 여긴 반면 머스크는 안전장치를 마련하지 않을 시 인간이 지적으로 우월한 인공지능이게 대체당할 수 있기 때문에 잠재 위험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에 페이지는 머스크가 인간의 종만 편향적으로 우월시하는 종차별주의자라고 비판했다. 머스크의 이런 견해는 [[딥마인드]]의 창업자 [[데미스 허사비스]]를 만난 이후로 확립된 것인데 이 때문에 2013년 하반기에 구글이 딥마인드를 인수한다고 하자 크게 반발하며 인수 무산을 위해 공들인 적이 있다.[* 결국 인수 이후 설입한 안전위원회에 머스크도 참여했으나 오래가진 못했다. 이후 당시 대통령이던 [[버락 오바마]]와도 해당 사안을 안건으로 삼아 면담하기까지 했다.] 이후 머스크는 [[샘 올트먼]]과 힘을 합쳐 구글-딥마인드에 대응하기 위해 비영리를 표방하며 [[OpenAI]]를 설립하기까지 하는데 이 과정에서 구글 인공지능 분야의 최고 인재였던 [[일리야 수츠케버]]를 보너스 외 연봉만 190만 달러라는 거금까지 제시해가며 수석 과학자로 몰래 영입하면서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았다고 한다. [[분류:미국의 남성 기업인]][[분류:구글]][[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1973년 출생]][[분류:클린턴 카운티(미시간 주) 출신 인물]][[분류:미시간 대학교 출신]][[분류:스탠퍼드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구글/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