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13479.jpg|width=100%]]}}} || || '''{{{+5 {{{#!html MURDERHAWK MONSTER / LANCE ARCHER}}} }}}''' || [목차] == 프로필 == ||<-2> [[파일:랜스아처프로필2.png|width=300]] || ||<-2> [[올 엘리트 레슬링|{{{#9e862d '''AEW'''}}}]] || || '''본명''' || Lance Hoyt || || '''링네임''' || '''Lance Archer'''[br]Lance Hoyt[br]Vance Archer[br]Lance Rock[br]Lance Steel[br]Shadow[br]Breakdown[br]Dallas[br]Hoyt || || '''별칭''' || The American Psycho[br]'''The Murderhawk Monster''' || || '''생년월일''' || [[1977년]] [[2월 28일]] ([age(1977-02-28)]세) || || '''신장''' || 203cm (6' 8") || || '''체중''' || 120kg (265lbs) || || '''출생지''' || [[미국]] [[텍사스|텍사스 주]] 가우스 || || '''시그니처 무브''' || [[빅 붓]][br][[초크슬램]][br]디 디레일러[* 러닝 로우앵글 숄더 블록][br]폴어웨이 슬램[* 스쿱 수플렉스][br]F'n 슬램[* 싯아웃 풀 넬슨 슬램][br][[문설트]][br]스쿱 [[파워슬램]][br]사이드워크 [[파워슬램]][br][[벨리 투 벨리 수플렉스|오버헤드 벨리 투 벨리 수플렉스]][br]펌프핸들 슬램[br]싯아웃 [[파워밤]][br][[스파인버스터]] || || [[피니시 무브|{{{#9e862d '''피니시 무브'''}}}]] || '''[[아이언 클로|EBD 클로]]'''[br]'''[[크루시픽스 파워 밤|블랙아웃]]'''[* 인버티드 크루시픽스 파워 밤][br]텍사스 토네이도[* 파이어맨즈 캐리 페이스버스터][br]파이널 데이즈 / 다크 데이즈[* 스냅 인버티드 [[DDT]]] || || '''경기 스타일'''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파워하우스|파워하우스]]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자이언트|자이언트]] || || '''주요 경력''' || GP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HOW 언디스퓨티드 챔피언 1회[br]라이언스 프라이드 스포츠 챔피언 1회[br][[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2회[br][[NWA]] 텍사스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PCW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br]PCW 태그팀 챔피언 1회[br]PCW 텔레비전 챔피언 1회[br]RCW 챔피언 1회[br]T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WWC 유니버설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2회[* 위에 명시된 동명의 챔피언십과 같으면서 다른데, 정확히 말하자면 NWA 산하 출신인 TNA가 편성되고 [[TN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사용되었던 챔피언십이다.][br]PWI 500인 선정 2013년 올해의 레슬러 95위[br]PWI 500인 선정 2015년 올해의 레슬러 92위[br]PWI 500인 선정 2016년 올해의 레슬러 100위[br][[GHC 태그팀 챔피언십|GHC 태그팀 챔피언]] 2회[br][[월드 태그 리그]] 26 우승[br][[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br][[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3회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spH6lU4CCtA|Vast]][* [[TNA]] 테마곡][br][[https://www.youtube.com/watch?v=GWUb3-7uSOM|Black Fury]][* [[WWE]] 테마곡][br]'''[[https://www.youtube.com/watch?v=G2BYLPNUpfY|Everybody Dies]]'''[* [[신일본 프로레슬링]], [[올 엘리트 레슬링|AEW]] 테마곡] || || '''SNS''' || [[https://www.instagram.com/lance_hoy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ancehoyt, 크기=24)] || == 개요 == >'''Everybody Dies!''' [[올 엘리트 레슬링]] 소속 프로레슬러. 미국의 인디 단체와 [[TNA]]에서 랜스 호잇이라는 링네임으로 활동, 그리고 [[WWE]]에서는 밴스 아처[* WWE가 '''빅맨'''이라는 이유로 TNA에서 활동중인 랜스 호잇에게 여러번 러브콜을 보낼 정도였고, WWE에서 활동했으나 반응이 좋지않아 어중간하게 쓰인 끝에 방출당했다.]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하는 등 여기저기를 전전하다 2010년대에 이르러 일본으로 건너 [[프로레슬링 NOAH|노아]],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주로 활동했다. == 커리어 == === [[신일본 프로레슬링]] === [[스즈키 미노루]]가 리더로 있는 악역 스테이블 [[스즈키군]]의 주요 멤버였으며, 주로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와 함께하는 태그팀 전선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그 때까진 싱글 레슬러로써는 미묘한 평가를 받았으나, [[G1 클라이맥스 29]]에서 그 능력이 만개하며 주목도를 높였다.[* 이 활약을 바탕으로 레슬링 옵저버 선정 가장 기량이 발전한 선수로 뽑혔다. 우연히도 그 이전 해의 수상자인 [[애덤 페이지]]도 [[G1 클라이맥스]]에서 두각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2020년 2월 27일에 올 엘리트 레슬링과 전속 계약을 맺었다. === [[올 엘리트 레슬링]] === 2020년 3월 11일 [[AEW 다이너마이트]]에서 매니저 [[제이크 로버츠]]와 함께 관중석에 모습을 드러낸다. 데뷔 이후 큰 위기 없이 전승 가도를 달리면서 강력함을 보여줬다. 초대 [[AEW TNT 챔피언십]] 보유자를 가리는 토너먼트에서도 무난하게 결승에 올랐지만 [[코디(프로레슬러)|코디]]에게 패배하면서 전승 행진이 깨졌다. 토너먼트 이후로도 [[조이 자넬라]]와의 짧은 대립이 있었지만 모두 물리치고 꾸준히 승수를 쌓는 중이다. [[올 아웃 2020|올 아웃]]에서 벌어진 카지노 배틀로얄에서 끝까지 살아남아 승리를 거두고 AEW 월드 챔피언십에 도전할 권한을 얻게되면서 [[존 목슬리]]와 대립이 시작된다. 그러나 2020년 9월 24일 본인의 SNS에 코로나 19 양성 반응이 나와 확진되었다는 글을 올리게 되어 확산 방지를 위해 대립이 중단될 위기에 처해졌다가 10월 14일에 존 목슬리와 붙는게 확정되면서 No DQ 방식이 추가된 붙지만 존 목슬리의 롤업에 패해 챔피언 등극에 실패하자 존 목슬리를 공격하는데, [[에디 킹스턴]] & [[루차 브라더스]]가 난입해서 공격당한다. 이후 PAC이 복귀하게 되면서 루차 브라더스가 에디 킹스턴과 갈라서고 대신 손을 잡은 더 부처 & 더 블레이드 & 더 버니와 꾸준히 대립 중이며, 2020년 12월 30일에 열린 브로디 리 추모 특집 다이너마이트에서는 평소의 경기복이 아닌 브로디 리가 과거 WWE에서 입었던 거 같은 청바지에 민소매 티를 입고 경기에 나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에 TNT챔피언쉽 대립 등을 이어가다가 7월 21일 [[AEW 다이너마이트]]에서 2번째 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오른다. 다만 1달도 안 돼서 [[타나하시 히로시]]에게 벨트를 내줬다. 이후, 신일본 미국지부 대회에도 참전을 예고하고 스즈키 미노루와 다시 재회하여 팀을 이루면서, 2020년 2월 27일에 탈퇴했었던 스즈키군에 재가입하였다. 2021년 들어 스토리라인에서 붕 떠있던 차에 9월 15일 스즈키 미노루와 존 목슬리와의 시합에서 방송시간을 부족을 이유로 스즈키 미노루의 등장음악을 중간에 끊어먹은게 '스즈키 사건' 이라는 이름으로 레슬링 팬들사이 밈화 되었고 아예 그것을 살려 존 목슬리 & 에디 킹스턴 과의 대립으로 이어가게 되었다. 아쉽게도 해당 경기에서 에디 킹스턴의 옛 동료인 호미사이드가 그들을 도우며 아쉽게 패배. 이후 에디 킹스턴과의 경기에서 [[문설트]]를 시전하다가 부상으로 휴식기를 가지게 되었다. 22년 1월 12일차 다이너마이트에서 [[애덤 페이지]]와 댄 램버트와의 세그먼트 도중 난입해 복귀한다. 댄 램버트를 공격하나 싶더니 애덤 페이지를 공격 한 뒤 철제 의자 위에 블랙 아웃을 작렬 시키고 애덤 페이지의 [[AEW 월드 챔피언십]]에 눈독 들이는 모습을 보이며 대립을 암시했다. 그리고 이후 텍사스 데스매치 경기를 치뤘고 탑로프를 끊으며 행맨의 벅샷 래리어트를 막으려는 준비를 했으나 심판을 발판 삼아 넘어온 벅샷 래리어트를 맞고 패배했다. 이후 간간히 다크 매치를 뛰고 MJF에게 고용되어 워들로우에게 패배하였다가 2022년 6월 12일 도미니언에서 G1 명단에 포함되면서 간만에 신일본 무대를 밟게 되었다.[* 발표 당시 함성이 거의 금지되어있는 상황이였음에도 장내에서 절로 환호성이 나왔다.] 매주마다 [[AEW 다크]]에서 자버사냥만 하다가 [[포비든 도어 2022]]에서 [[닉 코모로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G1 클라이맥스 32]]에서 A조에 소속되어 [[배드 럭 파레]], [[제프 콥]]에게 패했지만 [[톰 롤러]], [[야노 토루]], [[조나 락|조나]] 에게 승리를 거두며 [[오카다 카즈치카]]와의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승리한다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 할 수 있는 상황까지 가는데 성공한다. 오카다와의 경기에서 평소와 다르게 영 라이온들을 폭행하지 않고 입장하는 등 진지한 모습을 보이더니 몸을 아끼지 않는 범프들과 오카다를 강하게 압박하는 몬스터 기믹에 어울리는 좋은 경기를 펼쳤으나 아쉽게 오카다에게 패배하며 탈락하고 만다. 경기 후 오카다와 주먹을 맞대며 오카다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스즈키 군의 마지막 날에 모습을 보이고 스즈키 미노루에게 인정을 받는다. 2023년 4월 [[AEW 다이너마이트]]에 복귀하였지만 워들로우에게 패배한 후, 소리소문없이 사라졌다가 2023년 7월 14일 [[AEW 램페이지]]에 다시 등장하여 [[트렌트 베레타]]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경기가 끝난 뒤에 [[트렌트 베레타]]를 부축하기 위해 나온 [[베스트 프렌즈]]의 멤버인 [[척 테일러]]를 공격하였고, 이를 돕기 위해 나온 또 다른 [[베스트 프렌즈]]의 멤버인 [[오렌지 캐시디]]까지 공격하려다가 매니저인 [[제이크 로버츠]]의 중재로 [[오렌지 캐시디]]가 보유하고 있는 [[AEW 인터내셔널 챔피언십]]에 도전하기로 한다. 곧바로 다음날 펼쳐진 [[AEW 배틀 오브 더 벨츠]], [[오렌지 캐시디]]와의 [[AEW 인터내셔널 챔피언십]] 경기에서 시종일관 경기를 지배하였지만, [[에이프런]]에서 해머링을 주고 받다 카운트아웃이 될 무렵 [[오렌지 캐시디]]의 펀치를 맞고 링 바깥으로 떨어졌고, 그 사이에 [[오렌지 캐시디]]는 링 안으로 들어와 카운트아웃 패배를 당하고 만다. 이로써, 랜스 아처는 [[올 엘리트 레슬링|AEW]] 남성부의 3대 싱글 타이틀인 [[AEW 월드 챔피언십]], [[AEW TNT 챔피언십]], [[AEW 인터내셔널 챔피언십]]에서 모두 패배하는 불명예를 얻게 된다. 그것도 스토리라인을 통해 장기간 빌드업 과정을 거치는 게 아니라, 단기간에 뜬금포로 등장하였다가 패배 후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인 게 더 굴욕적이다. 즉 [[올 엘리트 레슬링|AEW]]에서 랜스 아처의 위치는 챔피언들이 스토리라인상 마땅히 대립할 상대가 없는 공백기에 등장하여 챔피언들의 방어 횟수만 늘려주고 사라지는 '파트 타임 고급 자버'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러한 역할을 계속 수행하는 걸 보면, 한 단체를 대표하는 톱스타가 되겠다는 야망보다는 두 메이저 단체인 [[올 엘리트 레슬링|AEW]]와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양쪽에서 출연료를 받고 있는 삶에 더 만족하는 듯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스즈키군)] ||<-5>
[[카지노 배틀로얄|[[파일:casino-battle-roya.jpg|width=300]]]] || ||<-5> '''{{{#000 2020년 AEW [[올 아웃 2020|{{{#000 올 아웃}}}]] [[카지노 배틀로얄|{{{#000 카지노 배틀로얄}}}]] 우승자}}}''' || || [[나일라 로즈]] ||→|| '''랜스 아처''' || → || [[정글 보이]] || ||<-5>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width=20]] {{{#white '''역대 [[월드 태그 리그|{{{#white 월드 태그 리그}}}]] 우승자'''}}} || || {{{#000000 '''2010'''}}} || {{{#000000 →}}} || {{{#000000 '''2011'''}}} || {{{#000000 →}}} || {{{#000000 '''2012'''}}} || || {{{#000000 청의군}}} [br] [[나가타 유지|{{{#000000 나가타 유지}}}]] & {{{#000000 이노우에 와타루}}} || {{{#000000 →}}} || '''[[스즈키군|{{{#000000 스즈키군}}}]] [br] {{{#000000 랜스 아처}}} & [[스즈키 미노루|{{{#000000 스즈키 미노루}}}]]''' || {{{#000000 →}}} || {{{#000000 Sword & Guns}}} [br] [[고토 히로오키|{{{#000000 고토 히로오키}}}]] & [[칼 앤더슨|{{{#000000 칼 앤더슨}}}]] || ||<-5>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가장 기량이 발전한 선수'''}}} || || [[애덤 페이지]][br](2018) || {{{+1 → }}} || '''{{{#000000 랜스 아처[br](2019)}}}''' || {{{+1 → }}} || [[브릿 베이커]][br](2020) || ||<-3>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최악의 경기'''}}} || || 2006년 || 10월 24일[br] [[TNA|TNA 임팩트!]] || 리버스 배틀로얄[br][[알 트루스|론 킬링스]] vs '''랜스 호잇''' || [[분류:1977년 출생]][[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밀람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2000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