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71B4D 0%, #871B4D 20%, #871B4D 80%, #871B4D);" '''{{{#fff The Right Reverend[br]{{{+1 랜슬롯 앤드루스}}}[br]Lancelot Andrew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앤드루스.png|width=100%]]}}} || ||<|2> '''{{{#white 출생}}}''' ||[[1555년]] || ||[[잉글랜드 왕국]] [[런던]] 올핼로우즈바이더타워 || ||<|2> '''{{{#white 사망}}}''' ||[[1626년]] [[9월 25일]] (향년 70~72세) || ||[[잉글랜드 왕국]] [[서리주]] [[서더크]] || || '''{{{#white 학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Pembroke College (펨브록 컬리지)|펨브록 컬리지]] {{{-2 ([[학사|B.A.]])}}}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Pembroke College (펨브록 컬리지)|펨브록 컬리지]] {{{-2 ([[석사|M.A.]])}}} [[옥스퍼드 대학교]] {{{-2 ([[석사|M.A.]])}}} || || '''{{{#white 종교}}}''' ||[[성공회]] || || '''{{{#white 직업}}}''' ||[[성직자]]([[주교]]), [[번역가]] || ||<|2> '''{{{#white 사제 서품}}}''' ||[[1580년]] [[6월 11일]] || ||윌리엄 채더튼 체스터교구장 주례 || ||<|6> '''{{{#white 재임 기간}}}''' ||<#e7e7e7,#1f2023>치체스터교구장 || ||[[1605년]]~[[1609년]] || ||<#e7e7e7,#1f2023>엘리교구장 || ||[[1609년]]~[[1619년]] || ||<#e7e7e7,#1f2023>[[성공회 윈체스터교구|윈체스터교구]]장 || ||[[1619년]]~[[1626년]] || || '''{{{#white 축일}}}''' ||[[9월 25일]][* [[잉글랜드 국교회]] 축일.] [[9월 26일]][* [[미국]] [[성공회]] 축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성공회]] [[주교]]이자 [[번역가]]. 영어권에서 가장 많이 읽히고 가장 널리 알려진 [[성경]]인 [[킹 제임스 성경]]을 탄생시킨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로 손꼽힌다. == 생애 == 랜슬롯 앤드루스는 1555년 [[시티 오브 런던]]에 위치한 성당인 올핼로우즈바이더타워(All Hallows-by-the-Tower)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토머스 앤드루스(Thomas Andrewes)는 트리니티 하우스(Trinity House)[* [[잉글랜드]], [[웨일스]], [[채널 제도]], [[지브롤터]]에 설치된 등대들을 총괄하는 공공기관.]의 수장이었다. 앤드루스는 쿠퍼 자유학교와 머천트 테일러즈 학교를 거쳐 157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입학해 1578년 [[석사]] 학위로 졸업했다. 이후 1580년 6월 11일 그는 윌리엄 채더튼(William Chaderton)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았고, 이듬해 1581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분주하게 보낸 그는 한 달간 휴가를 보냈는데, 그는 그 시간 동안 해외 언어에 박식한 학자를 만나 그와 교류하면서 언어 공부를 착수했다. 이때를 시작으로 앤드루스는 몇 년 뒤 당시 유럽의 대부분 언어를 구사하게 되었다. 앤드루스는 풍부한 지식과 빼어난 말솜씨로 설교를 했고 그의 발언들은 매번 각광을 받으면서도 동시에 논란을 일으켰으나 오히려 이러한 화제로 그는 승승장구를 하게 되었다. 1589년 앤드루스는 자신의 모교인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Pembroke College (펨브록 컬리지)|펨브록 컬리지]]의 수장으로 발탁되었으며 동시에 존 휘트기프트(John Whitgift) [[캔터베리 대주교]]의 직속 [[사제]]가 되었다.1590년 그는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직속 사제직을 맡았고, 1601년 [[웨스트민스터 사원|웨스트민스터 성당]]의 주임 사제로 임명되었다. 앤드루스의 상승세는 멈추지 않았다. 1603년 그는 웨스트민스터 성당의 주임 사제로서 새로운 국왕 [[제임스 1세]]의 대관식을 진행했고, 1604년 왕의 지시에 따라 [[킹 제임스 성경]] 제작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구약성경]] 중 [[창세기]]와 [[열왕기]]를 영어로 번역하는 첫 번째 웨스트민스터 모임(First Westminster Company)의 감독과 킹 제임스 성경 전체 편집자를 겸임했다. 1605년 그는 투표를 통해 치체스터교구장으로 발탁되었고, 당시 [[종교 개혁#가톨릭의 대항|반종교개혁]]의 대표 주자로 손꼽히던 로베르토 벨라르미노(Roberto Bellarmino) [[예수회]] 소속 [[추기경]]의 비판에 맞서는 저서들을 발간했다. 그는 1609년 엘리교구장을 맡게 되었을 때도 벨라르미노 추기경과의 논박을 이어 갔다. 1619년 앤드루스는 [[성공회 윈체스터교구|윈체스터교구]]장으로 발탁되었고 1626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훌륭한 지도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관할 교구를 탁월하게 운영해 해당 교구의 사제들과 신자들은 물론 주변 귀족들 및 유력가들로부터도 존경을 받았다. 1626년 9월 25일 그는 [[서리주]] [[서더크]]에 위치한 서더크 궁전에서 생을 마쳤다. [[분류:1555년 출생]][[분류:1626년 사망]][[분류:런던 출신 인물]][[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출신/펨브록 컬리지]][[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출신]][[분류:성공회 주교]][[분류:영국의 번역가]][[분류:성공회 성인]][[분류:킹 제임스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