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평양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E55, #FFEE55 20%, #FFEE55 80%, #FFEE55)" {{{#000 '''제17 · 20대 평양시 인민위원회 위원장[br]{{{+1 량만길}}}[br]梁萬吉 | Ryang Man-gi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량만길사진.jpg|width=100%]]}}} || || '''출생''' ||[[1941년]] [[4월 16일]] || || '''국적''' ||[[파일:북한 국기.svg|width=28]] [[북한]] || || '''학력''' || || || '''직업''' ||정치인 || || '''경력''' ||[include(틀:조선로동당)]|| || '''소속 정당''' ||[include(틀:조선로동당)]||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정치인. 1990년 국가계획위원회 행정조직국장 직을 거쳐 1998년 평양시 인민위원장에 임명되었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밝혀진 직은 북한-라오스 친선협회 위원장이다. == 경력 == 1990년 국가계획위원회 행정조직국장에 임명되었고, 이후 계속 승진을 하여서 1998년, 평양시 책임비서 [[강현수(1917)|강현수]]가 겸임하고 있던 평양시 인민위원장 자리를 넘겨받았다. 이후 1998년, 2003년에 최고인민회의 제10기, 11기 대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00년 강현수가 병사한 이후 책임비서 없는 인민위원장으로 평양시정을 담당했다. 그러다 2006년 [[방철갑]]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좌천당했다가 2010년 다시 평양시 인민위원장에 임명되었고, 3차 당대표자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012년 [[차희림]]이 임명될 때까지 재직했다. 아마 2012년 4차 당대표자회에서 중앙위원회에서 소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2012년 북-라오스 친선협회 위원장 직을 지냈고, 김정일이 사망했을 때 장의의원을 맡기도 하였다. 교육위원회 연구사이며 박사인 량만길이 있는데, 동일인물인지는 불명. [[분류:조선로동당 6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분류:1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분류:평양시인민위원회 위원장]][[분류:1941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