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여자 대표팀, rd1=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other2=풋살 대표팀, rd2=러시아 풋살 국가대표팀)] [include(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 [include(틀:러시아 관련 문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31F2B 15%, #FFFFFF 15%, #FFFFFF 25%, #E31F2B 25%, #E31F2B 75%, #FFFFFF 75%, #FFFFFF 85%, #E31F2B 85%, #E31F2B)" [[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50]][br][* [[:파일:러시아 축구 연합 로고.svg|축구 협회 엠블럼]]이 따로 있으나 유니폼에는 러시아의 국장이 들어간다. 유럽 국가들 중에는 이렇게 유니폼에 축구 협회 엠블럼이 아닌 자국의 국장을 넣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40B0B 0%, #E31F2B 20%, #E31F2B 80%, #C40B0B)" {{{+2 {{{#ffffff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2> {{{#353f55 '''Национа́льная 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футбо́лу'''}}}[* [[러시아어]]: 나찌아날나야 스보르나야 라씨이 빠 푸드볼루] || || '''FIFA 코드''' ||'''RUS''' || || '''축구 협회''' ||[[러시아 축구 연합]] (RFU) || || '''대륙 연맹''' ||--[[유럽 축구 연맹]] (UEFA)--[*자격정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징계 조치로 추후 별도의 해제 공지가 나오기 전까지는 [[https://www.joongang.co.kr/amparticle/25051956|FIFA와 UEFA가 주관하는 모든 대회에서 출전할 수 없다.]]] || || '''홈 경기장''' ||[[루즈니키 스타디움]][br](Luzhniki Stadium, 81,000석) || || '''별칭''' ||Сборная команда (종합팀)[* 알파벳 표기로는 sbornaya komanda][br]Трёхцветные Медведи (삼색 곰)[br]Русская дружина (러시아팀) || || '''감독''' ||[include(틀:국기,국명=러시아,출력= )] [[발레리 카르핀]] {{{-2 (Valeriy Karpin)}}} || || '''주장'''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5em" {{{#ffffff '''C'''}}}}}} [[드미트리 바리노프]] {{{-2 (Dmitriy Barinov)}}} || || '''라이벌'''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100%]]}}} 우크라이나]]'''[br][[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100%]]}}} 핀란드]] || || '''FIFA 랭킹''' ||'''37위''' (2022년 12월 22일 기준 / [[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RUS|#]]) || || '''Elo 랭킹''' ||'''32위''' (2022년 12월 27일 기준 / [[https://www.eloratings.net/|#]]) || || '''공식 웹사이트''' ||[[https://www.instagram.com/teamrussi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2><^|1>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A매치 최다 출전}}}'''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2 (Sergei Ignashevich)}}}[br]- '''127경기''' / 8골 || || '''{{{-2 A매치 최다 득점}}}''' ||[[올레흐 블로힌]] {{{-2 (Oleh Blokhin)}}}[* 이 기록은 [[소련]] 시절에 세운 기록이다. 현재 블로힌은 [[우크라이나]] 국적을 가지고 있다.][br]- 112경기 / '''42골''' || || '''{{{-2 월드컵 최다 득점}}}''' ||[[올레크 살렌코]] {{{-2 (Oleg Salenko)}}}[br]- '''6골''' {{{-1 (1994)}}} || || '''{{{-2 첫 국제경기 출전}}}'''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러시아 vs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핀란드]] 1:2 '''{{{#ff0000 패}}}'''[br]{{{-1 ([[스웨덴]] [[스톡홀름]] / [[1912년]] [[6월 30일]])}}} || || '''{{{-2 최다 점수차 승리}}}'''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소련 국기.svg|width=100%]]}}} 소련 vs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인도 국기.svg|width=100%]]}}} 인도]] 11:1 '''{{{#0000ff 승}}}'''[br]{{{-1 ([[소련]] [[모스크바]] / [[1955년]] [[9월 16일]])}}}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소련 국기.svg|width=100%]]}}} 소련 vs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100%]]}}} 핀란드]] 10:0 '''{{{#0000ff 승}}}'''[br]{{{-1 ([[핀란드]] [[헬싱키]] / [[1957년]] [[8월 15일]])}}} || || '''{{{-2 최다 점수차 패배}}}'''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러시아 vs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width=100%]]}}} 독일]] 0:16 '''{{{#ff0000 패}}}'''[br]{{{-1 ([[스웨덴]] [[스톡홀름]] / [[1912년]] [[7월 1일]])}}} || }}}}}}}}}}}} || ||<-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 '''세계대회'''}}} || || '''{{{-2 [[FIFA 월드컵|{{{#fff 월드컵}}}]]}}}''' ||'''[진출]''' 11회[br]'''[최고]''' 4위 {{{-1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1966]])}}} || || '''{{{-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fff 컨페드컵}}}]]}}}''' ||'''[진출]''' 1회[br]'''[최고]''' 5위/조별리그[* 월드컵 우승국, 각 대륙컵 우승국, 개최국이 진출한 총 8개국 진출 대회이며, 8강 조별리그 다음 4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던 대회이다.] {{{-1 ([[201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러시아|2017]])}}} || || '''{{{-2 [[올림픽 축구|{{{#fff 올림픽}}}]]}}}''' ||'''[진출]''' 7회[br]'''[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0]] {{{-1 ([[1956 멜버른 올림픽/축구|1956]], [[1988 서울 올림픽/축구|1988]])}}} || ||<-2> {{{#fff '''대륙대회'''}}} || || '''{{{-2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fff 유로}}}]]}}}''' ||'''[진출]''' 11회[br]'''[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0]] {{{-1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1960]])}}} || }}}}}}}}}}}} || ||
{{{#ffffff ''' 유니폼 컬러 ''' }}} || {{{#ffffff ''' 홈 ''' }}} || {{{#ffffff ''' 어웨이 ''' }}} || {{{#ffffff ''' 서드 ''' }}} || || {{{#c8ab37 '''상의'''}}} || {{{#!wiki style="margin: -10px -5px; padding: 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31F2B 1%, #FFFFFF 1%, #FFFFFF 6%, #E31F2B 6%, #E31F2B 94%, #FFFFFF 94%, #FFFFFF 99%, #E31F2B 99%, #E31F2B)" [[러시아 축구 연합|[[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13]]]][br][[알렉산드르 골로빈|{{{#ffffff '''17'''}}}]][br][br]}}}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25%, #D2D2D0 50%, #FFFFFF 75%)" [[러시아 축구 연합|[[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13]]]][br][[안톤 미란추크|{{{#353f55 '''19'''}}}]][br][br]}}}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25%, #D2D2D0 50%, #FFFFFF 75%)" [[러시아 축구 연합|[[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13]]]][br][[달레르 쿠쟈예프|{{{#353f55 '''23'''}}}]][br][br]}}} || || {{{#c8ab37 '''하의'''}}} || [[알렉산드르 골로빈|{{{#ffffff ,,'''17''',,}}}]]|| [[안톤 미란추크|{{{#353f55 ,,'''19''',,}}}]]|| [[달레르 쿠쟈예프 |{{{#ffffff ,,'''23''',,}}}]]|| || {{{#c8ab37 '''양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15%, #1D439B 15%, #1D439B 35%, #E31F2B 35%, #E31F2B)"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15%, #353F55 15%, #353F55 17%, #FFFFFF 17%, #FFFFFF 19%, #353F55 19%, #353F55 21%, #FFFFFF 21%, #FFFFFF 23%, #353F55 23%, #353F55 25%, #FFFFFF 25%, #FFFFFF)"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D1926 15%, #FFFFFF 15%, #FFFFFF 17%, #BD1926 17%, #BD1926 19%, #FFFFFF 19%, #FFFFFF 21%, #BD1926 21%, #BD1926 23%, #FFFFFF 23%, #FFFFFF 25%, #BD1926 25%, #BD1926)"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축구]] [[국가대표|국가대표팀]]을 다루는 문서. 침공 이전에는 [[돈바스 전쟁]]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와 같은 조로 배정되지 않았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때문에 러시아 스포츠계가 제재를 당하면서, 결국 별도의 공지가 있을 때까지 [[FIFA]]와 [[UEFA]]가 주관하는 모든 경기에서 무기한 퇴출되었다. 단, 비공인 친선전은 가능하다. 러시아의 주요 홈 경기장은 모스크바에 위치한 [[루즈니키 스타디움]]과 [[RZD 아레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가즈프롬 아레나]]이다. == 역사 == === 제정 러시아 시절 === 제정 러시아 대표팀의 비공식 첫 경기는 1910년 10월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보헤미아 축구 국가대표팀]][*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였으나, 오스트리아, 헝가리와 별도의 대표팀을 가졌다.]과 한 것이었다. 1912년 1월 전러시아 축구협회가 수립되어 FIFA에 가맹했다. 첫 공식 경기는 1912년 올림픽에서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핀란드 대공국 축구 국가대표팀]][* 당시 [[러시아 제국]]의 영토였지만 별도의 대표팀을 가졌다.]과 한 것이었다. 하지만 더 이상의 발전은 제 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중단된 채 러시아 혁명을 맞았다. === [[소련]]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련 축구 연맹 로고.svg|width=100%]] }}} || [[적백내전]]에서 [[볼셰비키]]가 승리하며 [[소련]]이 성립되자, 국제사회로부터 완전히 고립되어 국제대회 출전 자체가 불가능했다. [[1924년]]에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와 가진 두 차례 경기가 [[1952 헬싱키 올림픽/축구|1952년 올림픽 축구]] 참가 이전에 있었던 매우 드문 공식 경기였다. [[1934년]] [[12월 27일]] 소련축구협회가 성립되었으나, [[FIFA]]로부터도 오랫동안 인정받지 못하다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소련]]이 승리하고 난 [[1946년]]에서야 FIFA에 가맹했다. 소련 시절에는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 등과 함께 동구권의 강호였다. [[1958 스웨덴 월드컵]]에서야 처음 출전하여 8강 6위에 올랐고, 1960년에는 [[UEFA 유로]][* 4개국(4강) 본선]에서 우승도 했다. 이 기세는 [[1966 잉글랜드 월드컵]]에서 4위에 들면서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1974년에는 [[피노체트]] 쿠데타에 항의하여 예선 도중 실격되었고, 1978년 월드컵에는 헝가리에 밀려 5회 연속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1980년대]]까지 전성기를 이어 가는 듯싶더니 [[1990 이탈리아 월드컵]] 본선 24강 조별리그에선 카메룬을 4:0으로 대파했음에도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에 0:2로 패했다. 정작 소련에게 대패하고도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은 아르헨티나와 루마니아를 이기며 조1위로 16강에 올랐고, 루마니아와 아르헨티나가 2위, 3위로 16강에 오르고, 소련은 처음으로 조 최하위로 '''월드컵 17위'''로 16강 진출에 실패하면서 암흑기의 서막을 열었다. 2년 전 유로 88에서 준우승을 했기에 더더욱 충격적인 결과였다. 그리고 [[소련 해체]]와 자본주의 전환으로 소련 대표팀은 15개 개별 공화국의 국가대표팀으로 갈라졌다. 소련 시절 유명한 선수로 골키퍼 [[레프 야신]], [[리나트 다사예프]], 공격수 [[올레흐 블로힌]], [[아나톨리 비쇼베츠]][* [[1996 애틀란타 올림픽]]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을 맡기도 했다.], [[이고르 벨라노프]] 등이 있다. === [[러시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100%]] }}} || 러시아로의 분리 이후로는 영 신통찮은데, 지금까지 [[FIFA 월드컵]]에 4회(1994, 2002, 2014, 2018) 진출하였지만, 자국에서 열린 [[2018 월드컵]] 말고는 한 번도 조별리그의 벽을 넘지 못했다. 그 중 2014년은 '''무승 탈락'''.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라고 해서 사정이 별반 다른 것도 아닌데, 7회(1992년, 1996년, 2004년, 2008년, 2012년, 2016년, 2020년) 진출하였지만, 소련 시절을 제외하면 [[UEFA 유로 2008|유로2008]] 16개국 본선에서만 처음으로 주요 대회 조별리그를 통과하는데 그쳤을 뿐이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통산 A매치 전적은 2승 2무이다. [[1988 서울 올림픽]] 축구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소련 시절 대한민국에 0:0무승부로 승점 1점을 헌납했고[* 당시는 마지막 A매치 대회였고, 23세 이하 출전 규정이 있기 전이다.], 2013년 [[두바이]]에서 가진 친선 경기에서 한국에 2:1 승리를 거두었으며, 이후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도 대한민국에 1:1 무승부로 승점 1점을 헌납하였다. 그리고 2017년 10월 7일 러시아에서 한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4:2로 승리를 거두었지만, 국제대회에서는 대한민국에 승리한적이 없다. ==== ~ 2018년 ==== [[UEFA 유로 1992]] 지역예선 직후인 1991년 말 [[소련 해체]]를 맞이하면서 '[[독립국가연합]](CIS)'라는 이름으로 유로 1992 8개국(8강) 본선에 진출했지만 2무 1패로 조별리그에서 최하위 대회 8위로 떨어지는 큰 굴욕을 당했다. 유로 이후 독립국가연합 축구 국가대표팀이 해체되고 [[러시아 축구 연합]]으로 협회를 변화시키면서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94 FIFA 월드컵 미국]]에서는 이전 대회에 이어서 다시 만난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을 6:1로 크게 이기고도[* 이 경기에서는 월드컵 역사상 [[올레그 살렌코|한 경기 최다 득점 선수]]와 [[로저 밀러|최고령 득점 선수]]가 동시에 나왔다.] 앞선 경기에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에 각각 0:2, 1:3으로 지는 바람에 24강 조별리그에서 탈락(18위)했다. 2년 뒤 [[UEFA 유로 1996]]에서도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와 죽음의 조에 엮여 조 꼴찌로 대회 14위로 탈락했다. 그래도 연방 해체 직후인 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메이저 대회 본선은 나오면서 국가대표의 체면은 조금이나마 세우고 있었다. '''하지만 이후 기나긴 침체에 빠져든다.'''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에서는 플레이오프에서 이탈리아에 밀려 본선도 못 나갔고, [[UEFA 유로 2000]] 지역예선에서는 과거 같은 나라였던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에게도 밀려 조 3위로 본선 진출 실패했으며,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에서는 본선에는 진출했으나,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튀니지]]를 잡으면서 시작은 좋았는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에 연속으로 패하면서 32강 조별리그 탈락(22위). [[UEFA 유로 2004]]도 본선 진출 후 본선 조별리그 최하위 대회 10위로 탈락[* 아이러니한 건 이 때 대회 우승국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그리스]]를 잡은 유일한 팀이 러시아였다는 거다.],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서는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과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에 밀려 플레이오프도 못 가고 지역 예선에서 탈락했다. 유로 1996 이후 10년간 월드컵 1회 진출에 1승, 유로 1회 진출에 1승. 확실히 소련 시절에 비하면 엄청난 성적 하락이었다. [[UEFA 유로 2008]]에서 [[거스 히딩크]] 감독이 러시아를 맡아 4강(3위)을 달성했지만, 그로부터 1년 남짓 지난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럽 예선에서는 유로 2008 4강을 이끈 히딩크가 또 팀을 맡았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베니아]]의 벽을 넘지 못하고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특히 조별리그에서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핀란드]]를 제치고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짓고 플옵 1차전에서도 슬로베니아를 안방에서 2:1로 이길 때까지만 해도 러시아의 본선 진출은 거의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였는데, 마지막 2차전에서 0:1로 져서 원정 다득점 원칙에서 밀리는 바람에 탈락했다. 이후 [[UEFA 유로 2012]] 대회에선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와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아르메니아]], 슬로바키아를 누르고 조 1위로 거뜬히 본선에 진출했다. 하지만 유로 2012 본선에서 [[안드레이 아르샤빈]], [[로만 파블류첸코]], [[유리 지르코프]], [[알란 자고예프]] 등 많은 선수들을 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대회 9위로 8강 실패해버렸다. 그래도 유로에서만큼은 성적이 반등하고 있는 점은 희소식이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예선을 앞두고 세계적인 명장 [[파비오 카펠로]]까지 선임하면서 월드컵 준비를 단단히 했는데, 일단 지역예선에서는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을 제치고 당당히 1위로 통과해 '''피파랭킹 19위'''에 오르며 '''12년만에''' FIFA 월드컵 티켓을 얻었다. 차기 대회 개최국의 자존심을 세운 셈. 이제 본선에서 얼마나 좋은 성적을 내느냐가 관심사였는데, 본선에서는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알제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 한 조가 되었다. 첫 대결은 '''피파랭킹 57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 펼치게 되었는데 [[이근호]] 선수에게 선제골을 내주며 '''1:1 무승부'''에 그쳐서 최약체 한국에게 승점 1점을 내주었고, 두 번째 상대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에 0:1로 패하며 조별리그 탈락 위기에 처했다. 마지막 3차전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알제리]]전에서는 적어도 3골차로 이겨야지 조 2위라도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알제리도 만만치 않아 1:1로 비겨 결국 '''2무 1패'''라는 초라한 성적을 기록하며 조별리그 탈락(24위)의 쓴맛을 봤다. 이로써 결국 [[소련 해체]] 이후로 한 번도 메이저 대회 조별리그를 넘지 못하는 [[징크스]]를 또다시 이어갔고, 최초의 '''무승 탈락'''이라는 추가 굴욕까지 맛보게 되었다. 또한 탈락도 탈락이지만, 러시아는 당시 거진 반쯤 [[콩가루 집안]] 상태였던 [[홍명보호]]를 '''유일하게''' 못 이긴 것도 화근이 되면서 탈락하였다. 심지어 당시 감독이 어마어마한 돈을 들여 데려온데다 브라질 월드컵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감독이었던 [[파비오 카펠로]]였으니 카펠로나 러시아나 하나같이 상처만 남게 되었다. 대회 종료 이후 카펠로는 지속적으로 사퇴 압박을 받아 왔지만, 어찌어찌해서 감독직은 간신히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UEFA 유로 2016/예선|UEFA 유로 2016 예선]]에서 [[UEFA 유로 2016/예선/G조|G조]]에 속하였다. [[UEFA 유로 2012]] 본선에서 소동을 일으킨 바람에 받은 징계로 승점 6점을 까고 들어가지만, 러시아의 현 전력으로선 스웨덴과 1, 2위를 다툴 전망이다. 하지만 이러한 예상과 달리 G조 예선 초반부터 너무 부진하면서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에 두 번 다 깨지자 결국 카펠로는 2015년 6월 중도에 해임되었고, 그 뒤를 이어 [[레오니트 슬루츠키]]가 땜빵으로 대표팀을 지휘하는 악재를 맞았지만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리히텐슈타인]],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몰도바]],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몬테네그로]]를 계속 격파하여 조 2위로 간신히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에 이어 [[UEFA 유로 2016]] 본선에 진출했다. 슬루츠키 감독은 악재를 이기고 본선에 대표팀을 진출시킨 공으로 계약이 연장되었지만, 정작 러시아 대표팀은 유로 2016 본선에서 최악의 경기력을 선보이며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와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웨일스]]에게 연패하며 1무 2패 대회 23위로 또다시 조 꼴지에 '''무승 탈락'''이라는 성적표를 받았다. 대표팀 감독 [[레오니트 슬루츠키]]는 당연히 대표팀 감독에서 물러났고 이러한 부진에 당장 2년 남은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자국에서 열리는 월드컵]]에서 러시아 대표팀이 [[블라디미르 푸틴]]과 [[러시아인]]들 앞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걱정하는 시선들이 많아졌다. 8월 11일 [[쿠르반 베르디예프]]와 함께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가 비어있는 국가대표 감독직 후보에 올랐으나 베르디예프가 클럽 팀 감독을 원하는 관계로 체르체소프가 러시아 국가대표팀의 감독에 임명되었다. 새로운 감독을 기용하면서 어수선한 분위기를 뒤집고 다시 강한 모습을 보여줄 것이란 기대가 있었지만, [[201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러시아]]에서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뉴질랜드]]만 이기며 대회 5위로 4강 진출에 실패하면서[* 8개팀 조별리그], [[2018 러시아 월드컵]] 직전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한국]]전 이후로 평가전들에서 무승부는 거둬도 '''한 번도 이기지 못하면서''' 러시아 대표팀에 관한 시선은 더욱 부정적으로 변했다. ==== 2018년 ~ 2022년 ==== 하지만 러시아 대표팀은 본선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를 5:0,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이집트]]를 3:1로 꺾고 [[소련 해체]] 이후 처음으로 [[FIFA 월드컵]] 16강에 진출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모두를 놀라게 했다. 이때만 해도 역대급 꿀조와 개최국빨로 16강에 간 것이라고 다들 생각했지만, 16강전에서 만난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을 상대로 [[승부차기]] 끝에 이기며 '''러시아 역사상 처음으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범위를 넓히면 무려 1970년 이후 48년 만에 FIFA 월드컵 8강에 진출했다.''' 8강전 상대가 스페인보다는 쉬운 편에 속하는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라서 내심 4강 진출도 노렸지만, 크로아티아와의 2:2 무승부 이후 승부차기 접전 끝에 4:3으로 져 4강 진출엔 아깝게 실패했다. 그래도 조별리그 통과도 어렵다던 세간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결과를 보여주어 러시아에서는 대표팀의 활약에 긍정적인 반응이 많아졌다. [[UEFA 유로 2020]] 24강 본선에 가볍게 진출하면서 소련 시절의 위세를 되찾아가나 했지만, 이러한 기대가 무색하게 유로 2020 본선에서는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에게 대패하는 바람에 B조 꼴찌, 유로 2020 16강 실패와 유로 최종 19위라는 굴욕을 맛보고 말았다. 게다가 2018 러시아 월드컵 이후 엄청난 문제들이 곳곳에서 터졌는데, [[알렉산드르 코코린]]과 [[파벨 마마예프]]가 각각 [[인종차별]]과 [[증오범죄]]라는 대형사고들을 저질러 국가대표팀에서 [[영구제명]]을 당한데다가 세계 반 도핑 기구(WADA)에게 2012~2015년 자국 올림픽 운동선수들의 도핑샘플을 조작한 것까지 모조리 걸리면서 (2018 월드컵과 관련없음 즉, 2018 때는 도핑없이 8강까지 간 것이므로 도핑 했다는 말은 통하지 않는다.) 2019년 12월 9일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회의를 통해 만장일치로 러시아에게 4년 간 모든 국제대회 출전 금지를 내리게 되었다. 이 조치로 인해 러시아는 '러시아'라는 명의로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카타르 월드컵]]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https://m.sports.naver.com/news.nhn?oid=413&aid=0000092556|#]] * 러시아 국가대표팀들이 참가는 가능한 FIFA 주관 대회들([[FIFA]] 허가 조건으로 가칭 FIFA Footballers from Russia(FIFAFR) 명의로 참가 가능. 다만 참가한 경기들에서 우승을 달성해도 러시아 축구 대표팀의 공식 우승 기록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 '''러시아 남자 국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본선'''[* 지역예선은 FIFA가 아닌 [[UEFA]] 주관이므로 러시아 명의로 참가가 가능하다.] * 러시아 U-23 남자 국가대표팀: [[2024 파리 올림픽]] [[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남자 축구]] * 러시아 U-20 남자 국가대표팀: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 러시아 U-17 남자 국가대표팀: [[2023 FIFA U-17 월드컵 인도네시아]]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 러시아 U-20 여자 국가대표팀: 2020 FIFA U-20 여자 월드컵 코스타리카·파나마, 2022 FIFA U-20 여자 월드컵, 2024 FIFA U-20 여자 월드컵 * 러시아 U-17 여자 국가대표팀: 2020 FIFA U-17 여자 월드컵 인도, 2022 FIFA U-17 여자 월드컵, 2024 FIFA U-17 여자 월드컵 2021년에 치러진 [[FIFA 풋살 월드컵]] 리투아니아와 FIFA 비치 사커 월드컵에서 러시아 대표팀이 모두 [[러시아 축구 연합]](RFU)이라는 이름으로 출전하였고, 비치 사커 월드컵에서는 우승을 달성했다. 앞서 다른 대표팀들의 선례를 보아 [[카타르 월드컵 유럽 예선]] 통과 시에는 [[러시아 축구 연합|RFU]], 혹은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을 본딴 러시아 출신 월드컵 선수라는 이름으로 월드컵 본선에 출전할 것이 확실시 되었으나....... 밑 문단 참고. ==== 2022년 ~ ==== 이번엔 자국 대통령인 푸틴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제까지의 사건사고들을 모조리 묻히게 만든 초대형 사고]]'''를 쳤다! 이로 인해 기존에 적용하고 있던 A매치에서 러시아 국호·국기·국가 사용 불허 징계는 물론 러시아 내부에서 모든 국제 경기를 개최하지 못하게 되었고, 남은 홈경기들은 중립구장에서 열리며, 러시아를 응원하는 서포터들은 경기장 일체 출입금지 신세가 되었다. 이런 조치가 내려지고서도 여러 국가들이 러시아가 중립구장에서 경기를 치르는 것조차 반발하며 러시아와의 경기에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당장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플레이오프]]를 치르는 데 문제가 생겼다. 결국 러시아 스포츠계 전체의 제재가 더욱 강화되고 축구에서도 국가대표팀과 러시아 리그 소속 모든 팀들이 [[FIFA]]와 [[UEFA]]에서 주관하는 모든 경기들에서 '''무기한 퇴출'''되고 말았다. 이로써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러시아라는 공식 명의로서는 물론, 러시아 축구 연합이라는 대체 명의로서도 공식적으로 A매치를 아예 치르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어 1912년 러시아 축구 협회 설립 이래 사실상 100년 전 소비에트 정권 성립 직후의 상황으로 회귀하고 말았다. 일각에서는 국제 정치적 분쟁은 분쟁이고 [[스포츠]]는 스포츠인데 스포츠에 왜 [[정치]]를 개입시켰다며 [[FIFA]]를 비난하는 의견도 있으나, 사실 이번처럼 국제적으로 크게 비난받을 인종범죄나 침략전쟁을 저지른 국가가 FIFA에서 퇴출당한 사례는 이번 러시아 이전에도 여러 차례 있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파르트헤이트]] 인종차별 정책으로 인해 수십 년간 모든 국제대회에 참가하지 못했으며,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도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실격 처리되어 한동안 국제 대회에 참가하지 못한 적이 있다. FIFA가 내린 징계는 옛날의 사례들을 봤을 때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이며, 오히려 FIFA는 카타르 월드컵 결승전에서 연설 영상을 틀어달라는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요청도 거부하며 정치 문제와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 물론 FIFA는 할 만큼 했을 뿐이며, 자신들의 최고 이벤트인 월드컵 결승전이 전혀 관련도 없는 국제 분쟁과 엮여 축구 외적인 방향으로 주목받는 것을 좋아할 리가 없으니 거절한 것이 비난받을 일은 아니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이를 알지만, FIFA 입장에서는 러시아를 국제대회에서 제명하는 것 정도가 최선의 선택일 것이다.] 러시아가 월드컵 예선에서 실격되면서 유럽 지역 플레이오프의 경기 일정은 2022년 3월 8일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의 부전승으로 처리되면서 폴란드는 힘 한 번 안 들이고 가볍게 플레이오프 결승에 올라가는 혜택을 입었다. 한편 반대편 대진에서는 스웨덴이 체코를 제치고 결승에 합류했으며,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폴란드가 이기면서 최종적으로 폴란드가 월드컵 본선에 합류했다. 스웨덴 입장에선 살짝 억울할 듯 했지만, 러시아가 전쟁을 일으킨 이후 플레이오프 준결승 당시 러시아의 상대인 폴란드는 물론 같은 준결승 진출팀들인 스웨덴과 체코도 역시 러시아와의 경기를 보이콧하면서 폴란드와 함께 공동 성명을 냈던데다가 FIFA의 러시아 실격으로까지 이어졌기에 스웨덴과 체코는 폴란드가 부전승 혜택을 입어 유리해지는 것을 감수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이쯤 되면 스웨덴과 체코 입장에서 폴란드가 부전승으로 유리해지는 한이 있더라도 자신들이 러시아 같은 인간임을 포기한 지저분한 자들과 경기를 하게 되는 상황 자체를 아예 용납하지 못한 것이다. 다양한 곳에서 가해지는 제재 조치들은 러시아 축구계에 상당히 치명적인 타격을 주고 있는데, 제대로 된 [[A매치]]를 치를 수가 없기에 국가대표팀의 경기력 및 조직력 하락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수밖에 없고, 러시아 리그 팀들의 [[UEFA]] 주관 대회(챔스, 유로파, 유컨) 참여도 불가능해 후배 선수들의 빅리그 진출과 뛰어난 외국인들의 러시아 리그 유입도 어려워져 축구 유망주들이 이들과 경기하면서 성장할 수 있는 발판도 사라지게 되었으며, [[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로 러시아 리그와 국가대표팀을 지원할 스폰서들도 점점 손을 떼고 있어[*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과 2008년부터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을 만들어 왔던 글로벌 기업 [[아디다스]]는 2022년 3월 초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발하며 그 동안 이어왔던 유니폼 스폰서 계약을 전격 해지했다. 그리고 [[가스프롬]], [[아에로플로트]] 등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유럽 축구계를 후원해온 기업들이 유럽 축구 후원사들에서 계속 축출되고 있다.] '''러시아 축구가 유럽은 물론 세계 축구의 트렌드에서도 점차 도태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또한 축구 외적으로 봐도 전쟁으로 인해 부분 동원령이 내려져 러시아 남성들 상당수가 [[군대]]로 징집된 상태인 데다 인명피해, 경제적 피해도 극심해 장기적인 인재풀이 훼손되기도 하였다. 만일 전쟁이 비교적 빠르게 종식되고 러시아와 서방의 관계가 정상화되어 러시아 대표팀이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사례처럼 몇 년 내에 국제사회에 복귀할 수 있다면 쌓아온 축구 전통이 있는 나라이니 부활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사례처럼 사태가 진정되지 않고 러시아가 남아공처럼 수십년간 국제 왕따로 지낸다면 러시아는 그대로 축구 후진국으로 전락해서 현재의 헝가리나 오스트리아, 루마니아, 불가리아와 같은 꼴이 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후 전쟁양샹이 계속 길어지면서 2023년 9일 26일, UEFA가 러시아 U-17 대표팀의 유럽대항전 참가를 허용하면서 이번엔 우크라이나가 보이콧을 시전하였다. [[https://m.yna.co.kr/view/AKR20230927186400108?section=international/all|#]] 이어 폴란드,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북아일랜드, 덴마크, 스웨덴도 우크라이나에 동참하게 되면서 [[https://kyivindependent.com/several-european-countries-to-boycott-uefa-matches-involving-russia/|#]] 결국, 10월 10일. 러시아 U-17 대표팀도 출전 불가로 번복했다.[[https://kyivindependent.com/uefa-reverses-position-russian-teams-will-not-play/|#]] ===== 2022년 AFC 가입안과 철회 ===== (뉴스 타임라인) 2022년 3월, [[UEFA]]와 [[FIFA]]로부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 침공]]을 이유로 자격정지 결정을 받아서 [[FIFA 월드컵]] 등 각종 국제 대회 참가가 제한된 [[러시아 축구 연합]](RFU)이 대륙별 연맹을 [[AFC]]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https://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22032918031602|기사{{{-2 (스포탈코리아)}}}]] 2022년 12월 23일, '러시아의 AFC 가입은 12월 27일 경에 결정날 것'이라는 발표가 나왔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224_0002135238|기사{{{-2 (뉴시스)}}}]] 알렉산더 듀코프 러시아축구협회장은 러시아축구협회 집행위원회 뒤 "27일 화상 회의를 개최할 것이다. 결정을 내리겠다. 유럽 축구 강점에 대해 잘 알고 있다. 현재 상황을 잘 따져봐야 한다. 우리는 지금 유럽 대회에 나갈 수 있는 선택지가 전혀 없다. 만일 국제 대회에 나갈 수 있다면 다른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AFC는 우리를 받아줄 준비가 돼 있다."라고 발언했다. [[https://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2212260100168080021681&servicedate=20221225|기사{{{-2 (스포츠조선)}}}]] 2022년 12월 24일, 바로 다음날 러시아축구연합 일부 수뇌부의 반대로 인해 'AFC 합류를 안 하는 쪽으로 무게가 기울어졌다'는 [[타스(통신사)|타스통신]]의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https://www.goal.com/kr/%EB%89%B4%EC%8A%A4/a/blt15a7d63990ca0800|기사{{{-2 (골닷컴)}}}]] 2022년 12월 27일,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한 채 AFC 가입 여부 결정을 12월 31일로 미룬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228069200007|기사{{{-2 (연합뉴스)}}}]] 2022년 12월 31일, 러시아축구연합은 'AFC에 합류하는 대신 UEFA에 잔류하면서 국제대회 복귀를 타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https://n.news.naver.com/sports/wfootball/article/311/0001540939|기사{{{-2 (엑스포츠뉴스)}}}]] 알렉산더 듀코프 RFU 회장은 관련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러시아축구연맹 집행위원회는 UEFA에 러시아 클럽과 대표팀이 국제 대회에 최대한 빠르게 복귀하는 것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직 결성을 제안하기로 결정했다."라고 설명했다. ---- (영향, 예측, 장단점 등등) 이게 현실화된다면 1975년의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 1971년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의 [[유엔]] 가입을 계기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천명했고, 결국 1975년 중화민국축구협회(CTFA)가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쫓겨나 [[OFC]]로 소속을 변경한 사례. 훗날 AFC에 재가입했다.]이나 1976년의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1976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로 인한 아랍권의 비토로 [[AFC]]에서 쫓겨나서 [[UEFA]]로 소속을 변경한 사례.]처럼 스포츠적 이유가 아닌 정치적 이유로 소속이 변경된 사례가 된다. 축구 내적으로만 보자면 러시아 같은 나라가 아시아로 들어오는 것이 장기적으로 아시아 축구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이점이 크다. 러시아는 유럽에서도 최소한 중위권 이상은 되는 팀으로, 아시아 지역 레벨에선 상위권이다. [[FIFA 랭킹]]{{{-2 (2022년 12월 기준 37위)}}}으로 보면 AFC 가입 시 일본, 이란, 한국, 호주에 이어 5위[* 2022년 12월 기준, AFC 상위 9+1개국의 피파 랭킹 순위는 일본, 이란, 한국, 호주,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이라크, UAE, 오만.]로 생각만큼 최상위권은 아니더라도 한국 입장에서는 충분히 좋은 경쟁 상대가 될 수 있다. 또한 축구 저변이 탄탄한 나라이고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도 규모가 상당하기에 러시아 대표팀과 러시아 리그의 각 팀들이 다른 아시아 강호들과 겨루는 게 [[AFC 아시안컵]]이나 [[AFC 챔피언스 리그]] 등 아시아 대륙 대회의 흥행과 브랜드 가치 제고에 유리하다. 또한 러시아를 통해서 아시아 각국은 유럽 축구를 간접 체험해 볼 수 있기에 유럽의 전술 트렌드 익히기에도 유리하다. 다만 단점도 없지는 않은데, 러시아가 AFC에 가입하는 것의 치명적인 단점은 [[러시아]]의 극한 기후와 동서로 길게 뻗은 광활한 영토 탓에 다른 아시아 팀들의 원정 일정이 엄청나게 힘들어질 것이라는 점이다. 클럽 경기에서 두드러지는 단점이다. 한국 기준으로는 중동보다 모스크바가 가깝기 때문에 어차피 중동 원정 자주 다녀야 하는 입장에선 큰 추가 부담은 아니고 국가대표경기라면 유럽에서 거주중인 유럽파 선수에게도 큰 부담은 아니다. 정치적 부담을 살펴보자면, 사람들의 생각과 달리 아시아에 위치한 친러 성향의 우방국이 많아 러시아의 AFC 가입이 정치적 문제는 없을 거라고 한다. [[https://naver.me/xR0gPDs5|12월 26일 기사]]에는 딱 한국, 일본, 호주를 제외하면 대다수의 국가는 [[친러]]/[[반미]]/중립 국가라고 한다. 그러나 전쟁에 따른 제재를 회피하려는 쩨쩨한 꼼수라는 점에서 다른 AFC 소속 협회들로부터 못마땅한 시선을 받을 수밖에 없다. ## 사우디, 이란, 중국이 정치적 문제로 반발할 거라고 서술하실 거면 뉴스 등 출처 제시해주세요. 그리고 기존 서술되어있던 26일 기사 서술 지우지 마세요. 월드컵에 관한 현실적인 측면을 보자면, [[2026 FIFA 월드컵]]부터 AFC 할당 본선 티켓수가 8.5장으로 기존에서 갑절로 늘어난 것은 맞지만, 그래도 여전히 진출이 아슬아슬한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이라크,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등 중견급 나라들이 반발할 것이다. 안 그래도 아시아는 전력 편차가 심해 기존 5강(대한민국, 일본, 호주, 이란, 사우디아라비아)이 고정 자리를 차지하는 형편인데, 이들과 엇비슷한 러시아가 들어와버리면 한 자리 한 자리가 소중한 중위권 팀들은 더더욱 기회를 잃게 된다. 특히 그 중에서도 중국이 가장 격하게 반대할 수도 있는데, 이유인 즉슨 중국은 그 동안 [[축구굴기]]를 앞세우며 이런저런 시도들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월드컵 진출은 커녕 한심한 모습들만 잔뜩 보인 탓에 "[[우린 안될 거야 아마|우린 그래도 안될 거야 아마]]!"라고 한탄하고 있는 마당인데, 그 와중에 러시아까지 들어와버리면 그러잖아도 어려운 월드컵 본선행이 더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또한 AFC에 가입하려면 그냥 승인만 받는다고 끝이 아니라 먼저 'UEFA 총회에서의 탈퇴 승인'과 'AFC 총회에서의 가입 승인'[* 기사에 따르면 전체 회원 협회로부터 3/4 이상의 득표가 필요하다고 한다. AFC에 [[친러]] 성향이 실제로 많지만, 이 정도 득표가 가능한지는 의문이라고 한다.]은 물론 '[[FIFA]]의 최종 승인'까지 필요하다.[*다른해석 [[일본]]의 도쿄스포츠는 완전히 다른 방향의 소식을 전했는데, 러시아의 '스포츠 익스프레스'의 보도를 인용하여 "FIFA는 러시아의 AFC 진입을 막을 권한(승인 권한)이 없다."라는 러시아 측의 입장을 전했다. 러시아 측 주장은 'UEFA는 러시아의 탈퇴를 막을 이유가 없고, AFC와 FIFA 사이에서는 FIFA의 최종 승인을 받는 규정이 없고 AFC 총회에서 과반수(50% 이상)만 득표하면 가입이 이뤄지므로 러시아의 AFC 가입은 문제가 없다'는 내용의 주장이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25af2ab9600f3950600d3c227099f24a437d61e0|기사{{{-2 (도쿄스포츠)}}}]]] 즉, AFC 가입을 비롯한 근원적인 문제 해결은 러시아가 벌인 전쟁부터 끝내야 가능하다는 소리다. [[https://www.besteleven.com/news/articleView.html?idxno=214915|기사{{{-2 (베스트일레븐)}}}]] 만약 AFC에 합류하게 된다면, 산하 지역연맹 중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이나 [[서아시아 축구 연맹]]에 가입하게 될 것이다. 다만 러시아도 나름 산하 지역 연맹에서 대장 노릇을 하고 싶을 것이기에 구소련 국가들의 협회들이 포함된 CAFA 쪽에 합류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여담으로, 러시아가 AFC에 가입하면, UEFA 소속인 카자흐스탄은 일종의 [[월경지]]처럼 AFC 안에 갇혀버린다.[* 카자흐 서쪽에선 [[카스피해]] 호수를 사이에 두고 UEFA 소속 [[아제르바이잔]]이랑 맞닿긴 한다.] ===== 국제무대 퇴출 이후 비공식 친선전 목록 ===== * 2022년 * 9월 24일 키르기스스탄 1-2 러시아 (승)[* AFC 가맹국과의 첫 경기] * 11월 17일 타지키스탄 0-0 러시아 (무) * 11월 20일 우즈베키스탄 0-0 러시아 (무) * 2023년 * 3월 23일 이란 1-1 러시아 (무) * 3월 26일 러시아 2-0 이라크 (승)[* 퇴출 이후 첫 홈 경기] * 9월 12일 카타르 1-1 러시아 (무) * 10월 12일 러시아 1-0 카메룬 (승)[* CAF 가맹국과의 첫 경기] * 10월 16일 러시아 2-2 케냐 (무) * 11월 20일 러시아 8-0 쿠바 (승)[* CONCACAF 가맹국과의 첫 경기] == 플레이 스타일 == 과거 1950~1960년대 [[소련]] 시절 전설의 골키퍼 [[레프 야신]]의 활약으로 꾸준히 월드컵 및 유로 4강~8강 안에 들었지만 야신이 은퇴한 이후 여러차례 지역예선 탈락을 반복하다가 소련 붕괴 이후 완벽히 몰락해버렸다. 그러다가 20여년이 지난 후, [[UEFA 유로 2008]]에서의 돌풍을 기점으로 서서히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전 소련 시절에는 월드컵 8강에도 자주 들었으며, 초대 [[유로컵]] 우승 팀이기도 하다. 2018년에 열린 자국 월드컵에서는 16강전에서 스페인을 잡는 큰 이변을 일으켰고, 최종 성적은 8강(8위)으로 마쳤다. 특징은 유럽 해외파보다 러시아 프로축구리그 국내파 선수들 위주로 단합력과 조직력으로 피지컬과 힘을 앞세워서 전방을 압박하는 식의 축구를 구사한다. 상대 수비진에게 부담을 누적시켜서 체력을 저하시켜 우격다짐으로 뚫어내서 득점을 시키는 작전을 구사하는 편이다. 그래서 러시아의 경기를 보면 지고 있어도 어떻게든 한 골을 만회하는 것이 바로 이 이유다. 이 스타일이 자신들보다 약한 상대한테는 매우 잘 통하지만, 현재 축구강국으로 평가되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독일]], [[프랑스]], [[잉글랜드]], [[포르투갈]], [[스페인]], [[벨기에]][* 최근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지역예선 때부터 2020년 유로 본선까지 수많은 경기를 치루었지만 결과는 러시아의 대참패였다.] 등 기본적으로 탄탄한 피지컬과 기술력, 그리고 정교한 조직력을 갖춘 팀에게는 통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전형적인 동유럽식 피지컬과 힘으로 찍어누르는 축구를 구사하다보니 움직임이 투박하고 느리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사실 소련 시절부터 전 세계적으로 통했던 축구가 현대에 와서 강팀 상대로 안먹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러시아 축구가 과거에 머물러 있다는 소리다. 하지만 여전히 유럽 중간팀 대열에서는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애매한 위치에 있는 유럽팀이나, 확실한 약팀에게는 무자비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러시아다. 하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 때문에 국제 스포츠계에서 퇴출당했으니 이것이 적지 않은 악영향을 줄 것이다. 그 때문에 푸틴 대통령의 지시 하에 [[러시아 축구 연합]]을 AFC 소속으로 옮기려다 유야무야 되었을 정도. 전쟁으로 인해 국제무대에서 퇴출된 이후에는 계속해서 자국리그 유망주들에게 경험을 주는 방식으로 대표팀을 운용하고, 각 리그 구단들도 러시아 국적 선수들의 양성에 이전보다 더 집중하는 모습이다. 이 기간동안 어떻게 담금질을 해서 복귀했을 때 어떻게 상대를 놀라게 할지가 관건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축구/나라별 스타일, version=533, paragraph=3.4)] == 역대 감독 == [include(틀: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include(틀: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FIFA 센추리 클럽|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include(틀:러시아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현재 선수 명단 == [include(틀: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국제대회 퇴출 이후로는 자국리그에서 활약하고 있는 영건들을 위주로 뽑고 있으며, 어차피 친선경기만 진행하기 때문에 해외파 선수들의 소집은 지양하는 형태로 선수명단이 짜이고 있다. === 코치진 === || '''보직''' || '''이름 ''' || || 감독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발레리 카르핀]] || ||<|3> 수석 코치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니콜라이 피사레프]]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빅토르 오놉코]]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유리 니키포로프]] || || 골키퍼 코치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30]] [[비탈리 카파노프]] || || 체력코치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루이스 마르티네스]] || || 전력 분석가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호나탄 알바]] || 카르핀 사단은 전부 FC 로스토프의 지도자를 겸직하고 있으며, 수석코치 니콜라이 피사레프는 현재 러시아 3부리그 크라스노다르-2의 감독을 겸직하고 있다. == 역대 전적 == === [[FIFA 월드컵]] === '''FIFA 월드컵 통산 랭킹: 12위''' '''④⑧⑧⑧⑧⑧''' * 1990년까지의 기록은 [[소련]] 기록이다.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10><:> '''{{{#06C ※소련 기록}}}'''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br]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1930년 우루과이]] ||<-9><|3> {{{#F0C420 FIFA 비회원국}}} ||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30]][br]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이탈리아]]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br]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년 프랑스]]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br]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1950년 브라질]] ||<-9><|2> {{{#F0C420 불참}}}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br]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954년 스위스]]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br]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년 스웨덴]][* 16강 조별리그에서 1승 1무 1패를 기록, 3무의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와 승점이 같아 재경기 끝에 8강에 올라갔다. 재경기도 FIFA 공식 기록에 포함.] || 8강 || 6위 || 7 || 5 || 2 || 1 || 2 || 5 || 6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br] [[1962 FIFA 월드컵 칠레|1962년 칠레]] || 8강 || 6위 || 7 || 4 || 2 || 1 || 1 || 9 || 7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br]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1966년 잉글랜드]][* 16강 조별리그에서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북한]]과 같은 조였다. 북한을 3:0으로 누르고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칠레]]도 이기면서 3승으로 8강 진출.] ||<:><-2>4위[* 4강전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 || 12 || 6 || 4 || 0 || 2 || 10 || 6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br]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1970년 멕시코]] || 8강 || 5위 || 7 || 4 || 2 || 1 || 1 || 6 || 2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1974 FIFA 월드컵 서독|1974년 서독]] ||<-9> {{{#f00 플레이오프 도중 실격}}}[* PO에서는 소련과 칠레가 맞붙기로 했었는데 소련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0:0 무승부를 거뒀다. 문제는 칠레에서 열릴 2차전을 앞두고 칠레에서 [[쿠데타]]가 일어나 [[살바도르 아옌데]]의 사회주의 정권이 몰락하고 [[아우구스토 피노체트]]가 집권한 것. 피노체트는 집권과 동시에 경기가 열릴 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조차 정치범 수용 및 처형을 자행했다. 소련측에서 이 문제를 거론하며 경기 장소를 옮길 것을 FIFA에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소련은 경기를 거부하여 몰수패 처리. 칠레의 16개국 본선 진출이 확정되었다.]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br]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1978년 아르헨티나]] ||<-9>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br][[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년 스페인]] || 12강[* 당시는 2라운드가 16강 토너먼트가 아니라 12강 조별리그였고 그 다음 4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 7위 || 8 || 5 || 2 || 2 || 1 || 7 || 4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1986 FIFA 월드컵 멕시코|1986년 멕시코]] || 16강 || 10위 || 7 || 4 || 2 || 1 || 1 || 12 || 5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br]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년 이탈리아]][* 소련으로 진출했던 마지막 대회.] || 조별리그 || 17위 || 3 || 3 || 1 || 0 || 2 || 4 || 4 || ||<-10><:> '''{{{#06C ※러시아 기록}}}'''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br] [[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년 미국]] || 조별리그 || 18위 || 3 || 3 || 1 || 0 || 2 || 7 || 6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년 프랑스]] ||<-9> {{{#f00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br][[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년 한일]] || 조별리그 || 22위 || 3 || 3 || 1 || 0 || 2 || 4 || 4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2006 FIFA 월드컵|2006년 독일]] ||<-9><|2> {{{#f00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br][[2010 FIFA 월드컵|2010년 남아공]]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br][[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년 브라질]][* 소련 시절을 포함해 역대 월드컵 본선에서 1승을 거두지 못한 첫 대회로 남게 되었다. --지못미 카펠로--] || 조별리그 || 24위 || 2 || 3 || 0 || 2 || 1 || 2 || 3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br]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년 러시아]] || 8강 || 8위 || 8 || 5 || 2 || 2 || 1 || 11 || 7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br]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년 카타르]] ||<-9> {{{#f00 플레이오프 이전 실격}}}[*P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무기한 자격 정지 조치로 인해 출전이 금지된 상태이며, 훗날 별도의 해제를 공지한 뒤에야 출전이 가능할 전망이다. 일단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이미 3년 전의 도핑 적발로 인해 러시아라는 공식 명의로 출전 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br] [[2026 FIFA 월드컵 캐나다·멕시코·미국|2026년 북중미]] ||<-9> {{{#f00 미정}}}[*P] || || '''{{{#fff 합계}}}''' ||<-2> 진출 11회 / 4위 1회 || 67 || 45 || 19 || 10 || 16 || 77 || 54 || 총 '''19승 10무 16패, 77득점 54실점'''에 승점 '''67점'''으로 월드컵 랭킹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월드컵에 다소 늦게 참여한 편이지만 지금의 잉글랜드 이상으로 꾸준하게 좋은 성적을 내주었던 강호였고, 유로 우승과 올림픽 금메달도 차지했을만큼 강팀이었다. 하지만 소련이 붕괴하고 러시아로 바뀌면서부터는 전력이 크게 떨어져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히딩크 시절 [[UEFA 유로 2008]]에서 4강에 진출한 것이 전부다. 카펠로 부임 후 탄탄한 수비력과 강한 조직력을 바탕으로 포르투갈을 제치고 조 1위로 본선에 직행했지만, 최악의 경기력으로 월드컵 진출 자격이 없다는 소리까지 들은 대한민국과도 1:1로 비기는 졸전 끝에 2무 1패로 탈락, 2014 브라질 월드컵 최고 연봉 감독이란 타이틀이 유명무실해졌다.[* 반면 2014 브라질 월드컵 최저 연봉 감독이란 타이틀을 보유한 [[알레한드로 사베야]]는 '''준우승'''이라는 엄청난 기록을 뽑아냈다.] 다음 대회 개최국인 만큼 보다 확실한 해결책이 필요해졌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다. 볼드체로 표기한 팀은 월드컵 우승국이다.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3패(1958, 1982, 1994)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1패(1966)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1승'''(1966)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1패(1990)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1무(1986)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1승 1무'''(1958(2번))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1무(2018)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 '''1승 2패'''(1962, 1970, 2018)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 2패(1958, 1994)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2승 3패'''(1970, 1982, 1986, 2002, 2014)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세르비아]] : '''1승'''(1962)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 : 1무(1970)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 : 1무(1982)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 : 1패(1966)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 '''2승'''(1966, 1986)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칠레]] : '''1승 1패'''(1962, 1966)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 '''1승'''(1958)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 : 1무(2018) [[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콜롬비아]] : 1무(1962)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 : 1패(1990)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1무(2014)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1패(2002)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1무(1982)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 : '''2승'''(1990, 1994)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알제리]] : 1무(2014)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1승'''(2018)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튀니지]] : '''1승'''(2002)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북한]] : '''1승'''(1966)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뉴질랜드]] : '''1승'''(1982)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이집트]] : '''1승'''(2018) [[엘살바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엘살바도르]] : '''1승'''(1970)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캐나다]] : '''1승'''(1986)|| 대륙별 상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유럽]] : 8승 6무 8패''' '''[[남미]] : 2승 1무 7패''' '''[[북중미]] : 2승 1무''' '''[[아프리카]] : 4승 1무''' '''[[아시아]] : 2승 1무 1패''' '''[[오세아니아]] : 1승'''|| 남미에 약하고 아프리카에 강한 모습을 보인다. 러시아에 패배를 안겨준 팀은 '''브라질(3패), 벨기에(3패), 스웨덴(2패), 우루과이(2패), 칠레(1패), 독일(1패), 포르투갈(1패), 루마니아(1패), 아르헨티나(1패), 일본(1패)'''로 총 10개팀이다. 이들 중 '''벨기에, 우루과이, 칠레'''를 제외한 나머지 7개팀을 상대로 전패를 기록중이다. 러시아가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팀은 '''헝가리, 카메룬, 벨기에'''가 공동 1등으로 '''헝가리'''와 '''카메룬'''을 상대로는 2경기 6점, '''벨기에'''를 상대로는 5경기에서 6점을 획득하였다. 헝가리, 카메룬, 오스트리아, 세르비아, 북한, 이탈리아, 엘살바도르, 뉴질랜드, 캐나다, 튀니지를 상대로 전승을 기록중이다. 러시아가 열세를 보이는 팀은 '''브라질, 독일, 아르헨티나, 스웨덴, 벨기에, 포르투갈, 루마니아, 일본, 우루과이'''로 총 9개국이며, 호각세로 맞서는 팀은 '''프랑스, 멕시코, 폴란드, 칠레, 대한민국, 콜롬비아, 스코틀랜드, 알제리, 스페인, 크로아티아'''로 총 10개국이다. 나머지 팀을 상대로는 우세를 보이고 있다. 한경기 최다 득점 기록은 1986 24강 조별리그 헝가리전 6:0 승, 1994 24강 조별리그 카메룬전 6:1 승으로 여섯 골을 넣었으며, 한경기 최다실점 기록은 1962 16강 조별리그 콜롬비아전 4:4 무, 1986 16강 벨기에전 3:4 패배로 4골을 실점했다. 콜롬비아와의 경기에서 4:1로 앞서다가 18분만에 3골을 내주고 월드컵 역사상 유일한 코너킥 골까지 허용하기도 했다 더 자세한 것은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참조.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2 사우디 ||<-8><|9> 진출 실패 || || 1995 사우디 || || 1997 사우디 || || 1999 멕시코 || || 2001 한국·일본 || || 2003 프랑스 || || 2005 독일 || || 2009 남아공 || || 2013 브라질 || || 2017 러시아 || 조별리그 || '''5위''' || 3 || 1 || 0 || 2 || 3 || 3 || || 합계 || 본선 진출 1회 || 1/10 || 3 || 1 || 0 || 2 || 3 || 3 || === [[UEFA 유로]] === '''UEFA 유로 : 9위''' * 1988년 대회까지의 기록은 [[소련]] 기록이다. * 1992년 대회는 [[독립국가연합]] 소속으로 참가하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IS_football.svg.png]] CIS 시절 축구 협회 엠블렘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1960년]] || '''우승''' || '''1위''' || '''6''' || '''2''' || '''2''' || '''0''' || '''0''' || '''5''' || '''1''' || ||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30]] [br][[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1964년]] || '''준우승''' || 2위 || 3 || 2 || 1 || 0 || 1 || 4 || 2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유로 1968|1968년]] ||<:><-2> 4위[* 4강전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 || 1 || 2 || 0 || 1 || 1 || 0 || 2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br][[유로 1972|1972년]] || '''준우승''' || 2위 || 3 || 2 || 1 || 0 || 1 || 1 || 3 ||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width=30]] [br][[유로 1976|1976년]] ||<-9><|1> {{{#f00 본선 진출 실패}}}[*4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0|1980년]] ||<-9><|2> {{{#f00 본선 진출 실패}}}[*8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4|1984년]]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8|1988년]] || '''준우승''' || 2위 || 10 || 5 || 3 || 1 || 1 || 7 || 4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br][[유로 1992|1992년]] || 조별리그 || '''8위''' || 2 || 3 || 0 || 2 || 1 || 1 || 4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br][[유로 1996|1996년]] || 조별리그 || 14위 || 1 || 3 || 0 || 1 || 2 || 4 || 8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0|2000년]] ||<-9> {{{#f00 본선 진출 실패}}}[*8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4|2004년]] || 조별리그 || 10위 || 3 || 3 || 1 || 0 || 2 || 2 || 4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8|2008년]] || '''4강'''[* 1984유로부터 3,4위전이 폐지되어서 4강전에서 탈락하면 끝이다.] || 3위 || 9 || 5 || 3 || 0 || 2 || 7 || 8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br][[유로 2012|2012년]] || 조별리그 || 9위 || 4 || 3 || 1 || 1 || 1 || 5 || 3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2016|2016년]] || 조별리그 || 23위 || 1 || 3 || 0 || 1 || 2 || 2 || 6 || ||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width=30]] [br][[유로 2020|2020년]] || 조별리그 || 19위 || 3 || 3 || 1 || 0 || 2 || 2 || 7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 [[유로 2024|2024년]] ||<-9> {{{#f00 실격(출전금지)}}}[*P] || || {{{#fff 합계}}} || '''1회 우승''' || 12/16 || 36 || 13 || 7 || 16 || 40 || 52 || 46 || === [[올림픽 축구|올림픽]] === 전부 소련 시절의 기록들이다. 유로나 월드컵보다 올림픽에서 매우 강한 면모를 보였다. 러시아 이후로는 올림픽 본선에 간 적이 한번도 없다. '''실제로 2021년에 푸틴이 이에 대해 실망을 표하면서 러시아 축구선수들의 실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 [[1956 멜버른 올림픽]] 금메달 * [[1972 뮌헨 올림픽]] 동메달: 연장전 2:2로 끝났지만 승부차기가 시행되지 않았던 시절이라 동독과 공동 동메달을 받았다. * [[1976 몬트리올 올림픽]] 동메달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동메달 * [[1988 서울 올림픽]] 금메달: 대한민국에게 0:0무승부로 승점 1점을 헌납하였으나, 결승에서 [[호마리우]]가 이끄는 브라질팀을 격파하고 [[금메달]]을 땄다. == 청소년 대표팀 == || '''대표팀''' || '''감독''' || '''주장''' || || U-21 || [[이반 샤바로프]][br]Иван Шабаров || [[마트베이 루킨]][br]Матвей Лукин || || U-19 || [[이반 샤바로프]][br]Иван Шабаров || || || U-17 || [[데니스 페르부신]][br]Денис Первушин || || 국제대회 출전이 불투명해진 상황에서 U-21 감독이던 미하일 갈락티오노프 감독이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감독직으로 옮겨가자, U-19 대표팀 감독이던 샤바로프가 U-21 대표팀과 U-19 대표팀을 겸임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따로 U-21 대표팀을 선발하지 않고, U-19 대표팀을 선발해 이름만 U-21 대표팀으로 해서 선발시키고 있다. == 현재 U-21 선수 명단 == [include(틀:러시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이름은 U-21이지만, 현재 19세, 18세인 2004년과 2005년생으로만 발탁하고 있다. U-19 대표팀을 따로 선발하지 않고, U-21대표팀을 U-19 대표팀에 이름만 바꿔서 운용하고, U-17 대표팀만 따로 선발하는 방식으로 연령별 대표팀이 운영되고 있는 상태이다. === 코치진 === || '''보직''' || '''이름 ''' || || 감독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일리야 샤바로프]] || ||<|2> 수석 코치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레오니트 아비즐린]]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올레크 레빈]] || || 전력 분석가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미하일 폴리시키스]]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의 전적 == [[https://m.youtube.com/watch?v=VABkS-TXbGY&t=300s&pp=ygUJ67CV7KKF7ZmY|1983년 태국에서 청소년대표팀 경기로 소련으로 대한민국과 맞대결을 하였고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하였다.]] 그리고 A대표팀에서는 첫 만남이 러시아가 소련 시절이었던 1988년에 있었고, 러시아 A대표팀이 총 2승 2무를 기록했다.[* 헌데, 대한축구협회 홈페이지에서는 소련시절 맞대결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당시 마지막 A대표팀 대회였던 [[https://m.youtube.com/watch?v=JS_imUYAanI|88서울올림픽 16강 조별리그에서 대한민국이 금메달팀 소련에게 0:0무승부 승점 1점을 획득했다.]] 그 후, 25년 뒤인 2013년에 2014년 월드컵 조추첨을 1달 앞두고 서로 평가전을 치렀는데, 이 후 조추첨에서 같은 조에 편성되면서 7달 뒤 본선에서 또 만난 기억이 있다는 거다. 당시 평가전에서는 2:1로 러시아가 승리하였고, 2014월드컵 본선에서 '''피파랭킹 57위''' 대한민국이 무려 '''피파랭킹 19위'''였던 러시아를 상대로 선제골 '''1:1로 무승부 승점 1점'''을 기록했으며, 국제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이 러시아를 상대로 무패를 기록 중이다. 기름손 [[아킨페예프]]가 탄생한 경기이며, 카펠로 감독은 경기가 끝난직후 욕을 왕창 얻어 먹었다. 가장 최근은 2017년으로 대한민국이 해외파로만 구성된 대표팀으로 원정 평가전을 러시아에서 가졌다. 이 때는 [[김주영(1988)|김주영]]의 자책골 2방[* 이 일로 김주영은 '''이고르 자살고르스키'''라는 러시아식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고, 결국 불의의 선수생활 은퇴까지 간 경기가 되었다...]이 탄생한 경기로, 4:0으로 러시아가 손쉽게 앞서다가 막판 대한민국이 2골을 따라붙어 체면치레를 했다. 당시 스타팅 라인업에 있던 대한민국의 11명 중 러시아 월드컵에서 주전으로 뛴 선수는 단 4명이었다. 두 팀이 만나면 평범한 상황보다는 비범한 상황이 많이 연출되었다. 다만 한반도에 위치한 국가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대한민국이 A대표팀에서는 1승을 기록한 적이 없으나, 연령대 대표팀에서는 대한민국이 여러차례 승리하였으며, 최근경기는 '''2019년 8월 28일 베트남 U-15 국제축구대회에서 [[송경섭]] 감독의 U-15 대한민국 VS U-15 러시아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무려 6:0으로 승리하였다.''' 스코어 왼쪽이 러시아 A대표팀이다. || 날짜 || 장소 || 스코어 || 러시아 득점 || 대한민국 득점 || 비고 || || 1988년 9월 18일 || 부산 [[구덕운동장]] (대한민국) || 0:0 || 없음 || 없음 || 서울올림픽 축구 16개국 본선 || || 2013년 11월 19일 || 두바이 자벨 스타디움 (UAE) || 2:1 [br] (1:1) || [[표도르 스몰로프]] [br] [[드미트리 타라소프]] || [[김신욱]] || 친선경기 || || 2014년 6월 17일 || 쿠이아바 [[아레나 판타나우]] (브라질) || 1:1 [br] (0:0) ||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 || [[이근호]]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 브라질 월드컵]] [br] 32개국 본선 H조 || || 2017년 10월 7일 || 모스크바 [[VEB 아레나]] (러시아) || 4:2 [br] (1:0) || [[표도르 스몰로프]] [br] [[김주영(1988)|김주영]]'''[*2자책골]''' [br] [[알렉세이 미란추크]] || [[권경원]] [br] [[지동원]] || 친선경기 || ||<-3> 총 전적 ||<-3> 4전 2승 2무 || == 여담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는 공통점이 매우 많다. * 두 팀 모두 [[아시아 축구 연맹|대]][[유럽 축구 연맹|륙]]컵 '''초대 우승팀'''이다.[* 대한민국은 아시아 대륙에서 열리는 첫 [[AFC 아시안컵|아시안컵]]인 [[1956 AFC 아시안컵 홍콩]]에서, 러시아는 유럽 대륙에서 열리는 첫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유로컵]]이었던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유로 1960]]에서 우승했다.] * 두 팀 모두 [[거스 히딩크]] 지휘 아래 국제대회 4강에 올랐다.[* 대한민국은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년 월드컵]]에서, 러시아는 [[UEFA 유로 2008|유로 2008]]에서 준결승에 올랐다.] * 두 팀은 월드컵에서 계속 2라운드 진출에 실패하다가 자국이 개최하는 대회에서 처음으로 2라운드 진출에 성공했다.[* [[대한민국]]은 2002년 월드컵 이전까지 5회 진출, [[러시아]]는 2018년 월드컵 이전까지 러시아 단독으로 월드컵에 나선 1994년 이후 3회 진출에 성공했지만 모두 2라운드 진출 실패했었다. 다만 러시아는 소련 시절을 포함하면 1986년까지는 한 번도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지 않았다.] * 두 팀은 거스 히딩크 이후 4년 뒤 차기 대회에서 [[딕 아드보카트]] 체제로 대회를 치뤘다.[* 대한민국은 2006년 월드컵을 준비하면서, 러시아는 유로 2012를 준비하면서.] * 딕 아드보카트 체제로 치른 국제대회에서 두 팀은 나란히 '''1승 1무 1패'''로 조 3위로 각각 '''17위, 9위'''로 아깝게 다음 라운드 진출 실패했다.[* 대한민국은 2006 독일 월드컵 조별리그에서 스위스와 프랑스에 밀려서 '''월드컵 17위'''로 탈락했으며, 러시아는 유로 2012에서 체코와 그리스에 밀려 '''유로 9위'''로 탈락했다.] === 같이보기 === [include(틀: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우승팀 목록)] [각주] [[분류: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