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러시아 해군)] [[분류:러시아군/군함]] [목차] == 개요 == 이 항목은 러시아 해군이 보유한 해상 전력들을 나열하는 항목이다. 주로 수상함, 잠수함 등의 해상 병기를 나열한다. == [[항공모함]] == || [[파일:1047453709_0_0_1700_1069_1920x0_80_0_0_3c39149fb6b706781ae96cccce225273.jpg|width=100%]] || ||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 || || 이름 || 운용 || 기본 배수량 || 만재 배수량 || 소속 || 취역년도 || 기타 ||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 1척 || 기본: 55,200톤 || 67,500[* [[http://en.wikipedia.org/wiki/Soviet_aircraft_carrier_Admiral_Kuznetsov|만재 67,500톤]],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 북해 함대 || [[1990년]] || 항공기: 41기 || == [[상륙함]] == === [[LST]] === || [youtube(d5xkfpe_NAk)] || || 이반 그렌급 상륙함(Project 11771 Ivan Gren) || || [[파일:36284970671_ea2b2d6a6f_b.jpg|width=100%]] || || BDK-14([[로푸카급 상륙함]]) || || 종류 || 이름 || 운용 || 추가 || 기준 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년도 || 기타 || ||<|4>[[전차상륙함|LST]] || [[이반 그렌급 상륙함]](Project 11771 Ivan Gren)[* http://en.wikipedia.org/wiki/Ivan_Gren_class_landing_ship] || 2척 || 2척 |||| 5,080톤 ~ 6,600톤 || [[발트함대]] || [[2018년]] || - || || [[앨리게이터급 상륙함]](Project 1171 Alligator) || 3척 || - || 3,400톤 || 4,360 ~ 4,700톤 || [[러시아 태평양 함대]], [[흑해함대]] || [[1964년]] || - || || [[로푸카급 상륙함]](Project 775 Ropucha I) || 11척 || - || 2,200톤 || 4,080톤 || [[러시아 태평양 함대]], [[흑해함대]], [[발트함대]], 북양함대 || [[1975년]] || - || || [[로푸카급 상륙함]] II(Project 775M Ropucha II) || 3척 || - || 2,200톤 || 4,080톤 || [[러시아 태평양 함대]], [[흑해함대]], [[발트함대]] || [[1990년]] || - || === [[공기부양정]] === || [[파일:«Мордовия»_и_«Евгений_Кочешков».jpg|width=100%]] || || 주브르급 공기부양정 || || 종류 || 이름 || 운용 || 추가 || 기준 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년도 || 기타 || || [[공기부양정]] || [[주브르급]](Project 12322 Zubr) || 2척 || - || 415톤 || 555톤 || [[발트 함대]] || [[2010년]] || - || === [[상륙정]] === || 종류 || 이름 || 운용 || 추가 || 기준 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년도 || 기타 || || [[상륙정|LC]] || 듀곤급 상륙정(Project 21820 Dyugon) || 5척 || - |||| 280톤 || [[러시아 태평양 함대]], 카스피 소함대 || [[2010년]] || - || == 주요 수상 전투함 == === [[순양함]] === || [youtube(UCxOYeuKZUM)] || || [[파일:A720 (1).jpg|width=100%]] || || 만재 28,000톤 [[키로프급]] 순양함 || || [youtube(QlhSxe8HtiE)] || || RUSSIAN NAVY CRUISER MOSKVA 121 AT PIRAEUS GREECE 21/12/2012. || || [[파일:1200px-Russian_cruiser_Moskva.jpg|width=100%]] || || [[2009년]], Russian guided missile cruiser Moskva([[슬라바급|모스크바급]]) || || 등급 || 이름 || 운용 || 비축 || 기본 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년도 || 기타 || || 원자력 순양함 ||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키로프급 ]] || 1척 || 1척 || 24,300톤 || 28,000톤 || 북방함대 || [[1998년]] || KN-3 핵추진x2, [[카쉬탄]] 6문, [[P-700 그라니트]] 대함 미사일 20셀, ([[S-300]]F or S-300FM)함대공 미사일 96셀, SA-N-9 건틀렛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 192(!)셀, 비축 중인 1척은 [[2012년]] ~ [[2020년]], 오버홀 후 재취역.[* 오버홀 중인 함은 [[1980년]] 이후 취역했던 함들이다.] |||| || 미사일 순양함 || [[슬라바급|모스크바급]] || 2척 || - || 10,500톤 || 12,500톤 || 북방 함대, 태평양 함대 || [[1982년]] || 1번함 모스크바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도중 [[즈미이니 섬 전투]] 당시 경고방송과 공격을 실시한 함정이며, 이후 4월 14일에 발생된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 당시 [[R-360 넵튠|R-360 <<넵튠>>]] 대함미사일에 피격되어 한쪽 [[AK-630]] CIWS 2기가 모조리 유폭하고 추가로 기관부 가동불능에다가 [[대미지 컨트롤]]도 포기한 채로 퇴함하였고[* 이때 덤으로 화재 범위에 외부 미사일 경사발사대가 노출돼있어서 추가유폭의 위험성이 매우 컸다.], 이후 러시아 해군이 예인을 강행하는 과정에서 침수가 가속화되어 이튿날 격침되었다. || === [[구축함]] === || [[파일:1200px-AdmiralVinogradov2009.jpg|width=100%]] || || [[2009년]], The Russian Federated Navy ship 어드미럴 비노그라고프 ([[우달로이급]]) || || 등급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계획 || 표준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3> 구축함 || [[우달로이급]] I || 7척 || - || - || 6,930톤 || 7,570톤 || 북양함대, 태평양함대, 흑해함대 || [[1982년]] || || || [[우달로이급]] II ||1척 || - || - || 7,570톤 || 8,900톤 || 북양함대 || [[1999년]] || || || [[소브레멘니급]] || 2척 || - || || 6,200톤 || 7,940톤 || [[북양함대]] || [[1989년]] || - || === [[호위함]] === ==== 5,000톤 이상 ==== || [[파일:Admiral_Gorshkov_frigate_02.jpg|width=100%]] || ||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 || || 등급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계획 || 표준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순번 || 함번 || 프로젝트 || 이름 || 진수 || ||<|15> 호위함 ||<|15>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15> 2척 ||<|15> - ||<|15> 8척 ||<|15> 4,500톤 ||<|15> 5,400톤 ||<|15> 북양함대, 흑해함대, 발트함대 ||<|15> [[2012년]] ||<|15> [[탈와르급]] 기술 기반 신형호위함 || 1 || 417 || 22350 || Admiral Flota Sovetskogo Soyuza Gorshkov || [[2013년]] [[10월 29일]] || || 2 || - ||22350 || Admiral Flota Kasatonov || [[2013년]] [[10월 29일]] || || 3 || - ||22350 || Admiral Golovko || - || || 4 || - ||22350 || Admiral Yumashev || - || || 5 || - ||22350 || 미정 || - || || 6 || - ||22350 || 미정 || - || || 7 || - ||22350 || 미정 || - || || 8 || - ||22350 || 미정 || - || || 9 || - ||22350 || 미정 || - || || 10 || - ||22350 || 미정 || - || ====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 || [youtube(dJUpUBMte_M)] || || [[파일:1200px-Адмирал_Григорович.jpg|width=100%]] || ||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 || || [youtube(qpdDEXHcUJ8)] || || [[2013년]], [[네우스트라시미급 호위함|네우스트라시미급]] 호위함/RFS YAROSLAV MUDRY - СКР Ярослав Мудрый 727 || || 등급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계획 || 표준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3> 호위함 ||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http://en.wikipedia.org/wiki/Admiral_Grigorovich_class_frigate|Admiral Grigorovich class frigate]]] || 3척 || - || - || 3,850톤 || 4,000톤 || 흑해함대 || [[2013년]] || 탈와르급의 개량형 || || [[네우스트라시미급 호위함|네우스트라시미급]] || 2척 || - || - || 3,800톤 || 4,400톤 || 발트함대 || [[1990년]] || - || || 부레베스트니크급(크리박 I)[* http://en.wikipedia.org/wiki/Krivak_class] || 2척 || - || - || 3,300톤 || 3,575톤 || 흑해함대 || [[1978년]] || 1135, 11352, 1135M || == 연안 전력 == === [[초계함]] === ====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 ==== || [youtube(XDFlEdchoYA)] || || [[파일:MX180067010.jpg|width=100%]] || || 영국 [[23형 호위함]]과 데이트(?)를 즐기는 [[스트레거쉬급]] 전투함 ||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 기본 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년도 || 기타 || 순번 || 함번 || 프로젝트 || 이름 || 진수 || || [[스트레거쉬급]] 2138.0형[* [[http://kr.blog.yahoo.com/shinecommerce/33601|<비겐>IMDS 2011 해상 방산전시회 참가 러시아해군 Project 20380급 콜벳 1, 2번함]]][* [[http://gall.dcinside.com/inflow/inflow_index.php?query=%EC%8A%A4%ED%8A%B8%EB%A0%88%EA%B1%B0%EC%89%AC%EA%B8%89+&no=72978&id=seafight|개인적으로 FFX의 훌륭한 모델이라고 생각하는 스트레거쉬급.]]] || 1척 || - || - || 2,200톤[* http://ru.wikipedia.org/wiki/%D0%9A%D0%BE%D1%80%D0%B2%D0%B5%D1%82%D1%8B_%D0%BF%D1%80%D0%BE%D0%B5%D0%BA%D1%82%D0%B0_20380] || - || 태평양함대, 흑해함대, [[발트]]함대 || [[2006년]]~ || [[카쉬탄]]-Mx1, [[RPK-9]], [[Kh-35]]E 우란x8 || 1 || 530 || 20380 || Steregushchiy || [[2006년]] [[5월 16일]] || ||<|5> [[스트레거쉬급]] 2038.1형 ||<|5> 6척 ||<|5> - ||<|5> 7척 ||<|5> 2,200톤 ||<|5> ? ||<|5> 태평양함대, 흑해함대, [[발트]]함대 ||<|5> [[2006년]]~ ||<|5> [[RPK-9]], 8[[셀]]x 4; 총32발; Redut [[VLS]] [[셀]]([[9M96E/M]] or [[9M100]]), [[3M-54 클럽]]x 6 or [[Kh-35]]E 우란x8 || 2 || 531 || 20381 || Soobrazitelnyy || [[2010년]] [[3월 31일]] || || 3 || - || 20381 || Boiky || [[2011년]] [[4월 15일]] || || 4 || - || 20381 || Sovershennyy || [[2014년]] || || 5 || - || 20381 || Stoiky || [[2012년]] [[5월 30일]] || || 6 || - || 20381 || Gromky || - || ||<|8> [[그레미야쉬치급]] 2138.5형 ||<|8> 1척 ||<|8> - ||<|8> 7척 ||<|8> 2,500톤 ||<|8> ? ||<|8> 태평양함대, 흑해함대, [[발트]]함대 ||<|8> [[2006년]]~ ||<|8> [[RPK-9]], Redut [[VLS]] 셀 x 16셀([[9M96E/M]] or [[9M100]]), [[UKSK]] x 8셀 || 1 || - || 20385 || Gremyashchiy || - || || 2 || - || 20385 || Provornyy || - || || 3 || - || 20385 || 미정 || - || || 4 || - || 20385 || 미정 || - || || 5 || - || 20385 || 미정 || - || || 6 || - || 20385 || 미정 || - || || 7 || - || 20385 || 미정 || - || || 8 || - || 20385 || 미정 || - || ==== 1,000톤 이상 ~ 2,000톤 미만 ==== || [[파일:Caspian_Frigate_Dagestan.jpg|width=100%]] || || [[2012년]] Caspian Flotilla, 만재 1,930톤 [[게파르트급]] ||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 기본 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년도 || 기타 || || [[게파르트급]][*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escia&logNo=70100991163|베트남 해군 게파르트 3.9]]] || 2척 || - || - || 1,500톤 || 1,930톤 || [[카스피해]] 소함대 || [[2003년]] || 대공 [[미사일]] 사정거리: 15km, 러시아의 최신 초계함, [[베트남]]에 4척을 수출함. || ==== 500톤 이상 ~ 1,000톤 미만 ==== || [[파일:Caspian_Corvette_Astrakhan.jpg|width=100%]] || || [[부얀급]] 21630형 초계함. ||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계획 || 표준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 [[부얀급]] 21630형 || 3척 || - || - || 550톤 || - || [[카스피해 소함대]] || [[2006년]] || 무장: A-215 "Grad-M" || || [[부얀-M급]] 21631형 || 10척 || - || 2척 || - || 949톤 || [[카스피해 소함대]] || [[2012년]]~ || 무장: [[AK-630]], [[SS-N-27]](Kalibr), 3M-47 Gibka(Igla-1M)<[[이글라 지대공미사일|이글라]]> || == [[원자력 잠수함]][* 수상 배수량 기준] == === [[SSBN]] === || [[파일:scale_120000.jpg|width=100%]] || || Russian Borei-class([[보레이급]]) ||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계획 || 수상배수량 || 수중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 [[보레이급]] I || 3척 || - || - || 14,720톤 || 24,000톤 || [[태평양]]함대 || [[2011년]]~[[2012년]] || 러시아의 최신형 [[핵]] [[탄도 미사일]] 잠수함, 불라바([[토폴-M]]) [[대륙간 탄도 미사일]] 탑재. [[타이푼급]]과 [[델타IV급]] 다음 급. || || [[보레이급]] II || 3척 || - || 4척 || 14,720톤 || 24,000톤 || ? || ([[2012년]] 건조 시작) || 러시아의 최신형 [[핵]] [[탄도 미사일]] 잠수함, 불라바([[토폴-M]]) [[대륙간 탄도 미사일]] 탑재. [[보레이급]] I급 다음 급. || || [[델타급|델타IV급]][* [[http://saintdelight.tistory.com/107|세계의 핵잠수함 투어 프로젝트 5. 델타IV급(러시아)]]] || 5척 || - || - || 11,700톤 || 18,200톤[* http://en.wikipedia.org/wiki/Russian_submarine_K-407_Novomoskovsk] || 북양함대 || [[1984년]]~[[1990년]] || - || === [[SSN]] === || [[파일:f0205060_54a02e2689642.jpg|width=100%]] || || [[러시아]]의 차세대 공격핵잠 [[야센급]] || || [[파일:e0055563_52ad29e0b0d78.jpg|width=100%]] || || 수상배수량 8,140톤 ~ 8,450톤 [[아쿨라급]] ||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계획 || 수상배수량 || 수중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 [[야센급]] || 1척 || - || - || 8,600톤 || 13,800톤 || 북양함대 || [[2012년]] || 러시아의 차세대 공격원잠. || || 야센 M급 || 2척 || - || 6척 || 8,600톤 || 13,800톤 || ? || [[2015년]]~ || 러시아의 차세대 공격원잠. || || [[아쿨라급]] I || 8척 || - || - || 8,140톤 || 12,770톤 || 북양함대, 태평양함대 || [[1988년]]~[[1995년]] || - || || [[아쿨라급]] II || 2척 || - || - || 8,450 ~ 8,470톤 || 13,400 ~ 13,800톤 || 북양함대 || [[1995년]]~[[2001년]] || - || || [[시에라급]] II || 2척 || - || - || 7,600톤 || 9,100톤 || 북양함대 || [[1990년]]~[[1993년]] || - || || [[빅터급]] III || 2척 || - || - || 6,990톤(경하: 4,950톤) || 7,250톤 || 북양함대 || [[1990년]] || - || === 특수 목적 [[원자력 잠수함]] === || 종류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계획 || 수상배수량 || 수중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2> 특별 목적 [[원자력 잠수함]] || 델타 IV급 || - || 1척 || - || 11,700톤 || 18,200톤 || ? || [[1986년]] || 여러가지 테스트 용도의 잠수함, 해양조사, 탐색, 구조 용도, 미니잠수함 [[모선]], [[과학]]실험 장치 || || 델타 III || 1척 || - || - || 10,600톤 || 13,700톤 || ? || [[2002년]] || 미니잠수함 [[모선]] || == [[재래식 잠수함]] == === [[SSK]] === || [[파일:1200px-B-585_Sankt-Peterburg_in_2010.jpg|width=100%]] || || [[2010년]] [[7월 25일]], 러시아의 신형 디젤잠수함 [[라다급]] ||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계획 || 수상배수량 || 수중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 [[킬로급]] 877형 || 7척 || - || - || 2,300–2,350톤 || 3,000–4,000톤 || 북양함대, 태평양함대, 발트함대 || [[1981년]]~[[1994년]] || - || || [[킬로급]] 877EKM형 || 1척 || - || - || 2,300–2,350톤 || 3,000–4,000톤 || 발트함대 || [[1986년]] || - || || [[킬로급]] 877LPMB형 || 1척 || - || - || 2,300–2,350톤 || 3,000–4,000톤 || 북양함대 || [[1989년]] || - || || [[킬로급]] 877V형 || 1척 || - || - || 2,300–2,350톤 || 3,000–4,000톤 || [[흑해]]함대 || [[1990년]] || - || || [[킬로급]] 636.6형 || 9척 || - || 6척 || 2,300–2,350톤 || 3,000–4,000톤 || [[흑해]]함대 || [[2013년]] ~ [[2016년]] || 킬로급의 최신 개량 버전. [[2010년]] 부터 건조에 들어감 || || [[라다급]] || - || - || 4척 || 1,765톤 || 2,700톤 || 발트함대 || [[2010년]] || 킬로급의 다음 급, 러시아의 최신형 디젤 공격 잠수함. || === 특수 목적 [[재래식 잠수함]] === || 종류 || 이름 || 운용 || 비축 || 추가 계획 || 수상배수량 || 수중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 특수 목적 [[잠수함]] || 사로프급 || 1척 || - || - || 2,300톤 || 3,950톤 || ? || [[2008년]] || 신형 무기 테스트와 개발, 실험이 목적. || == [[소해함]] == || 이름 || 운용 || 추가 계획 || 표준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 (Project 12700 Aleksandrit) || 1척 || 7척 || - || - || - || [[2013년]] || - || == [[구난함]] == || 이름 || 운용 || 추가 계획 || 표준배수량 || 만재배수량 || 소속 || 취역 || 기타 || || [[https://en.wikipedia.org/wiki/Russian_salvage_ship_Kommuna| [[콤무나]] 잠수함 구조함(RFS Kommuna)]] || 1척 || - || - || 3100톤 || 흑해함대 || [[1915년]] || [* 진수된 연도가 1913년도이다. 영국 해군이나 미국 해군 등 여러 해군에서 19세기의 함정을 운영하고 있지만 현역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군함으로는 가장 오래된 군함이다.] || == 관련 문서 == * [[해상 병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