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 '''{{{#fff {{{+1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br]벨고로드 전투[br]Бой на российско-украинской границе[br]контртеррористической операции[br]2023 Belgorod Oblast incursions}}}''' || ||<-2> {{{#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 ||<-2> [[2023년]] [[5월 22일]] ~ [[5월 23일]][br][[5월 25일]][br][[5월 28일]][br][[6월 1일]] ~ '''종료''' || ||<-2> '''{{{#fff 장소}}}''' || ||<-2>{{{#!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include(틀:지도, 장소=벨고로드, 높이=200, 너비=100%)]}}} || ||<-2> [[러시아]] [[벨고로드#s-3|벨고로드주]], [[쿠르스크주]], [[브랸스크|브랸스크주]] 일대 || ||<-2> '''{{{#fff 교전 국가 및 세력}}}'''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크기=23)] [br] [[파일:자유 러시아 군단기.svg|width=23]] [[자유 러시아 군단]] [br] [[파일:러시아 의용군단기.svg|width=23]] [[러시아 의용군단]][br][[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width=23]] [[우크라이나 국제군단#s-2.15|벨라루스 의용군단]][br] [[파일:캅카스 무슬림 군단 로고.png|width=23]] [[우크라이나 국제군단#s-2.14|DRG 캅카스]][br] [[파일:폴란드 의용군단.png|width=23]] [[폴란드 의용군단]] ||<^|1>[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크기=23)] || ||<-2> '''{{{#fff 지휘관}}}'''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일리야 포노마료프]][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카이사르(자유 러시아 군단)|체자르]][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데니스 카푸스틴]][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이고르 노만]][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무아즈 키비셰프[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다닐 마즈니크[[전사(죽음)|†]] ||<^|1>[[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뱌체슬라프 글라드코프[* 벨고로드 주지사][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알렉산드르 라핀]][* 러시아 육군 제1 부사령관][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안드레이 스테셰프]][[전사(죽음)|†]] || ||<-2> '''{{{#fff 병력}}}''' || ||<^|1>[[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이나군]]'''[br] [[파일:자유 러시아 군단기.svg|width=23]] [[자유 러시아 군단]][br] [[파일:러시아 의용군단기.svg|width=23]] [[러시아 의용군단]][br][[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width=23]] 벨라루스 의용군단[br] [[파일:캅카스 무슬림 군단 로고.png|width=23]] [[우크라이나 국제군단#s-2.14|DRG 캅카스]][br] [[파일:폴란드 의용군단.png|width=23]] [[우크라이나 국제군단#s-2.16|폴란드 의용군단]][br]그 외 병력 미확인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연방군]]'''[br] [[파일:러시아 국가근위대기.svg|width=23]] [[러시아 국가근위대]] [br][[FSB|연방보안국 국경수비대]][br][[파일:러시아 국가경찰 로고.svg|width=23]] [[러시아 국가경찰|벨고로드 주 경찰]][br]자파드-아흐마트 대대[br]그 외 병력 미확인 || ||<-2> '''{{{#fff 피해규모}}}''' || ||<^|1>'''러시아측 주장'''[br][[T-80BV]] 2대 노획[br][[MaxxPro]] 2대 노획[br] [[험비|M1151A1, M1152A1]] 전술차량 3대 노획[br]AMZ 지크-2 IMV 1대 노획[br][[KrAZ]] 코브라 전술차량 1대 파괴 [br][[도요타]] 픽업트럭 1대 파괴 [br]70명 전사 '''반러시아측 주장'''[br]2명 전사[br]12명 부상 ||'''반러시아측 주장'''[br][[BTR-82A]] 1대 노획[br][[BTR-80]] 1대 노획[br][[Ural-4320]], [[KamAZ]] 트럭 3대 파괴[br][[MT-12]] 1문 파괴[br] [[2S4 튤판]] 1대 파괴[br][[BM-21]] 1대 파괴[br][[GAZ]] 픽업트럭 1대 노획 [br][[GAZ 티그르]] 1대 노획[br] 국경수비대원 1명 사망 '''러시아측 주장''' 민간인 2명 사망 13명 부상 [[https://www.aljazeera.com/news/2023/5/24/russia-claims-70-attackers-killed-in-cross-border-belgorod-raid|#]] 국경지역 9개 마을 소개(疏開) || ||<-2> '''{{{#fff 결과}}}''' || ||<-2> '''진행 중'''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7a1c06bc-f145-44e7-b655-3e5013c2798d.jpg|width=100%]]}}}|| || '''전투의 여파로 곳곳에서 화재가 발생한 러시아 벨고로드주 코진카 마을''' || [[2023년]] [[5월 22일]], [[자유 러시아 군단]], [[러시아 의용군단]], 벨라루스 의용군단, 그리고 폴란드 의용군단 병력이 벨고로드 쪽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국경]]을 넘어 러시아 국경수비대를 기습 공격 후 러시아 [[벨고로드주]] 내부로 침공하면서 시작되었다. [[성동격서]] 전략의 일환인지 동시기 [[쿠르스크주]], [[브랸스크주]] 방면으로의 협공도 이어지고 있는 중이다. == 상세 == 이 전투는 러시아 의용군단이 2023년 3월과 4월 두 차례 러시아에 침투 및 교전한 이후 3번째로 러시아 본토를 공격한 사례다. 독소 전쟁이 발발했던 1941년 6월 22일로부터 82년 만에 러시아 본토가[* 러시아가 합병 선언한 우크라이나 영토 제외.] 적에게 함락 및 점령당했으며, 독일군이 2차 하르코프 공방전에서 소련군의 공세를 격퇴한 이후 러시아 남부로 향한 청색 작전이 발동했던 1942년 6월 이후 81년 만에 벨고로드주의 일부 지역이 상대에게 점령당한 사례다.[* 그러나 벨고로드주와 쿠르스크주, 로스토프주는 [[유로마이단 혁명]] - [[돈바스 내전]]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러시아 영토로 도망가는 반군을 추격해 들어온 우크라이나군과의 소규모 교전이 있어왔기에, 러시아 내부 영토 교전 기준으로는 맞지 않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이 한창이던 1984년에 [[무자헤딘]]이 소련 영내로 진입해 공작을 펼친 적이 있었다.] 최초 공세는 기존에 진행됐던 사보타주나 암살 등을 위한 침투 후 후퇴 혹은 원거리 공습과 달리 우크라이나군의 포병화력이 지원되었으며, 한때나마 러시아 본토를 실질적으로 점거해 참호선을 구축하고 방어전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러시아 의용군단과 자유 러시아 군단은 해당 지역에서 철수한 뒤 25일에 재진입하며 지속적으로 러시아 국경의 긴장상태를 고조시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에서 유출된 문건으로 젤렌스키는 러시아 본토의 공격을 원한다고 했는데 이 전투로 실현되었다. 이후로 자유 러시아 군단과 러시아 의용군단은 기회가 될 때마다 해당 지역을 공격하며 게릴라전과 교란 작전을 펼치고 있다. 러시아 내부에서 어느 정도 동요가 있었다고 한다.[[https://m.yna.co.kr/view/AKR20230603034300009?section=international/all|#]] 현 상황에서 벨고로드 주 접경 지역은 빠르게 회색 지대가 되어가고 있다. === 5월 22일 === * [[2023년]] [[5월 22일]], [[자유 러시아 군단]]의 사령관 체자르가 이 국경 마을 코진카와 그라이보론(Гра́йворон)에 진입했다고 주장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522161100108|#]][* 이 전투 전까지 자유 러시아 군단은 2023년 1월에서 3월 사이에 [[바흐무트 전투]]에 참전했다가 [[제93기계화여단]]과 교대해 후방에서 훈련을 받고 있었다.] * 현재 러시아군이 [[공격헬기]]까지 동원한 것이 확인되었다.[[https://t.me/andriyshTime/9925|#]] * 러시아의 [[Mi-8]] 헬리콥터가 추락하였다. 러시아는 전투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https://t.me/readovkanews/59330|#]] * 그라이보론 주변에는 [[https://www.globalsecurity.org/wmd/world/russia/golovchino_nuc.htm|핵무기 저장고]]가 있는데, '''앞으로 11km만 더 진격한다면 핵무기 저장고에 도달한다.''' * 그라이보론에 소개령이 내려졌다.[[https://t.me/readovkanews/59333|#]] * 자유 러시아 군단이 점령한 코진카 지역에 참호선을 파고 농성할 준비를 하고 있다.[[https://twitter.com/GirkinGirkin/status/1660664475727413248|#]] * 러시아 의용군단이 쿠르스크주 류비모프카를 점령했다.[[https://www.reddit.com/r/RussiaUkraineWar2022/comments/13ojwq6/russian_volunteer_corps_third_border_crossing/?utm_source=share&utm_medium=android_app&utm_name=androidcss&utm_term=1&utm_content=share_button|#]] * 브랸스크주 추로비치에도 러시아 의용군단이 진입했다.[[https://www.reddit.com/r/RussiaUkraineWar2022/comments/13ojiun/the_russian_volunteer_corps_has_simultaneously/?utm_source=share&utm_medium=android_app&utm_name=androidcss&utm_term=1&utm_content=share_button|#]] * 자유 러시아 군단이 러시아 주민들에게 밖은 위험하며, 실내에 머물 것을 권고했다.[[https://www.reddit.com/r/FreedomofRussia/comments/13ojuor/freedom_russia_legion_residents_of_the_border/?utm_source=share&utm_medium=android_app&utm_name=androidcss&utm_term=1&utm_content=share_button|#]] * 벨고로드주에서 자유 러시아 군단의 공격 이후 피난 행렬이 이어졌다.[[https://www.reddit.com/r/FreedomofRussia/comments/13osb74/people_leave_belgorod_after_russian_legionnaires/?utm_source=share&utm_medium=android_app&utm_name=androidcss&utm_term=1&utm_content=share_button|#]] * 벨고로드 전역에 [[통행금지령]]이 발령되었다.[[https://arca.live/b/singbung/76934795?p=1|#]] * 폴란드 의용군단이 참전한것이 확인되었다.[[https://t.me/RVvoenkor/46565?single|#]] === 5월 23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05 23 벨고로드.jpg|width=100%]] }}} || || '''05.23. 기준 벨고로드 전선 지도''' || * 벨라루스 의용군단장 [[이고르 노만|이하르 노만]]이 참전한 것이 확인되었다.[[https://t.me/c/1648940842/1300|#]] * 자유 러시아 군단이 러시아의 벨고로드주로 건너와 국경을 따라 일부 정착지를 장악했고, 러시아군이 재차 반격하면서 전투가 계속되고 있다. * 자유 러시아 군단과 러시아 의용군단이 잠시 점령했던 그라이보론, 고라포돌, 글로토보에서 물러나 방어선을 구축한 코진카로 후퇴했다고 한다.[[https://twitter.com/dachiof/status/1660764920361758722|#]] 기존 침투 목적을 충분히 달성한 만큼 러시아군 병력의 이동상황을 주시하면서 코진카에서 전투를 치르거나 혹은 다시 국경을 넘어 우크라이나로 후퇴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 러시아 의용군단이 FSB로부터 [[BTR-82A]]와 [[BTR-80]]을 노획했다.[[https://t.me/russvolcorps/518|#]][[https://t.me/RVvoenkor/45595|#]][[https://t.me/c/1600368510/11127|#]][[https://twitter.com/WarMonitors/status/1660948942522122242|#]] * 글로토보 마을에서 러시아군이 [[M1224 MaxxPro]]를 노획했다.[[https://t.me/c/1980904320/222|#]][[https://t.me/RVvoenkor/45602?single|#]] * 전러시아 국영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 회사 소속 알렉산드르 슬라드코프에 의하면 자유 러시아 군단 및 러시아 의용군단이 벨고로드주에서 포위되었다고 한다.[[https://t.me/c/1812794467/386|#]][[https://t.me/RVvoenkor/45650|#]] * 자유 러시아 군단 및 러시아 의용군단이 쉬체티노프카, 보군고로도크, 고르코프스키 등의 마을에서 그라이보론 일대를 향해 서쪽으로 돌파를 시도했다는 보고가 올라왔다고 한다.[[https://t.me/RVvoenkor/45642?single|#]] * 러시아 국방부는 23일 러시아 영토내 침입한 적군을 모두 몰아냈으며 70여명을 사살하고 장갑차 4대와 트럭 5대를 파괴했다고 주장했다.[[https://youtu.be/ar5HKAZn1S0|YTN 보도내용]] * '''[검증 필요]''' 러시아군이 자유 러시아 군단 및 러시아 의용군단의 험비 2대가 유기되었고 기타 장갑차들 또한 격파되었다고 주장했으나[[https://t.me/RVvoenkor/45668|#]] 러시아군의 조작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https://twitter.com/FluteMagician/status/1661162964261404673?s=19|#]] * 자유 러시아 군단 및 러시아 의용군단의 KrAZ 코브라가 격파되었다.[[https://t.me/RVvoenkor/45682?single|#]] * '''[검증 필요]'''러시아군이 자유 러시아 군단 및 러시아 의용군단의 차량전력 대부분을 파괴했다고 한다.[[https://t.me/RVvoenkor/45691?single|#]] * 벨고로드주 글로토보에서 러시아군의 트럭 2대와 MT-12 대전차포 1문이 러시아 의용군단에 의해 파괴된 것이 확인되었다.[[https://www.reddit.com/r/RussiaUkraineWar2022/comments/13q2drb/belgorod_region_glotovo_as_a_result_of_the/?utm_source=share&utm_medium=android_app&utm_name=androidcss&utm_term=1&utm_content=share_button|#]] === 5월 24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05 24 벨고로드.jpg|width=100%]] }}} || || '''05.24. 기준 벨고로드 전선 지도''' || *러시아 정부는 국경을 침범한 병사들이 우크라이나 국적이었다고 주장하며 벨고로드와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민간 피해에 대해 범죄 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https://youtu.be/FDVogsGmnvc|BBC 보도]] * 자유 러시아 군단과 러시아 의용군단이 수미주의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지역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었다. 자유 러시아 군단장 체자르는 작전 도중 2명이 전사하고 10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러시아 의용군단장 데니스 카푸스틴은 작전이 지속되는 중이라고 밝혔다.[[https://t.me/legionoffreedom/811|#]][[https://t.me/russvolcorps/529|#]][[https://www.reddit.com/r/FreedomofRussia/comments/13r3lqh/rare_trilingual_interview_with_the_postbelgorod/?utm_source=share&utm_medium=android_app&utm_name=androidcss&utm_term=1&utm_content=share_button|#]] * FSB 국경수비대원들이 벨고로드주 입구에서 모스크바 차량번호를 가진 적군 차량들을 보았다고 한다.[[https://t.me/c/1812794467/412|#]] === 5월 25일 === * 러시아 의용군단이 벨고로드주 코진카에 다시 침투했다.[[https://t.me/huyovy_kharkiv/110724?single|#]] === 5월 28일 === * DRG 캅카스가 FSB 국경수비대 초소를 공격했다.[[https://www.reddit.com/r/RussiaUkraineWar2022/comments/13yys5q/last_week_may_28_2023_a_successful_partisan/?utm_source=share&utm_medium=android_app&utm_name=androidcss&utm_term=1&utm_content=share_button|#]] === 6월 1일 === * 러시아 의용군단이 BM-21로 벨고로드주 셰베키노의 러시아 경찰서를 공격했다.[[https://www.reddit.com/r/FreedomofRussia/comments/13xjo9a/ilya_ponomarev_forces_of_the_legion_freedom_of/?utm_source=share&utm_medium=android_app&utm_name=androidcss&utm_term=1&utm_content=share_button|#]] * 러시아 의용군단이 벨고로드주 셰베키노에 진입했다.[[https://t.me/RVvoenkor/46357?single|#]] * 러시아 의용군단과 자유 러시아 군단이 러시아군의 KamAZ 트럭과 2S4 튤판을 파괴했다.[[https://t.me/legionoffreedom/829?single|#]] === 6월 2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06 02 벨고로드.jpg|width=100%]] }}} || || '''06.02. 기준 벨고로드 전선 지도''' || *벨고로드 주에서는 우크라이나군에 의한 포격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번에는 지난주보다 더 동쪽으로 포격했다. === 6월 3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0603_181210.jpg|width=100%]] }}} || || '''06.03. 기준 벨고로드 전선 지도''' || *어제 시작된 벨고로드에 대한 침입이 이제 노바야 타볼잔카 남쪽의 한 위치에서 확인되었다. *셰베키노는 지난 이틀 동안 포격을 많이 받았고 마을에 대한 공격도 있었다고 보고되었다. * 셰베키노에서 러시아 의용군단을 격퇴한 러시아군 서부군관구 장병들에게 메달이 수여되었다.[[https://t.me/c/1801542020/5239|#]] === 6월 4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Belgorod20230604.jpg|width=100%]] }}} || || '''06.04. 기준 벨고로드 셰베키노 전선 지도''' || * 포격전이 진행중이다.[[https://t.me/RVvoenkor/46570?single|#]] * 러시아 의용군단장 데니스 카푸스틴이 대화를 하기 위해 벨고로드주 주지사 뱌체슬라프 글라드코프에게 포로교환을 제안했다.[[https://t.me/white_powder2020/1917|#]] 글라드코프 주지사는 이를 승낙했다.[[https://t.me/RVvoenkor/46598?single|#]] * 현지 시각 오후 5시부터 노바야 타볼잔카에서 전투가 벌어지는 중이다.[[https://t.me/RVvoenkor/46600?single|#]] * FSB 국경수비대는 노바야 타볼잔카에서 적의 강 도하 시도가 좌절되었다고 밝혔다.[[https://t.me/RVvoenkor/46604|#]] === 6월 5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Belgorod_20230606.jpg|width=100%]] }}} || || '''06.05. 기준 벨고로드 전선 지도''' || * 자유 러시아 군단이 드론을 사용해 검문소 근처에 있던 러시아군의 전차 2대, BMP-3 1대, 그리고 BRDM 1대를 파괴했다.[[https://t.me/legionoffreedom/855|#]] === 6월 6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0606_102034.jpg|width=100%]] }}} || || '''06.06. 기준 벨고로드 전선 지도''' || *우크라이나에 연합된 [[자유 러시아 군단]]과 [[러시아 의용군단]]은 러시아 벨고로드주의 노바야 타볼잔카 마을 남쪽에서 부분적으로 통제권을 확장했다. * '''[검증 필요]''' 러시아 의용군단장 데니스 카푸스틴이 벨고로드주의 노바야 타볼잔카를 완전히 점령했다고 발표했다.[[https://t.me/c/1145182220/9496|#]] * 러시아 의용군단 및 자유 러시아 군단에 의해 러시아 연방군의 안드레이 바실리예비치 스테셰프 대령이 전사했다.[[https://t.me/russvolcorps/588|#]] * 벨고로드 주지사 뱌체슬라프 글라드코프는 러시아 연방군이 노바야 타볼잔카를 통제중이라고 밝혔다.[[https://t.me/RVvoenkor/46736|#]] *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만약 2주내로 벨고로드주의 상황이 나아지지 않으면 바그너 그룹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https://t.me/prigozhin_2023_tg/1549|#]] * 어느 러시아 동원병이 SNS로 영상을 올려서 자신들의 부대 80%가 우크라이나군-러시아 의용군단의 포격으로 궤멸당했다면서 지휘관들은 도망쳤고, 지원군을 보내주지 않은 크렘린궁의 수뇌부를 비난했다.[[https://twitter.com/igorsushko/status/1665786537982738440?s=20|#]] === 6월 8일 === * 벨고로드주 주지사 뱌체슬라프 글라드코프가 예브게니 프리고진에게 바그너 그룹의 지원을 요청했다.[[https://t.me/prigozhin_2023_tg/1595|#]] === 6월 13일 === * 노바야 타볼잔카에서 러시아군이 자유 러시아 군단으로부터 T-80BV 2대를 노획했다.[[https://t.me/RVvoenkor/47228|#]] === 6월 15일 === * 자파드-아흐마트 대대가 벨고로드주에 투입되었다.[[https://t.me/RVvoenkor/47358|#]] [[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투]][[분류:2023년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