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러키☆스타)] [목차] == 개요 == 애니메이션판 《[[러키☆스타]]》에 나오는 주요 [[패러디]]를 모아놓은 곳. 원작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은 애니메이션 완전 오리지널 패러디들. 이 작품이 애니메이션화되면서 새로이 삽입된 패러디의 수는 장난이 아니다... [youtube(c6DPJTnewd4)] 아래를 보면 알겠지만 유독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패러디가 많아서 따로 정리영상까지 나왔다. == 1화 == === [[스트리트 파이터 2]] === [[파일:external/i47.tinypic.com/28mfoz4.jpg]] 코나타와 츠카사의 첫 만남을 설명하며 나온 패러디. 필살기를 볼 때 [[류]]가 원본인 듯. 여기서 사용된 코나타 그림은 후에 게임 [[러키☆배트 LuckyBattleChronicle]]에서 그대로 사용되었다. 기술도 파동권 승룡권 용권선풍각 진공파동권의 패러디로 딱 류. 일단 원작에서도 이 이야기 자체는 있었지만, 그 과정을 스파 2식으로 그려낸 패러디는 애니메이션에서 추가된 것. 근데 [[가일|그 외국인]]은 단순히 길을 물어보려고 츠카사에게 접근한거였다는데... == 2화 == === [[태고의 달인 시리즈]] === [[파일:external/i48.tinypic.com/abh4b5.jpg]] 오락실에서 하는 모습. 참고로 이 때 나온 곡은 [[ハレ晴レユカイ|스즈미야 하루히 애니판의 엔딩곡]].[* 실제 태고의 달인에도 수록된 적이 있다. 그리고 가져가 세라복도 AC11부터 수록되었다.] 알다시피 [[히라노 아야|이즈미 코나타]][[웬디 리 | 안에 계신 분]]의 대표작이자 유명작의 엔딩곡이다. 물론 일본, 미국판 한정. === [[톱을 노려라!]] === 코나타가 잡지에서 콤프 축제 정보를 발견했을 때 건버스터 발진 브금이 나온다. 이 브금은 코나타의 알바를 알게 된 카가미가 놀랄 때 다시 나온다. 그리고 미유키와 치과 이야기를 할 때 코나타의 망상에서 오프닝의 마지막 장면을 그대로 재현하였는데, 아예 엑셀리온을 패러디한 뾰족한 파란 전함까지 등장한다.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파일:external/i47.tinypic.com/2co3e38.jpg]] 인형뽑기 기계 안에 있는 인형들이 전부 케로로 캐릭터들이다. 원작은 평범한 곰인형. === [[SHUFFLE!]] === [[파일:알바생코나타.png]] 코나타가 알바를 하는 모습을 상상하는 장면에서 등장. 캐릭은 [[리시안사스(SHUFFLE!)|리시안사스]]. == 3화 == === [[돌격 크로마티 고교]] === [[파일:external/i47.tinypic.com/2my9smd.jpg]] 만화에서 바보 캐릭터와 천재 캐릭터가 같은 학교에 다니는 경우가 있다고 하며 나오는 장면. 대화 자체는 원작에서도 나왔지만 크로마티 고교 패러디는 애니메이션에서 추가된 것. === [[파니포니 대쉬]] === [[파일:external/i48.tinypic.com/2e20caf.jpg]] 최근 애니에서는 선생이 학생 또래로 나오거나 오히려 더 어리게 나오기도 한다고 하며 그 예를 들며 나온 패러디. 사진의 인물은 물론 [[레베카 미야모토]]. === [[아따맘마]] === [[파일:external/i50.tinypic.com/2i1nol4.jpg]] 술취한 아저씨들은 머리에 [[넥타이]]를 감곤 한다는 대화 중. 등장 인물은 [[아빠(아따맘마)|아빠]]. == 4화 == === [[Kanon]] === 코나타가 지각한 핑계를 대면서 카논의 [[츠키미야 아유]] 루트 스토리를 말한다. 상점가 앞에서 여자애랑 부딪혔어요~ 부터 확실한 [[츠키미야 아유|우그으~]] 까지...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 [[파일:external/i50.tinypic.com/i1hffr.jpg]] 코나타가 카가미 생일 선물로 그녀에게 어울리겠다며 준 단장 완장. === [[투하트]] === [[파일:투하트.png]] 역시 코나타가 츠카사 생일 선물로 준 '''투하트 교복.''' 사실 츠카사가 투하트의 히로인 [[카미기시 아카리]]와 몹시 닮았기 때문에 16화에서는 관련 에피소드도 나온다. === [[크레용 신짱]] === 카가미가 케이크를 먹는 걸 보고 코나타가 [[노하라 신노스케]](신짱구)의 목소리를 흉내낸다. 한국판에서도 코나타가 짱구 목소리 흉내내는 장면이 나온다. === [[SHUFFLE!]] === 코나타가 '''"빈유는 스테이터스다! 희소가치다!"''' 라고 [[마유미 타임]]의 명대사(?)를 흉내.[*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hn3607&logNo=188081397&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해당 장면]] ] 국내판에서는 '''"빈유를 부끄러워말라! 그건 귀중하니까!!"'''로 나왔다. [[파일:셔플.png]] 이후 코나타 방에 포스터로 마유미가 나온다. === [[무한의 주인]] === [[파일:무한의 주인.png]] 코나타의 시험공부 에피소드 중 한 장면. 공부하다가 쉰다는 명목으로 만화책을 읽는데, 표지가 무한의 주인이다.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 시험공부 에피소드의 마지막 장면. 코나타가 스즈미야 하루히 할 시간이라면서 TV를 틀고 본다. 이후 '나가토의 롱 테이크 씬은 날림인가?' 라는 대사를 하는데, 코나타가 말하는(본)것은 그 유명한 하루히의 메롱 짤방이 나온 섬데이 인 더 레인 에피소드이다. 그리고 나서 '요즘 [[야마칸|야마*]]은 별거 없네' 라고 하는데, 야마칸은 섬데이 인 더 레인의 콘티담당이었다. 다음으로 바로 컴퓨터 화면을 보는데, 아마 2ch를 보는게 아닌가 추측된다. 당시 2ch의 웹디자인과 매우 흡사한걸로 보아서.. === [[드래곤볼]] === [[파일:러키스타 드래곤볼.png]] 코나타가 들고 있는 노트의 亀 무늬. 드래곤볼의 [[무천도사]] 도복의 패러디. === [[본타군]] === [[파일:external/i50.tinypic.com/fk8fg6.jpg]] 카가미의 방에 있는 인형. === [[시간을 달리는 소녀]] === [[파일:러키스타 시간을달리는소녀.png]] 카가미가 잠이 안온다며 소설책을 읽는데, 시간을 달리는 소녀 일본판 소설이다.[[https://booklive.jp/product/index/title_id/178591|실물 표지]] === [[츠요키스]] === [[파일:코나타부채.png]] 코나타가 사용하는 부채에 츠요키스의 등장 캐릭터 [[카니사와 키누]]가 그려져 있다. === [[사카이 노리코]] === 럭키 채널에서 [[코가미 아키라]]가 엽서를 많이받고 '' マンモスうれピー '[* 직역하자면 맘모스정도로 행복햇! 정도로 할 수 있다.]라고 하자 옆에 있던 [[시라이시 미노루]]가 80년대 네타라고 하는데, 진짜로 80년대 일본 아이돌이였던 사카이 노리코의 유행어 중 하나. == 5화 ==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대사 패러디. "겟~토다제" 원작에선 [[아미노시키]] CM을 전부 따라할 수 있다는 특기가 있다고 하는 장면이 있었으나 애니메이션 포켓몬 이름을 전부 댈 수 있다고 자랑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금붕어 주의보]] === 카가미가 축제에서 잡은 금붕어를 예뻐해준다며 이름을 교피짱으로 붙여주는데, 이는 [[금붕어 주의보]]의 마스코트 교피짱의 이름이다. === [[본타군]] === [[파일:유이누나.png]] 나루미 유이가 본타군 탈을 쓰고 등장한다 === [[야마칸]], [[가토 쇼우지]] === [[파일:야마칸과가토.png]] 코나타가 온라인 게임상에 친구들과 레이드 관련 채팅을 하는데, 아이디가 야마칸과 가토 쇼우지의 이름을 살짝 비틀은 것이다 이후에도 코나타가 온라인 게임을 하면 대화하는 상대의 아이디가 거의 이 두 아이디이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컴퓨터게임 중 코나타가 흥얼거리는 멜로디는 1기 오프닝의 멜로디. === [[풀 메탈 패닉!]] === 코나타가 레어아이템이 떴다면서 레바틴이라고 언급하는데, 이는 풀 메탈 패닉의 보행병기 암 슬레이브중 하나인 아바레스트의 후속기 [[레바테인(풀 메탈 패닉!)|레바테인]]의 이름 패러디이다 레어아이템 네이밍이 저런 이유는 4화만에 [[야마모토 유타카/사건사고#s-3.1|감독의 영역에 도달하지못한]] 야마칸 때문에 구원등판한 감독 타케모토 야스히로가 5화의 각본가로 가토 쇼우지를 부르는데, 본인이 쓴 소설 풀 메탈 패닉 홍보를 위해서... === [[몬스터 헌터 도스]] === 6화 예고에서 몬스터 헌터 도스를 언급하는데, 입문자들의 아픈 경험을 얘기하고 있다. == 6화 == === [[이니셜 D]] === [[파일:external/i49.tinypic.com/2rma0q0.jpg]] [[나루미 유이]]가 뒷차에게 추월당하자 도로에서 레이싱을 펼치며 나온 [[https://www.youtube.com/watch?v=Cr9yx2YkXsc|패러디.]][* 이때 나오는 음악은 [[m.o.v.e]]의 패러디 그룹인 m.o.e.v의 gravity이다. 이후 진짜 m.o.v.e가 부르기도 했다.[[https://youtu.be/kn6bYG6oT3g|영상]].] 유이의 차량은 [[스바루 비비오]]이고[* 참고로 이 비비오의 색상은 [[스바루 임프레자]]의 기본 컬러로 쓰이는 파란색인 WR Blue Mica라고 한다. 애니메이션 버전의 [[후지와라 분타]]가 몰고 다니는 그 임프레자의 색깔도 마찬가지.] 앞차는 [[타카하시 케이스케]]를 연상시키는 [[마쯔다 RX-7|FD3S]]이다. 원작에서는 표정만 바뀌고 끝났는데 애니메이션으로 나오면서 아예 추격씬을 넣어버린 것. 이후 코나타의 [[모기 나츠키]] 대사는 덤. 일본 내수판에서는 카가미가 "뭐야! 이 XXX D같은 주행은!"이라고 해서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지만 국내 방영분은 "뭐야! 이 이니셜 D같은 주행은!"이라고 직접 언급한다. === [[풀 메탈 패닉!]] === 해변에서 코나타가 카가미에게 수박깨기에 대한 얘기를 하는데, 이는 동 제작사에서 만든 풀 메탈 패닉 후못후 3화에서 나온 장면을 언급한 것이다. === [[신세기 에반게리온]] === [[파일:TRmpycb.png]] 신세기 에반게리온 11화에서 [[카츠라기 미사토]]가 [[에비스]] [[맥주]]를 들이킨 뒤 짓는 특유의 포즈와 표정을 [[쿠로이 나나코]]가 좌우만 반전된 채 그대로 따라한다.--이런 건 또 어떻게 찾은 거야-- === [[사이조 히데키]] === [[바다의 집]]에서 코나타가 카레를 먹으면서 말한 "코나타 칸케케(코나타 감격)"이라고 하는 대사는 왕년의 미남 탤런트인 [[사이조 히데키]]가 '하우스 바몬드 카레'를 광고하면서 유행시킨 캐치프레이즈인 "히데키 칸케키(히데키 감격!)"[* [[https://www.youtube.com/watch?v=wffgVdIouWo|19초부터 등장]]]의 패러디다. 이 멘트가 크게 유행하여, 사이조 히데키는 18년동안 바몬드카레의 광고모델이 된다. === 티모테 === 미유키가 바다에 들어갔다 나오면 머리가 미끌미끌한 이유를 열심히 설명중인 가운데 뜬금없이 머리감는 모션을 취하면서 티모테~ 티모테~ 티모테~ 라는 구절을 흥얼거리는데, 이는 1985년에 일본레버[* 유니레버 일본 현지법인.]가 만든 샴푸 티모테 일본판 CM송[* 영국 원판은 [[https://youtu.be/_jL1POdmro4|다른 노래를 쓴다.]]]을 따라한 거다.([[https://youtu.be/8HNTye1Vumk|원본영상]], [[https://youtu.be/Ihahx5cXjuQ|한국판]]) 이에 더빙판은 엘라스틴을 패러디[* 젤라스틴, 난 소중하니까요~]해서 적절히 현지화했다. === [[맨담]] === 미유키가 목욕하는 뒷모습을 보면서 코나타가 "으음- 만담"[* [[https://www.youtube.com/watch?v=XEqA84R0lYU|1:30부터 나온다.]]]이라고 아저씨말투로 말한다. (더빙판에서는 [[https://www.youtube.com/watch?v=IRMNBYjevf4|김재원과 안정환이 출연한 '꽃을 든 남자'의 멘트인 "피부가 장난이 아닌데"]]의 패러디로 대체) 이는 [[찰스 브론슨]]이 등장한 남성 화장품 상표명인 맨담의 광고 패러디. 이 광고가 크게 히트하여, 맨담을 만들던 화장품회사인 '단죠(丹鶴) 화장품'은 아예 회사명을 맨담으로 바꾸기까지 했다(예전에 [[기무라 타쿠야]]가 출연한 [[https://www.youtube.com/watch?v=MLR-GWRWJDA|광고]]인 개츠비 염색약을 제조한 회사다). === [[빛의 전사 프리큐어|두 사람은 프리큐어]] === 코나타가 밤에 무서운 이야기를 할 때, 뜬금없이 두 사람은 프리큐어 이야기를 한다. 국내 방영판에서도 구현되었으나 국내 방영명이었던 '''빛의 전사 프리큐어'''가 아니라 '''두 사람은 프리큐어'''를 그대로 써서 아쉬움을 남겼다. 물론 본작이 두 사람은 프리큐어를 포함한 [[프리큐어 시리즈]]와 달리 로컬라이징 없이 방영되었다는 걸 감안해야겠지만 말이다. === [[이누가미 일족]] === 츠카사가 밤에 화장실에 다녀올 때, 코나타가 이누가미 일족에 나오는 [[이누가미 스케키요]]의 흰색 가면을 쓰고 츠카사를 놀래킨다. === 개그맨 히로시 === 츠카사가 소라고둥을 귀에 대고, 바닷속에 있는 상상을 할 때의 대사인 "저는 재미있는 말은 잘 하지 못해요.. 츠카사예요.. 츠카사예요."는 일본의 개그맨인 히로시의 개그를 패러디 한 것이다. 주로 자신의 치부를 드러낸 다음에 "히로시데스(히로시예요)"라는 유행어를 던지는 식.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yun2203&logNo=120015793325&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이런 식으로.]] === [[엉망진창 테크닉]] === 카가미의 언니가 자꾸 못 입는 옷을 카가미에게 줄 때 "누굴 똥차로 알고 있나"라는 독백은 [[야라나이카]]로 유명한 만화인 [[엉망진창 테크닉]]([[야마카와 준이치]]의 작품)의 마지막 대사를 인용한 것이다. === [[마잇칭구 마치코 선생님]] === 럭키채널 시작부터 아키라에게 호되게 당하는 시라이시 미노루가 중간에 まいっちんぐ~라고 외치는데, 80년대에 방송된 애니메이션 마잇칭구 마치코 선생님의 주인공 마치코 선생의 시그니쳐 대사이다. == 7화 ==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 코나타의 행동이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처럼 기품있게 변하며. 대부분의 패러디가 애니메이션 추가요소인 가운데 이것만큼은 원작에서도 그대로 나왔다.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파일:external/i50.tinypic.com/64jw40.jpg]] 가방고리로 등장 === [[작안의 샤나]] === [[파일:external/i50.tinypic.com/2me91na.jpg]] 코나타가 카가미의 포인트까지 끌어모아서 사고 싶어하는 피규어. 머리카락과 교복색만 좀 다를 뿐 전체적인 외향이 딱 '''[[샤나]]'''다. 우연인지는 모르겠지만 [[히이라기 카가미]]의 한국판 성우인 [[배정미]]가 샤나를 맡았다. == 8화 == === [[키디그레이드]] === 체육대회 중 코나타가 카가미에게 '''여자애라면 엘레강트하게!''' 라는 말을 하는데, 이 대사는 코나타 성우 [[히라노 아야]]의 첫 주연작인 [[키디그레이드]]의 주인공 [[류미엘]]의 말버릇이다. 이 외에도 러키스타는 히라노 아야의 대한 성우네타가 곳곳에 많이 깔려있다. === [[하이퍼 올림픽]] === [[파일:external/i47.tinypic.com/2jb5p2w.jpg]] 츠카사가 코나타에게 어떻게 하면 너처럼 빨리 달릴 수 있냐 라고 묻자 코나타가 대답하며 나온 장면. 배경에 보이는 제작사명이 KONAMI(하이퍼 올림픽의 제작사) 대신 '''KYO'''N'''ANI'''로 바뀌어서 나온다.~~쿄나니~~ == 9화 == === [[아버지에게도 맞아 본 적이 없는데]] === 러키☆채널에서 [[코가미 아키라]]가 [[시라이시 미노루]]를 때리려고 위협했을 때에 시라이시가 [[아무로 레이]]의 명대사인 '''[[아버지에게도 맞아 본 적이 없는데]]'''를 시전한다.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10화 예고에서 코나타가 '''월드 3-1에서 무한 1 UP를 얻는 법'''을 설명한다. 그렇다고 또 지나치게 UP하면 한방에 [[게임 오버|훅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고 말한다. 이는 8비트 닌텐도 시스템의 한계로 인하여, [[오버플로|라이프가 127을 넘어가는 순간 -128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 10화 == === [[Dr. 코토 진료소]] === [[타카라 미유키]]가 감기 진료를 위해 병원을 찾아가는 에피소드인데, 병원 이름부터 원작의 등장하는 시키나지마 진료소(志木那島診療所)를 살짝 비튼 시키라이시마 진료소(志木莱島診療所)이고, [[Dr. 코토 진료소#s-2.7|안도 시게오]]와 니시야마 마리코[* 드라마판 오리지널 캐릭터]가 진료를 보러 온 환자로 나온다. === [[아사히나 미쿠루]] === [[파일:external/i48.tinypic.com/34jcbj7.jpg]] 코나타 집에 있는 피규어 중 하나. === [[팡야]] === [[파일:external/i50.tinypic.com/s27er4.jpg]] 역시 피규어 중 하나. 퍙야의 캐릭터인 쿠. === [[아니자와 메이토|아니메점장]] === 일본의 애니메이션 전문 쇼핑몰인 아니메이트의 상징 캐릭터. 12화, 13화, 16화에 재등장하며, 17화에서는 럭키채널의 게스트로 출연. 사실 두 작품은 [[러키☆스타 모에드릴]] 시절부터 오랜 콜라보레이션 역사가 있다. == 11화 == === [[춤추는 대수사선]] === TV에서 드라마 관련 대사가 나온다. '''"[[아오시마 슌사쿠|사건은 회의실에서 일어나지 않아! 현장에서 일어난다고!]]"''' === [[가면라이더 스트롱거]] === 이즈미 소지로가 책받침으로 정전기를 일으키며 한 패러디. '''"스트롱거!"''' == 12화 == === [[가면라이더 덴오]] === 코미케가 열리자마자 사람들이 몰려 들어가면서 가면라이더 덴오의 등장인물인 [[모모타로스]]의 주요 대사 중 하나인 "처음부터 클라이막스!" 를 외친다. 국내 방영판에서는 구현되지 않았다.[* 러키스타 더빙판 방영 당시 [[가면라이더 덴오]]는 아직 방영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후 2009년에 방영되었다.] === [[가우룽]] X [[사가라 소스케]] === [[파일:external/i50.tinypic.com/25fstnb.jpg]] 코미케에서 카가미가 본 동인지 중의 하나. BL물... BL 동인지라서 그런지 이런 합성도 나왔다.[[http://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78504|#]] 왼쪽은 [[멜리사 마오]] , 오른쪽은 [[치도리 카나메]] 로 추정된다. === [[치하라 미노리]] === [[파일:external/i49.tinypic.com/2u43afd.jpg]] 코나타가 나가몬[* 국내 방영판에서는 대놓고 나가토라고 한다.]의 성우라고 하는 그녀는 바로 [[치하라 미노리]]. 참고로 [[치하라 미노리]]는 [[이와사키 미나미]]역으로 출연하였으나 이때 출연은 [[이와사키 미나미]]로 출연하기 전이다. === [[가토 쇼우지]] === [[파일:external/i50.tinypic.com/15zj9yc.jpg]] 사진에서 멱살을 잡고 화내고 있는 사람이 바로 가토 쇼우지. 풀 메탈 패닉의 작가이다. === [[스기타 토모카즈]] === [[파일:external/i50.tinypic.com/33a8bqg.jpg]] 코미케에서 아니메 점장과 함께 나왔다. 성우로 활약한 [[쿈]] 카드를 팔기도 한다. 한국 더빙판에서는 마찬가지로 쿈의 성우였던 [[엄상현]]이 맡았다. 점장에게 한 대 얻어맞고 나서 손님에게 추천할 물건을 찾을 때 역시 아무로 레이의 대사인 "뭔가 무기는 없나?"를 한다. 16화에서 재등장. === [[코우 우라키]] === 감기에 걸려 텐션이 낮아진 코가미 아키라 눈치를 보던 시라이시 미노루가 '''이 바다는 지옥이야''' 라는 코우 우라키의 명대사를 날려준다. 사실 본편 뒤에 나오는 럭키채널에서 시라이시 미노루의 대사는 십중팔구 건담 네타다. 이것도 그 중 하나. == 13화 == === [[유희왕]] === [[파일:external/i50.tinypic.com/2i5hyb.jpg]] 코나타가 설날 놀이에 대해 말하며 나온 패러디. 원작에서의 백인일수 얘기가 끝난 후에 추가된 내용. === [[Kanon]] === [[파일:external/i47.tinypic.com/2411is9.jpg]] [[츠키미야 아유]]의 패러디. 특유의 말버릇은 '''"우그으~"''' 도 완벽히 재현. === [[케로로 중사]] === [[파일:external/i50.tinypic.com/29uzztl.jpg]] 점원 3명이 [[케로로]], [[타마마]], [[기로로]]의 패러디. 성우는 [[케로로 중사]]와 같이 [[와타나베 쿠미코]], [[코자쿠라 에츠코]], [[나카타 죠지]]. 러키스타가 국내에 방영될 때도 기존 러키스타 성우진인 두명에 양정화만 추가하여 '''케로로 더빙판의 성우들인 [[양정화]], [[류점희]], [[시영준]]'''이 그대로 출연. 참고로 류점희와 시영준은 각각 [[코바야카와 유타카]], [[이와사키 호노카]](류점희), 남자 엑스트라(시영준)로 출연중이었지만, 양정화는 '''이 패러디 하나만을 위해 캐스팅되었다.''' 게다가 아나메 점장의 성우인 '''[[강수진(KBS 성우)|강수진]]'''은 [[도로로(개구리 중사 케로로)|도로로]]의 성우다. --한국에서는 한층 업그레이드되어서 [[쿠루루]] [[김장(성우)|성우]]빼고 다 모였다-- == 14화 == === [[릿지 레이서]] === 코나타가 하고 있는 레이싱 게임. == 15화 == === [[도라에몽]] === 미유키가 콘서트 티켓 추첨에 당첨되자 코나타가 퉁퉁이의 대사인 '''"마음의 친구여~!"''' 라고 한다. === [[히라노 아야]] === 코나타 일행이 보러간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주]]로 추정되는 공연에서 라이브를 하는 모습. 부르는 노래는 스즈미야 하루히 애니에서 문화제 때 부르는 God Knows === [[다카포 시리즈]] === [[파일:external/i49.tinypic.com/11ju007.jpg]] [[https://youtu.be/ZzO3C85ivp4|패러디 장면 영상]] 다카포 시리즈의 [[아사쿠라 네무]]를 흉내낸 코나타. [[요시노 사쿠라]](와 옆에 앉아있는 [[우타마루]]), [[시라카와 코토리]], [[미즈코시 모에]]로도 나온다. ~~원본이 너무길다고 잘려버린 미하루,마코 오열~~그리고 초반부에 코나타가 풀밭에 누워서 벚꽃잎을 토해내는 장면 역시 아사쿠라 네무를 흉내낸 것이다. 영상은 2002년 나온 D.C.본판의 오프닝[[https://youtu.be/BSY30BTLlI4|#]]을 패러디한 것이지만[* 공략 히로인을 추가한 D.C.P.C.가 아니다.] 배경에 깔은 노래는 [[다카포(게임)/애니메이션|애니 1기]] OP인 'サクラサクミライコイユメ' 이다. 참고로 원작에선 내용 자체는 있었으나 다카포 흉내까지는 내지 않았다. === [[가면라이더 슈퍼-1]] === [[파일:external/i47.tinypic.com/mrvaew.jpg]] 코나타의 아버지인 이즈미 소지로가 가면라이더 슈퍼1의 변신 장면을 흉내낸 것. 원작에선 얌전히(?) 마스크만 썼다. == 16화 ==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 === 코나타가 아르바이트하고 있는 카페에 찾아가기 전에 그녀가 카가미에게 사달라고 부탁한 책. 여기서도 일본판에서는 '루루○','코드 기○스'로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지만 국내 방영판에서는 '를르슈', '코드 기어스'[* 기아스를 재패니쉬로 오해해서 국내 정발 시 코드 기어스로 정발되었으나 항목을 참고하면 알겠지만 기아스의 스펠링은 Geas로 기'''어'''스가 아닌 기'''아'''스로 읽는 게 맞다.]로 직접 언급한다. [[파일:external/i47.tinypic.com/2505t0m.jpg]] 13화에서는 아니메 점장이 '''기아스를 사용한다(...).''' 명령 내용은 "그 완전 떨이 DVD를 나에게 가져와라!" 19화에서는 타무라 히요리가 볼링장 예약자 명단에 스자쿠([[쿠루루기 스자쿠]])라고 적는다. 그리고 옆 라인에는 하루히, 쿈, 유키, 미쿠루, 이츠키의 이름이 전광판에... --자세히 보면 각 점수들도 묘하게 고증이 되어있다. [[아사히나 미쿠루|미쿠루]]의 점수가 최하위라던가..-- === [[이시하라 타츠야]] === 츠카사에게 사진 한장 찍게 해달라고 부탁하는 인물은 에어, 카논, 그리고 스즈미야 하루히 애니 감독인 이시하라 타츠야 이다. === [[투하트]] === 카가미, 츠카사, 미유키가 코나타가 일하는 카페에 가기 위해 아키하바라에 갔는데, 츠카사가 투하트의 카미기시 아카리 코스프레를 한 것으로 오인받고[* 그 때 입고 있던 학교 교복까지 투하트 교복과 거의 똑같았다.] 사람들에게 둘러싸였다. 특히 이 때 츠카사 본인이 '''"카미기시 아닌데요."'''라고 말하기까지 했고, 심지어는 '[[후지타 히로유키|히로유키군]]'[* 투하트의 주인공 이름이다.] 이라고 한번만 말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히로유ㅋ..."'''까지 말하다가 카가미에게 제지당하고 끌려간다.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등장인물 === 코나타가 일하고 있는 코스프레 카페에서 코스프레한 것. [[파일:20210215_121249.png]] 코나타가 [[스즈미야 하루히]], [[패트리시아 마틴]]이 [[아사히나 미쿠루]]를 코스프레했으며 [[나가토 유키]]는 불명. 중간에 보면 [[쿈]]과 닮은 손님도 나온다. [[하레하레유카이]] 안무는 덤. --혼자만 못나온 [[코이즈미 이츠키]] 의문의 1패-- == 17화 == === [[24(드라마)]] === 이즈미 가족이 코나타의 깜짝 생일파티를 준비하는 장면은 미드 24시를 패러디했다. == 18화 == === [[슈퍼로봇대전 W]] === [[파일:external/i50.tinypic.com/2zxyqv4.jpg]] 쿠로이 나나코가 코나타와 야간 애니메이션에 대해 얘기하며 나온 패러디. 해당 게임에서의 풀 메탈 패닉!계 유닛 연출을 그대로 패러디했다. 원작에서는 물론 평범한 대화였다. === [[문토]] === [[파일:external/i50.tinypic.com/fkpb1g.jpg]] 교토의 오리지날 애니였던 문토의 등장인물인 스즈메가 비옷을 입고 깜짝 출연. 원작에선 평범한 아이들 둘이 비옷을 입고 뛰어가고 있었다. == 19화 == ===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 V, W, X 건담에 대해 언급. 원작이 건담 잡지에 실렸을때 그려진 특별 만화를 애니메이션화한 것으로, 이 때문에 원작에서는 아무런 필터링 없이 그대로 나왔던게 애니메이션에선 모자이크나 삐- 소리 등으로 가려졌다.(…) 국내 방영판에서도 4화에서 이니셜 D나 16화에서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가 직접 언급되었던거와는 달리 여기선 일본판과 마찬가지로 모자이크+삐- 처리된다. 또 기동전사 건담의 [[그것은 좋은 것이다|좋은 것]]도 패러디되었다.(소지로:"옆집에서 좋은 물건 받아왔다." / 코나타:"뭔데? 항아리?") 국내 방영판에서는 구현되지 않았다. (소지로:"옆집에서 여행 갔다왔다고 선물을 주는구나.이거 매번 부담되는데." / 코나타:"항아리예요?") === [[Fate/stay night]] === [[파일:러키스타 페이트.png]] 나루미 유이가 보고 있는 만화책.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파일:러키스타 죠죠.png]] [[타무라 히요리]]가 넘어질 때 손을 보호하는 장면에서 그림체와 연출이 죠죠풍으로 변화. 원작에선 멀쩡하게 넘어졌다. 일본판에서는 단지 연출로 끝나지만 애니박스 국내 방영판에서는 '''[[DIO]]의 명대사'''인 '''[[WRYYYYYYYYYY]]'''가 재현되어있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79936|#]][[https://youtu.be/eAsCVsGKE2g|#]] === [[역전재판 4]] === [[파일:external/i50.tinypic.com/2uji7tl.jpg]] 타무라 히요리가 그린 스케치. [[오도로키 호우스케]]와 [[가류 쿄야]]. 원작에서는 에피소드 자체는 동일했으나 전혀 상관없는 그림이었다. === [[강철의 연금술사]]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Edward_and_Roy_Lucky_Star.png|width=200]] [[강철의 연금술사]] [[코스프레]]를 하고 등장한 사람들. [[에드워드 엘릭]]과 [[로이 머스탱]]. 열쇠고리는 [[알폰스 엘릭]]. == 20화 ==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 [[파일:external/i47.tinypic.com/2lic2z7.jpg]] 콜라 광고에 등장한다. ~~특정 부위가 지나치게 커보인다.~~ 근데 캔콜라인데 뭔 용량이 1000ml... === [[북두의 권]] === 모기가 소지로의 팔에 내려앉아 피를 빨 때 팔에 힘을 꽉 주면서 하는 말. '''"넌 이미 죽어있다."''' 그리고 그 뒤에 모기 물린 데가 가려워서 팔을 긁는다... 원작에서의 파리 얘기가 끝난 뒤 추가된 내용. === [[미래일기]] === [[파일:external/i50.tinypic.com/14ihbav.jpg]] 카가미가 읽고 있는 책. 여담으로 작가 요시미즈 카가미는 러키스타 버전 미래일기 일러스트를 그린 바 [[http://caesarion.tistory.com/m/48|있다.]] === 혜성 병아리 === [[파일:20210215_122742.png]] 코나타 뒤에 있는 인형. [[기동전사 건담씨]]에 나오는 혜성 병아리이다. ===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 === 드라마 대사 패러디. 코나타가 친구들과 불꽃놀이를 보는 도중에 "어렸을 때에는 쏘아올린 불꽃을 옆에서 바라보면 동그란 모양으로 보일지 궁금했다"고 말하자, 옆에 있던 츠카사가 "어? 납작하게 보이는 것 아니었어?"라고 한다. === [[오노 다이스케]] === [[파일:external/i47.tinypic.com/zxk8qg.jpg]] 시라이시 미노루가 후지산에 물뜨러가서 부재이기 때문에 대신 나온 게스트.[* 단순히 애니메이션 내의 설정이 아니라 담당 성우인 [[시라이시 미노루]]가 실제로 후지 산에 물을 뜨러 갔다! ~~이건 미친짓이야.~~] 한국판 성우는 [[정명준]]. 북미판 성우는 [[조니 용 보시]]. 21화에도 등장. == 21화 == === [[AIR(게임)|AIR]] === 수학여행 중 나라에 갈 때 버스에 탄 [[쿠로이 나나코]]와 옆에 앉은 학생이 [[카미오 하루코]]와 [[카미오 미스즈]]를 닮았다. 단 머리색은 반대. === [[교토 애니메이션]] === [[파일:러키스타 쿄애니1.png]] [[파일:러키스타 쿄애니2.png]] [[파일:러키스타 쿄애니3.png]] 교토로 수학여행와서 쿄애니를 찾아간다. === [[은하철도 999]] === 시라이시 미노루가 버스를 놓쳐서 쫓아오자 코나타가 '''"메텔이라고 소리 쳐야지!"''' 라고 한다. 이후 코나타의 얼굴이 살짝 은하철도 999 같은 그림풍으로 바뀐다. == 22화 == === [[길티기어]] === 미사오가 카가미에게 전화를 했을 때 했던 말. "포템킨, 제법이군."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 [[이와사키 미나미]]와 [[코바야카와 유타카]]가 사이 좋은 모습을 보고 [[타무라 히요리]]가 혼자 망상하는데 망상 내용이 미나미가 유타카의 타이를 고쳐주며 "유타카 타이가 비뚤어져 있어"라고하고 유타카는 "언니"라고 하는데 이는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의 명장면인 [[타이가 비뚤어졌어]]를 그대로 패러디한 것. 망상 후에는 친구를 또 그런 시선으로 봤다며 역시 쌓여있나(...)라고 자책한다.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 23화 예고 때 코나타의 엄마 [[이즈미 카나타]]가 '''"기류가 흐트러져서 날 수가 없어."'''라고 하는데, 명백한 성우개그. == 23화 == === [[고토 유코]] === [[파일:external/i48.tinypic.com/2q1w7j4.jpg]] 코가미 아키라와 시라이시 미노루의 싸움을 진정시키기 위해 등장. == 24화(마지막화) == === [[나가토 유키]] === [[파일:20210214_202309.png]] 코나타의 반이 학교 축제때 점집을 하기로 하자 코나타가 의상으로 나가토의 마법사 코스튬을 입고 나온다, 하루히 12화에 나오는 나가토의 대사를 외우는건 덤 === [[게게게의 키타로]] === 아키라와 사라이시 둘만 남아 험악해진 분위기에 뭔 말좀 해보라는 코가마 아키라에계 시라이시가 '요괴 회의에나 나가 있으라지'라고 한다 === [[사랑의 미쿠루 전설|사랑의 미노루 전설]] === 축제 사회를 맡은 시라이시의 밸소리로 나오는데 무려 '''시라이시 본인이 직접 부른'''버전이다[* 이 곡은 15화의 엔딩송으로 쓰이기도 했다] == OVA == === [[토오사카 린]] === [[파일:external/i49.tinypic.com/t9gq5v.jpg]] 코나타가 마술로 카가미를 변신시킨 모습. 추가로 코나타는 24화에서 입고나온 나가토의 마법사 코스튬을 다시 입고 나왔다 === [[하츠네 미쿠]] === [[파일:external/i49.tinypic.com/99q3k0.jpg]] 위에서 바로 이어 카가미를 변신시킨 모습. 물론 파도 잊지 않았다. === [[제트 스트림 어택]] === [[파일:20210214_190832.png]] 배구 중 카가미가 스파이크로 득점을 따내자 상대편인 코나타가 [[쿠사카베 미사오]]와 츠카사에계 한 말, 이후로 3명이 한줄로 서는것까지는 완벽했으나 미사오가 '그런데 제트 스트림 어택이 뭐야?'라고 물어보면서 사실상 실패한다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파일:20210214_192639.png]] 애완동물 가계에 놀러간 4인방에계 점원 역할을 하는 시라이시가 '이게 퍼렁별에서 가장 유명한 개구리다'라고 하면서 보며주는 것으로 케로로와 타마마만 등장, 이후 '게로게로게로'와 '타마타마타마'도 빼먹지 않고 나온다 == 엔딩곡 패러디 == || || 제목 || 노래 || 작품 || 원곡 가수 || || 1 || 우주철인 쿄다인 ||<|3><:>[[이즈미 코나타]]|| [[우주철인 쿄다인]] || [[사사키 이사오]][br]코오로기'73 || || 2 || 승리다! 아쿠마이져3 || 아쿠마이져3 || [[미즈키 이치로]][br]코오로기'73 || || 3 || 그것이 사랑이겠죠 || [[풀 메탈 패닉? 후못후]] || [[시모카와 미쿠니]] || || 4 || 세일러복과 기관총 || [[히이라기 카가미]] || [[세일러복과 기관총]] || [[야쿠시마루 히로코]] || || 5 || CHA-LA HEAD-CHA-LA || [[이즈미 코나타]] || [[드래곤볼 Z]] || [[카게야마 히로노부]] || || 6 || 밸런타인 데이 키스 || [[히이라기 츠카사]] || 월요 드라마 랜드 || 코쿠쇼 사유리[br]with [[오냥코클럽]] || || 7 || 지상의 별 || [[타카라 미유키]] || 프로젝트 X~도전자들~[* 5년간 [[NHK]]의 골든 타임 시간대에 방송한 유명 다큐멘터리. 여기 나온 작품 중 유일하게 애니메이션이나 드라마 관련이 아닌 다큐멘터리 작품이다.] || [[나카지마 미유키]] || || 8 || [[몽키 매직|MONKEY MAGIC]] ||<|2><:>[[이즈미 코나타]]|| [[서유기]] || 고다이고 || || 9 || 찬 바람에 안겨 || 내가 여자에게 손대지 말아라 || [[코이즈미 쿄코]] || || 10 || I'm proud || [[히이라기 카가미]] || || [[카하라 토모미]] || || 11 || 도라에몽의 노래 ||<|2><:>[[이즈미 코나타]][br][[히이라기 카가미]][br][[히이라기 츠카사]][br][[타카라 미유키]]|| [[도라에몽]] || 오오스기 쿠미코[* 도라에몽은 방영이 오래된 작품이므로 오프닝을 부른 사람이 수차례 바뀌었다. 오오스기 쿠미코는 가장 처음에 부른 사람임.] || || 12 || [[지지말아요]] || || [[ZARD]] || || 14 || 맑음맑음 유쾌 ||<|3><:> [[시라이시 미노루]][* 국내판은 아쉽게도 [[시라이시 미노루]]의 국내판 성우인 [[정재헌]]이 부르지 않고 자막으로 보냈다.] ||<|2><:>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히라노 아야]][br][[치하라 미노리]][br][[고토 유코]] || || 15 || 사랑의 미노루 전설[* 원제는 사랑의 미쿠루 전설] || [[고토 유코]] || || 17 || 가져가! 세일러복 || [[러키☆스타]] || [[히라노 아야]][br][[카토 에미리]][br][[후쿠하라 카오리]][br][[엔도 아야]] || 국내에서 방영되었던 작품들(풀 메탈 패닉!, 도라에몽, 드래곤볼 Z 등)의 곡은 국내 방영 시에 번안/개사된 곡이 아니라 오리지널 곡을 번역해 부른 거라 아쉬움을 불러일으켰다. [[분류:러키☆스타]][[분류:패러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