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logo_luck_and_logic.png]] [목차] == 개요 == {{{+1 ラクエンロジック}}} [[https://archive.md/tAgX8|공식 홈페이지 아카이브]] 럭 앤 로직(Luck & Logic)[* 낙원 로직이라는 의미도 뜻하는 언어유희가 들어간 이름이다.]은 반다이 비쥬얼 및 [[부시로드]] 공동 참여의 애니메이션 및 [[TCG]]를 뜻한다. 2018년 2월 28일에 TCG 발매가 종료되었다. == 게임 시스템 == === 승리 조건 === 상대의 게이트를 파괴하여 6개의 게이트 전부를 파괴하거나, 상대의 리무브 존에 메인 덱의 카드가 2장 이상 있을 때 승리한다. === 덱 구축 룰 === [[파일:ll_deckrule.png]] 메인덱은 50장. 뒷면이 하얀 카드로 넣되 같은 카드는 4장까지 가능하다. 패러독스 카드는 8장 넣어야'''만''' 한다. 게이트덱은 10장. 뒷면이 회색인 카드로 넣되 '''게이트 넘버'''가 같은 카드는 2장까지이다. === 카드의 종류와 견해 === ==== 메인덱 ==== ===== 멤버 카드 ===== [[파일:LL_whts.jpg]] 정리자(로지컬리스트), 사자(포리너), 합리체(트랜스유니온)가 있다. 정리자와 사자가 '''합체(트랜스)''' 하여 합리체가 되어 파워업하는 시스템이다. ===== 전술(택틱스) 카드 ===== 배틀중 패에서 로직정의 할 수 있는 카드. 배틀을 유리하게 할 수 있는 편리한 카드이고 카드마다 효과는 다르다. ===== 역리(패러독스) 카드 ===== 배틀중 패에서 로직정의 할 수 있는 카드. 배틀의 결과를 파워가 아닌 오라로 결정짓게 한다. ==== 게이트덱 ==== ===== 게이트 카드 ===== 이 세계와 이(異)세계를 연결하는 카드. 게임 시작 전 플레이매트 위의 서클 6곳 전부에 '''뒷면'''으로 배치, 파괴될 시 앞면으로 전환되어 능력이 발동한다. 다만 6번째 게이트는 파괴될 시 패배하므로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 턴의 흐름 === ==== 대전 전의 준비 ==== * 서로의 메인 덱과 게이트 덱을 잘 섞어준다. * 게이트 덱에서 무작위로 카드를 6장 골라 서클에 뒷면으로 놓는다.(확인할 수 없다) 남은 4장은 리무브 존에 뒷면으로 놓는다. * 알아서 선공/후공을 정한다. * 덱에서 5장을 뽑아서 첫패로 한다. 그후 한번만 원하는 숫자만큼 패를 덱 밑으로 되돌려 같은 숫자만큼 드로한다.([[멀리건]]) * 선공 플레이어부터 턴을 진행한다. ==== 스탠드 페이즈 ==== 자신 필드 위와 레벨 존에 있는 레스트 상태(가로)의 카드를 전부 스탠드 상태(세로)로 한다. ==== 드로 페이즈 ==== 덱에서 2장을 드로하고 덱 맨위에서 카드를 1장 스톡 존에 뒷면 표시로 둔다. 선공부터 시행하며, 패 매수 제한은 없다. ==== 레벨 페이즈 ==== 패를 1장 골라 앞면 표시로 레벨 존에 두어 플레이어의 레벨을 올릴 수 있다. 단, 선공 플레이어의 첫번째 턴에만 뒷면 표시로 놓는다. 레벨 존에 카드가 4장이 되면 더 이상 놓을 수 없지만 패 1장과 레벨 존의 카드를 교환할 수 있다. 뒷면 표시 카드와 바꾸는 것도 가능하며, 레스트도 가능하다. ==== 메인 페이즈 ==== 멤버 출격/교체/이동, 록 드라이브, 기동 효과 발동, 트랜스, 로직 드라이브를 할 수 있다. 트랜스 유니온 멤버도 그냥 출격시킬 수 있다. ===== 멤버의 출격과 이동 ===== 레벨 존의 카드수와 같거나 낮은 레벨을 가진 멤버만 필요한 코스트를 지불하고 적절한 테리토리를 가진 서클에 스탠드 상태로 출격시킬 수 있다. 트랜스 유니온도 출격시킬 수 있지만 레벨 존에 같은 색이나 월드를 가진 카드가 존재해야만 출격시킬 수 있다. 메인 페이즈 내라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바꿔치기도 가능하지만 이미 멤버가 존재하는 서클에는 이미 존재하는 멤버를 드롭 존으로 보내고 나서야 그 서클에 출격시킬 수 있다. ===== 트랜스 ===== 1턴에 1번만 플드 위에 있는 로지컬리스트와 포리너를 트랜스할 수 있다. 코스트와 출격 조건을 만족한 트랜스 유니온 하나를 패 또는 덱에서 골라 출격시킨다. 트랜스한 로지컬리스트와 포리너는 출격시킨 트랜스 유니온 아래에 겹쳐 소울로 한다. --[[엑시즈 소환]]?-- 트랜스 유니온이 공격할 때만 소울 1장당 파워를 1000 올린다. 덱에 원하는 트랜스 유니온이 없을 경우 리프레시 후 덱에서 트랜스 유니온을 부른 뒤 패널티를 지불한다. ===== 럭 드라이브 ===== 스톡 존에 존재하는 카드 3장을 드롭 존에 보내고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할 수 있다. 스톡 존에 카드가 있는 한 몇번이라도 가능. ===== 로직 드라이브 ===== LD라고 적혀있다. 소울을 가진 트랜스 유니온'''만''' 쓸 수 있는 특수한 능력으로 1턴에 단 1번만 쓸 수 있다. 트랜스 유니온이 여러장 있어도 로직 드라이브를 쓸 수 있는 건 1장뿐이라는 얘기. ==== 배틀 페이즈 ==== 플레이어는 자신의 레벨 존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카드 수만큼 필드 위에 있는 멤버로 상태의 게이트나 멤버를 공격할 수 있다. 선공에는 레벨 존의 카드가 뒷면이기 때문에 공격할 수 없다. 공격하지 않을 수도 있다. ===== 공격 선언 스탭 ===== 스탠드 상태인 멤버 하나를 골라 레스트하고 상대 서클 하나를 지정하여 공격한다. 해당 서클에 멤버가 있다면 인터셉트 스탭으로, 없다면 게이트를 파괴한다. 단, 후열에 있는 게이트를 공격하려면 그 게이트 바로 앞에 있는 게이트가 파괴된 상태여야 한다. 또한 게이트가 파괴되면 해당 게이트를 앞면 표시로 하고 효과를 발동한다. 게이트가 이미 파괴된 상태라면 아무 처리도 하지 않는다. ===== 인터셉트 스탭 ===== 공격받은 플레이어가 지정된 서클 이외에 필드에 존재하는 IC 아이콘을 가진 멤버를 원하는 숫자만큼(레스트된 멤버도 선택 가능) 골라 인터셉트 존에 놓을 수 있다. 놓인 카드의 수치만큼 지정된 서클의 멤버를 강화한다. ===== 로직 정의 스탭 ===== * 공격받은 멤버의 리미트가 자신의 배틀 존에 존재하는 카드 숫자보다 많은 경우라면 이하 2가지 방법으로 로직 정의를 할 수 있다. * 공격을 한 멤버의 리미트가 자신의 배틀 존에 존재하는 많은 경우라면 이하 2가지 방법으로 로직 정의를 할 수 있다. * 배틀하는 멤버의 리미트 숫자까지 로직 정의를 할 수 있고, 서로 넘길 때까지 반복한다. 로직 정의는 2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이때 패러독스 카드도 발동할 수 있으며, 패러독스 카드 발동 시 다른 앞면 표시 패러독스 카드가 존재할 경우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모든 앞면 표시 패러독스 카드를 뒷면으로 한다. 이를 상쇄라고 한다. * 패 1장을 배틀 존에 앞면 표시로 놓는다. * 레벨 부스트: 레벨 존에 있는 카드 1장을 레스트 상태로 한 뒤 덱에서 카드를 1장 뽑는다. 그후 패를 1장 배틀 존에 '''반드시''' 놓는다. ===== 승패 판정 스탭 ===== * 배틀 존, 또는 패러독스 존에 패러독스 카드가 없을 경우, 멤버의 파워를 비교해 같거나 높다면 공격한 멤버가 승리한다. * 패러독스 카드가 존재한다면 오라를 비교해 같거나 높다면 공격한 멤버가 승리한다. * 공격받은 멤버가 패배하면 뒷면 표시로 스톡 존에 보내지며, 소울을 가진 트랜스 유니온이 패배한 경우 소울도 같이 스톡 존으로 보내지는데, 그 순서는 컨트롤러가 정할 수 있다. * 공격한 멤버가 패배할 경우 아무 처리도 하지 않는다. ===== 배틀 종료 스탭 =====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패러독스 카드 외에 배틀 존에 있는 카드를 전부 드롭 존으로 보내고, 패러독스 카드를 패러독스 존으로 옮긴다. 다시 전투를 실행할 경우 다시 순서대로 실시한다. ==== 엔드 페이즈 ==== 패러독스 존에 카드가 존재할 경우 드롭 존으로 보낸다. 이 턴 중이라고 명시된 효과도 이때 종료되며, 상대 턴으로 넘어간다. === 기타 룰 === * 리프레시: 덱에 카드가 없을 경우 드롭 존에 있는 카드를 전부 덱으로 되돌려 셔플한다. 그 뒤 패널티로 덱 맨위 카드 1장을 리무브 존에 뒷면 표시로 놓는다. 상기했지만 리프레시를 2번하면 리무브 존에 카드가 2장 추가되어 패배한다. 참고로 효과로 처리해야할 카드보다 덱 매수가 적을 경우, 처리할 수 있는 카드를 모두 처리한 뒤 드롭 존의 카드를 덱으로 하여 남은 효과를 처리한 뒤, 패널티로 덱 맨위에서 1장을 리무브 존에 뒷면 표시로 놓는다. 예를 들어 덱에서 2장을 드롭 존에 놓는다라는 효과가 발동했을 때 덱이 1장이라면 1장을 드롭 존에 보낸 뒤 드롭 존의 카드로 덱을 다시 구성하여 아직 보내지 못한 나머지 1장을 드롭 존에 보내고, 마지막으로 리프레시 패널티로 덱 맨위에서 1장을 리무브 존에 놓는다. * 효과 처리 일부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그 일부를 무시하고 시행한다. 예를 들어 덱 위에서 1장을 스톡 존에 놓는다. 그 후, 드롭 존에서 1장을 패에 넣는다. 식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드롭 존에서 가져올 카드가 없어도 무조건 스톡 존에 카드를 놓는 식으로 진행한다.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럭 앤 로직/애니메이션)] == 기타 == * [[유희왕]]이나 [[카드파이트!! 뱅가드]]와는 달리 한자에 [[루비 문자]]가 하나도 달려있지 않아서 카드 이름을 알기가 매우 어렵다.(물론 역리라고 쓰고 패러독스라고 읽는 식의 루비는 하나하나 전부 달려있다.) 효과 텍스트야 뻔한 한자를 쓰니까 큰 상관이 없지만 대상 연령층을 다소 높게 잡은 듯. 게다가 직접 게임을 플레이하는 애니메이션도 짧아서 그런지 설명이 매우 불친절하다. * 훗날 공개되는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탁트 오퍼스 게임]]과 어느정도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다. * 럭 앤 로직 애니와 [[takt op.Destiny]]는 게임 홍보용 애니. * 인간 & 이종족이 주역. 럭 앤 로직은 로지컬리스트 & 포리너. 탁트 오퍼스는 컨덕터 & 무지카트. * ALCA와 심포니카는 주인공이 소속한 국제 조직이며, 각국 어느 곳에 위치해 있다. * 인간측 주인공의 인간상. 츠루기 요시치카(로지컬리스트)와 아사히나 타쿠토(컨덕터)는 흑발의 미청년으로, 생명을 중시하고 따스하고 정의로운 성향이 있으며, 경험자이자 실력자이다. * 포리너 아테나와 무지카트 운명은 주인공의 파트너. 둘다 온화하고 정숙하고 현명한 성격. 주인공과는 깊은 유대로 이어져 있으며, 주인공에게 헌신적이다. * 주인공의 인간 동료. 유리네 타마키 & 클로에 맥스웰 & 아스하 마나 & 나나호시 유카리 & 올가 브레이크차일드는 요시치카의 동료 로지컬리스트. 니콜라 카발리에 & 아브릴 버그만은 타쿠토의 동료 컨덕터. 차이점으로 전자는 정식 로지컬리스트이며, 후자는 견습 컨덕터라는 하늘과 땅 차이의 지위. * 두 작품에서 Valkyrie라는 이름을 가진 여캐가 있다. 포리너 발키리 & 무지카트 발퀴레. 둘다 이종족 여성이며, 진지하고 농담이 통하지 않는다는 점이 비슷하다. * 베로니카 아난코와 관리관 힐데는 주인공과 동료들보다 높은 지위에 있는 쿨뷰티 여성. 조직과 세상을 구하기 위해서는 무엇이든 희생시켜도 된다는 극단주의자이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는 정의롭고 건실한 심성의 여성 조력자이다. [[분류:트레이딩 카드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