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Apple Originals|{{{#ffffff '''Apple Original Films''' }}}]][br]{{{#fff [[파일:럭 한글로고.webp|width=60]](2022)}}}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럭 한국어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2>[[판타지]], [[코미디]], [[애니메이션]] || || '''감독''' ||<-2>페기 홈즈 || || '''제작''' ||<-2>[[존 라세터]], 데이비드 엘리슨, 다나 골드버그, 데이빗 아인스먼 || || '''각본''' ||<-2>키엘 머레이 || || '''출연''' ||<-2>[[사이먼 페그]][br][[제인 폰다]][br][[우피 골드버그]][br][[에바 노블자다]] 외|| || '''음악''' ||<-2>[[존 데브니]] || || '''편집''' ||<-2>윌리엄 J. 카파렐라 || || '''화면비''' ||<-2>1.85:1 || || '''공개일''' ||<-2>[[2022년]] [[8월 5일]] || || '''상영 시간''' ||<-2>105분 || || '''제작비''' ||<-2>1억 4천만 달러 ~ 2억 달러 || || '''제작사''' ||<-2>[[스카이댄스 미디어|스카이댄스 애니메이션]], [[파라마운트 픽처스]] || || '''독점 스트리밍''' ||<-2>{{{#!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Apple TV+|[[파일:Apple TV+ 로고.svg|width=40]]]] [[https://tv.apple.com/kr/movie/%E1%84%85%E1%85%A5%E1%86%A8---luck/umc.cmc.5w6fq1u39v7ozsdv3jkx0nrfs?ctx_brand=tvs.sbd.4000|▶]]}}} || || ''' 지원 ''' ||<-2>{{{#ffffff [[4K UHD|[[파일:4K logo Backup.svg|width=35]]]] | [[Dolby Atmos|[[파일:Dolby Atmos Light Logo Backup.svg|width=50]]]] | [[돌비#Dolby Vision|[[파일:Dolby Vision Light Logo Backup.svg|width=50]]]] | [[자막|[[파일:CC Light Logo Backup.svg|width=35]]]] | [[자막#청각장애인 대상 자막|[[파일:SDH Light Logo Backup.svg|width=42]]]] | [[AD#Audio Description의 줄임말|[[파일:AD Light Logo Backup.svg|width=35]]]]}}} || || ''' 시청 등급 ''' ||<-2>{{{#ffffff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Apple TV+]] 오리지널 장편 애니메이션.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Skro67Cj6M)]}}}|| || {{{#fff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PviCbxI-9U)]}}}|| || {{{#fff '''공식 예고편'''}}} || == 시놉시스 == >세상 최고 불운의 아이콘, 샘 그린필드는 갑자기 난생처음 행운의 땅을 마주하게 되자, 그곳에서 만난 마법의 생물체들과 연합해서 자기의 운을 바꾸려 애를 쓰는데… 평생에 걸쳐 불운만이 따라다니는 불운의 결정체인 소녀 샘 그린필드. 우연히 얻은 신비한 행운의 동전 마저도 잃어버려 동전의 주인이 그녀를 운세의 나라로 데려간다. 샘은 이 곳에서 자신의 불운을 고치려고 하는데... == 등장인물 == * 샘 - [[에바 노블자다]] / [[박지윤(성우)|박지윤]] * 밥 - [[사이먼 페그]] / [[이현(성우)|이현]] * 드래곤 - [[제인 폰다]]/ [[최수민]] * 캡틴 - [[우피 골드버그]] * 제리 - 콜린 오도너휴 / [[유동균(성우)|유동균]] * 마빈 - 릴 렐 하우어리 * 유니콘 제프 - 플룰라 보그 / [[송준석(성우)|송준석]] * 루티 - 존 라첸버거 / [[사성웅]] * 헤이즐 - 아델린 스푼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luck, critic=48, user=5.9)]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luck_2022, tomato=48, popcorn=70)] [include(틀:평가/IMDb, code=tt7214954, user=6.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luck-2022, user=별점)]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코드, presse=전문가 별점, spectateurs=관람객 별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전문가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코드,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TMDB, code=영화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영화코드, user=평점)] 장단점이 명확히 존재해 명작이라 보기엔 힘들지만 시간 때우기 적당한 가족 드라마 정도로 관람하면 볼만하다. 정치적인 메시지가 꽤 많이 들어 있어 비판적으로 본다면 상당히 피곤하지만 유쾌하고 경쾌한 분위기를 중시하며 관람하면 괜찮게 즐길 수 있다. 동화 속 판타지 세계를 망치고 고치는 평범한 주인공이란 클리셰는 고전적으로 전래되어온 왕도이다. 동화의 [[그리고 모두 행복하게 살았답니다|Happily Ever After]]라는 개념도 이세계에 다녀온 주인공답게 현대 사회에 속한 평범한 개인의 가정과 일상이 궁극적인 행복이라고 언급한다. == 기타 == * 당시 [[미투 운동]]으로 고발된 [[존 라세터]]가 디즈니를 떠나고 스카이댄스 애니메이션에 영입되자 주연을 맡았던 [[엠마 톰슨]]이 이에 항의하며 하차했다.[[https://www.scpr.org/programs/the-frame/2019/04/12/19609/|#]] * [[스카이댄스 미디어|스카이댄스 애니메이션]]의 첫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2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Apple Originals 영화]][[분류:존 라세터]][[분류:파라마운트 픽처스]][[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