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마법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RedMedicine-DM2-JP-VG.png|width=100%]] || [[파일:RedMedicine-DM4-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 ||<#A0F818> {{{#000 한글판 명칭}}} ||'''레드 포션''' (비공식 번역명)|| ||<#A0F818> {{{#000 일어판 명칭}}} ||'''レッド・ポーション'''|| ||<#A0F818> {{{#000 영어판 명칭}}} ||'''Red Medicine'''|| ||<-2><#A0F818> {{{#000 마법}}} || ||<-2>마법사가 조합한 라이프 포인트를 500 회복할 수 있는 약.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DM1]]~[[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2>마법사가 조합한 약. LP를 500 회복시킨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DM1에서부터 등장. 카드 투입에 필요한 코스트 제약이 있는 본 시리즈에서 이 카드는 코스트가 낮은 덕분에 회복 카드로 채용될 여지가 많았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RedMedicine-V1-JP-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레드 포션, 일어판명칭=レッド・ポーション, 영어판명칭=Red Medicine, 효과1=자신은 라이프 포인트를 500 포인트 회복한다.)] OCG 최초로 등장한 LP 회복 마법 카드. 이 카드의 등장 뒤 얼마 지나지 않아 [[고블린의 비약 |고블린의 비약]]이라는 상위 호환이 등장했다. 발매 당시부터 비슷한 수치의 회복 카드를 포함해 좋다고 할 만한 성능은 아니라서 머릿수 채우기 목적이 아니라면 굳이 채용되는 일은 없었다. 물론 지금은 상위 호환인 [[치료의 신 다이안 켓]]도 안 쓰이는 형국이니 현재의 활용도는 말 할 필요가 없다. 그 외에도 [[도둑 고블린(유희왕)|도둑 고블린]], [[은혜의 단비]], [[노인의 맹독약]]같은 아종 카드가 있다. 도둑 고블린 같은 경우에는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주면서 자신은 500 회복을 하고, 고블린 카드군에도 포함되지만 안 쓰인다. 은혜의 단비 같은 경우에는 양 선수가 1000포인트 라이프를 회복하는데, 이 카드는 시모치의 부작용과 연계하라는 용도이다. 노인의 맹독약 같은 경우는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가장 유능하다. 그러나 상대가 [[방심은 금물]] 카드를 가지고있으면 회복하다가 게임이 말려버리는 꼴이되기 때문에 조심하도록 하자.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1999-02-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볼륨(유희왕)|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0-05-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B-53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青眼の白龍伝説 - Legend of BlueEyesWhiteDrago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8-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2-035 | DUELIST LEGACY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6-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1-JP115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SD-JP024 | [[스타터 덱|STARTER DECK 200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3-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B-054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0-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1-EN115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3-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D-EN024 | [[스타터 덱|STARTER DECK 200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B-EN054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2-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OB-K054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1-KR115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레드 포션(유희왕 러시 듀얼))] === 기타 === [[유희왕 프랜차이즈/비디오 게임|유희왕 폴스바운드 킹덤]]에서는 몬스터의 체력을 전부 회복시키는 아이템으로 등장. == 관련 카드 == === [[블루 포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