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레벨E)] ||<-2>
{{{#ffffff,#dddddd '''{{{+1 레벨E}}}''' (2011)[br]レベル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111_14.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dddddd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 || '''{{{#ffffff,#dddddd 원작}}}''' ||[[토가시 요시히로]] || || '''{{{#ffffff,#dddddd 감독}}}''' ||[[카토 토시유키]] || || '''{{{#ffffff,#dddddd 시리즈 구성}}}''' ||[[하나다 줏키]] || || '''{{{#ffffff,#dddddd 캐릭터 디자인}}}''' ||<|2>[[타케다 이츠코]] || || '''{{{#ffffff,#dddddd 총 작화감독}}}''' || || '''{{{#ffffff,#dddddd 비주얼 컨셉}}}''' ||<|2>소에지마 야스후미(ソエジマヤスフミ) || || '''{{{#ffffff,#dddddd 3D 디렉터}}}''' || || '''{{{#ffffff,#dddddd 외계인 문명 디자인}}}''' ||코바야시 타케토(小林武人) || || '''{{{#ffffff,#dddddd 프롭 디자인}}}''' ||나카하라 레이(中原れい) || || '''{{{#ffffff,#dddddd 미술 감독}}}''' ||코하마 토시히로(小濱俊裕) || || '''{{{#ffffff,#dddddd 미술 설정}}}''' ||아오키 카오루(青木 薫) || || '''{{{#ffffff,#dddddd 색채 설계}}}''' ||키타자와 키미코(北沢希実子) || || '''{{{#ffffff,#dddddd 촬영 감독}}}''' ||이시구로 세이지(石黒晴嗣) || || '''{{{#ffffff,#dddddd 3D 모델링}}}''' ||타이라 마사토(平 将人)[br]코바야시 타케토 || || '''{{{#ffffff,#dddddd 편집}}}''' ||히로세 키요시(廣瀬清志) || || '''{{{#ffffff,#dddddd 음향 감독}}}''' ||타카쿠와 하지메(高桑 一) || || '''{{{#ffffff,#dddddd 음향 효과}}}''' ||키타카타 마사미(北方将実) || || '''{{{#ffffff,#dddddd 음악}}}''' ||[[양방언|료 쿠니히코]](梁 邦彦) || || '''{{{#ffffff,#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와카마츠 츠요시(若松 剛) || || '''{{{#ffffff,#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피에로|[[파일:스튜디오 피에로 로고.svg|height=25&theme=light]][[파일:스튜디오 피에로 로고 화이트.svg|height=25&theme=dark]]]][br][[david production|[[파일:david production 로고.svg|width=100]]]] || || '''{{{#ffffff,#dddddd 제작}}}''' ||[[테레비 도쿄|[[파일:테레비 도쿄 로고.svg|width=60&theme=light]][[파일:테레비 도쿄 로고 화이트 외곽선.svg|width=60&theme=dark]]]][br][[스튜디오 피에로|[[파일:스튜디오 피에로 로고.svg|height=25&theme=light]][[파일:스튜디오 피에로 로고 화이트.svg|height=25&theme=dark]]]] || || '''{{{#ffffff,#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1년 1월|2011. 01. 11.]] ~ 2011. 04. 05. || || '''{{{#ffffff,#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테레비 도쿄|[[파일:테레비 도쿄 로고.svg|width=60&theme=light]][[파일:테레비 도쿄 로고 화이트 외곽선.svg|width=60&theme=dark]]]] / (화) 01: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월) 23:30[* 2월부터 방영했다.] || || '''{{{#ffffff,#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dddddd 화수}}}''' ||13화 || || '''{{{#ffffff,#dddddd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ffffff,#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tv-tokyo.co.jp/anime/level-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토가시 요시히로]] 가 연재했던 만화 [[레벨E]]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 방영 전 정보 == 애니가 나온 2011년을 기준으로 무려 '''15년 전에 완결'''된 오래된 작품인데도 애니화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해적판으로만 소개된 작품 이었던 탓에 그다지 호응을 받지 못했지만, 일본쪽은 아니메이트 등에서 대놓고 밀어주기 마케팅도 하는 등 나름대로 선전했다. 애니는 [[애니메이션/2011년 1월|2011년 1월]]부터 동년 4월까지 방영되어 1쿨 13화 완결로, 작화 퀄리티가 상당히 좋고 연출도 좋다. 몇몇 경우는 만화 원작보다 더 나은 경우도 있다.[* 왕자의 일기를 그냥 글로만 줄줄 적어넣은 만화에 비해 애니는 플래시백 기법을 제대로 활용해서 보여주었다.] 원작에서의 마지막 에피소드는 빼고 애니의 결말을 원작의 full moon편을 적당히 주물러서 만들었다. 원작의 결말이 너무 삭막하다고 생각했던 듯. 감독은 [[카토 토시유키]][* [[헌터×헌터]] 구작 애니메이션에서 감독보좌를 맡았던 적이 있다.], 제작사는 [[david production]]. 애니판 오프닝을 부른 분은 [[쿠리야마 치아키]]. 원작의 팬이었다고 한다. ED는 [[비주얼계]]의 무서운 신인 [[록밴드]]인 [[ViViD(밴드)|ViViD]]가 불렀다. 일부에서는 '''이 애니로 토가시가 돈을 벌면 [[헌터×헌터]] 휴재기간이 늘어날 테니 보지 말자'''라는 드립을 치기도 했다(...)[* 물론 실제로 토가시는 3대가 아무것도 안하고 놀고먹을 돈을 가지고 있다.] == 주제가 == * 오프닝 테마 '''コールドフィンガーガール''' * 작사, 작곡: 아사이 켄이치(浅井健一) * 편곡: PONTIACS * 노래: [[쿠리야마 치아키]] * 엔딩 테마 '''「夢」〜ムゲンノカナタ〜''' * 작사: 신(シン) * 작곡: 레이노(零乃) * 편곡: [[ViViD(밴드)|ViViD]], 타쿠미 마사노리(宅見将典) * 노래: ViViD ==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레벨E/등장인물)]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01 || {{{-1 An alien on the planet}}} ||<|4> {{{-1 [[하나다 줏키]]}}} ||<-2> {{{-1 [[카토 토시유키]]}}} || {{{-1 [[타케다 이츠코]]}}} || {{{-1 日: 2011.01.11.[br]韓: 2011.02.}}} || || #02 || {{{-1 Run after the man}}} ||<|2> {{{-1 카토 토시유키}}} || {{{-1 요시자와 슌이치[br](吉沢俊一)}}} || {{{-1 코바야시 료[br](小林 亮)}}} || {{{-1 日: 2011.01.19.[br]韓: 2011.}}} || || #03 || {{{-1 Risky Game!}}} || {{{-1 무카이 마사히로[br](向井正浩)}}} ||<|2> {{{-1 에비하라 마사오[br](海老原雅夫)}}} || {{{-1 日: 2011.01.26.[br]韓: 2011.}}} || || #04 || {{{-1 From the DARKNESS}}} ||<-2> {{{-1 소에지마 야스후미[br](ソエジマヤスフミ)}}} || {{{-1 日: 2011.02.02.[br]韓: 2011.}}} || || #05 || {{{-1 Here come Color ranger!!}}} ||<|3> {{{-1 [[후데야스 카즈유키]]}}} || {{{-1 나카하라 레이[br](中原れい)}}} || {{{-1 [[우메모토 유이]]}}} || {{{-1 마치다 신이치[br](町田真一)}}} || {{{-1 日: 2011.02.09.[br]韓: 2011.}}} || || #06 || {{{-1 Dancing in the trap!!}}} ||<-2> {{{-1 키미야 시게루[br](きみやしげる)}}} || {{{-1 카도 토모아키[br](かどともあき)}}} || {{{-1 日: 2011.02.16.[br]韓: 2011.}}} || || #07 || {{{-1 Game over...!?}}} ||<-2> {{{-1 [[코타 후미아키]]}}} || {{{-1 하시모토 히데키[br](橋本英樹)}}} || {{{-1 日: 2011.02.23.[br]韓: 2011.}}} || || #08 || {{{-1 You're my darling!}}} ||<|2> {{{-1 스즈키 마사시[br](鈴木雅詞)}}} ||<-2> {{{-1 이치무라 테츠오[br](市村徹夫)}}} || {{{-1 코바야시 료}}} || {{{-1 日: 2011.03.02.[br]韓: 2011.}}} || || #09 || {{{-1 Love me tender}}} ||<-2> {{{-1 [[니시모토 유키오(애니메이션 감독)|니시모토 유키오]]}}} || {{{-1 에비하라 마사오}}} || {{{-1 日: 2011.03.09.[br]韓: }}} || || #10 || {{{-1 Boy meets girl}}} || {{{-1 후데야스 카즈유키}}} || {{{-1 [[오오누마 신]]}}} || {{{-1 히라이 요시미치[br](平井義通)}}} || {{{-1 [[아오노 아츠시]]}}} || {{{-1 日: 2011.03.16.[br]韓: 2011.}}} || || #11 || {{{-1 Field of dreams!}}} || {{{-1 스즈키 마사시}}} ||<-2> {{{-1 [[시노하라 토시야]]}}} ||<|2> {{{-1 카도 토모아키}}} || {{{-1 日: 2011.03.23.[br]韓: 2011.}}} || || #12 || {{{-1 Half moon...!}}} ||<|2> {{{-1 하나다 줏키}}} || {{{-1 [[시마즈 히로유키]]}}} || {{{-1 [[츠다 나오카츠]]}}} || {{{-1 日: 2011.03.30.[br]韓: 2011.}}} || || #13 || {{{-1 Full moon...!}}} ||<-2> {{{-1 카토 토시유키}}} || {{{-1 코바야시 료}}} || {{{-1 日: 2011.04.06.[br]韓: 2011.}}} || == 기타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레벨E, version=157)] [[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1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david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