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알 마드리드 CF/관련 문서)] ||<-2>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height=270]] || ||<-2> '''{{{#fcaf17 {{{+1 레알 마드리드 발론세스토}}}}}}''' || ||<-2> '''{{{#fff {{{+1 Real Madrid Baloncesto}}}}}}''' || || '''{{{#fcaf17 창단}}}''' ||[[1931년]] [[3월 8일]] || || '''{{{#fcaf17 소속 리그}}}''' ||[[리가 엔데사]] (Liga Endesa) || || '''{{{#fcaf17 연고지}}}''' ||[[마드리드]] (Madrid) || || '''{{{#fcaf17 홈 구장}}}''' ||위신크 센터 (WiZink Center, 17,453명 수용 가능) || || '''{{{#fcaf17 리저브 팀}}}''' ||레알 마드리드 후니오르 (Real Madrid Júnior) || || '''{{{#fcaf17 회장}}}''' ||[[플로렌티노 페레스]] (Florentino Pérez) || || '''{{{#fcaf17 감독}}}''' ||추스 마테오 (Chus Mateo) || || '''{{{#fcaf17 주장}}}''' ||세르히오 율 (Sergio Llull) || || '''{{{#fcaf17 영구결번}}}''' ||10, 페르난도 마르틴 (Fernando Martín) || || '''{{{#fcaf17 공식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https://www.realmadrid.com/baloncesto|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width=3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ealmadridbaloncesto, 크기=35)] [[https://www.instagram.com/realmadridbaske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30]]]] [[https://www.facebook.com/realmadridbaloncest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30]]]] [[https://www.youtube.com/rmadridbaloncest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5]]]] || || '''{{{#fcaf17 약칭}}}''' ||RMB, RMA || ||<-2> '''{{{#ffffff 우승 기록}}}''' || || '''{{{#fcaf17 [[리가 ACB|{{{#fcaf17 __리가 ACB__ }}}]]}}}''' [br] {{{#fcaf17 (36회 / 최다 우승)}}} ||1957, 1958, 1959-60,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7-68,[br]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8-79,[br] 1979-80, 1981-82, 1983-84, 1984-85, 1985-86, 1992-93, 1993-94, 1999-00, 2004-05, 2006-07,[br] 2012-13, 2014-15, 2015-16, 2017-18, 2018-19, 2021-22 || || '''{{{#fcaf17 {{{#fcaf17 __코파 델 레이__ }}}}}}''' [br] {{{#fcaf17 (28회 / 최다 우승)}}} ||1951, 1952, 1954, 1956, 1957, 1960, 1961, 1962, 1965, 1966, 1967, 1970, 1971, 1972, 1973,[br] 1974, 1975, 1977, 1985, 1986, 1989, 1993, 2012, 2014, 2015, 2016, 2017, 2020 || || '''{{{#fcaf17 __수페르코파 엔데사__}}}''' [br] {{{#fcaf17 (10회 / 최다 우승)}}} ||1984-85, 2012, 2013, 2014,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 '''{{{#fcaf17 [[유로리그|{{{#fcaf17 __터키항공 유로리그__ }}}]]}}}''' [br] {{{#fcaf17 (11회 / 최다 우승)}}} ||1963-64, 1964-65, 1966-67, 1967-68, 1973-74, 1977-78, 1979-80, 1994-95, 2014-15, 2017-18,[br] 2022-23 || || '''{{{#fcaf17 __FIBA 사포르타컵__}}}'''[* 이전 FIBA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으로, 각국의 컵 대회 우승팀이 참가했던 대회이다.] [br] {{{#fcaf17 (4회 / 최다 우승)}}} ||1983-84, 1988-89, 1991-92, 1996-97 || || '''{{{#fcaf17 __FIBA 코라치컵__}}}'''[* 권위로는 유로리그, 사포르타 컵에 이어 3번째였던 유럽 클럽 대항전이다.] [br] {{{#fcaf17 (1회)}}} ||1987-88 || || '''{{{#fcaf17 __유로컵__}}}'''[* 이전 ULEB 컵으로, 사포르타 컵과 코라치 컵이 폐지되고 둘이 합쳐진 형태로 출범한 대회로서 [[축구]]의 [[UEFA 유로파 리그]]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 대회이다.] [br] {{{#fcaf17 (1회)}}} ||2006-07 || || '''{{{#fcaf17 __코파 라티나(라틴 컵)__}}}'''[* [[유러피언 컵]] 출범 이전, 초창기 축구 유럽 대항전으로 유명했던 라틴 컵의 농구 종목 대회이다.] [br] {{{#fcaf17 (1회 / 최다 우승)}}} ||1952-53 || || '''{{{#fcaf17 __FIBA 인터컨티넨탈 컵__}}}'''[* 유럽, 북미, 남미 등 대륙의 최상위 클럽 대항전 우승팀들이 참가하던 대회로, FIBA 클럽 월드컵으로도 불린다. 2016년부터 포맷이 변경되어 유로리그 클럽은 참가할 수 없다.] [br] {{{#fcaf17 (5회 / 최다 우승)}}} ||1976, 1977, 1978, 1981, 2015 || [목차] == 개요 == [[스페인]]의 [[리가 엔데사]]에 소속되어 있는 [[마드리드]] 기반 프로 [[농구]]단. 팀명의 '발론세스토'는 [[스페인어]]로 농구를 뜻한다. [[축구]] 종목의 [[레알 마드리드 CF]]와 마찬가지로 [[스페인]]과 [[유럽]]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이다. 리가 엔데사를 비롯해 스페인 컵 대회인 코파 델 레이 데 발론세스토, 유럽 대항전인 [[유로리그]]에서 가장 많이 우승했고 [[트레블]]을 3회 달성하였다.[* 1964-65, 1973-74, 2014-15][* 반면 [[레알 마드리드 CF]]는 압도적인 리그 성적과 유럽 대항전 성적에도 불구하고 트레블을 달성하지 못했다.] 또한 대륙 간 대항전인 FIBA 인터컨티넨탈 컵까지 5회 우승하여 모든 메이저급 대회의 최다 우승팀으로 기록되어 있다.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와 함께 스페인 1부 리그에 개근하고 있는 3팀 중 한 팀이다.[* 다른 대표적인 강팀인 [[FC 바르셀로나(농구)|FC 바르셀로나]]는 1차례 2부 리그 강등 경험이 있다.] == 역사 == 축구 종목보다 30년 정도 늦은 1931년에 창단된 이후, 1950년대에 출범한 자국 리그와 유로리그에 참가하면서 장기간에 걸친 전성기를 맞았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회장 집권기로 축구팀의 전성기와 일치한다. 물론 리그 자체가 그때 생기긴 했지만, 어쨌든 베르나베우의 능력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당시 스페인의 농구 리그는 '리가 나시오날'이라는 [[세미프로]] 리그로 운영되었는데, 이 리그는 1957년에 출범하여 1983년에 프로화되기 전까지 27년 동안 유지되었다. 이 27년 동안 레알 마드리드는 22회 우승, 5회 준우승을 거두고 리그를 독식했으며[* 이 정도의 독주도 유럽 전역으로 범위를 넓혀서 찾아보면 유일하진 않다. 예를 들어 유로리그에서 레알 마드리드 다음가는 강호들인 [[러시아]]의 [[PBC CSKA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 [[이스라엘]]의 [[마카비 텔아비브 BC|마카비 텔아비브]] 같은 경우 자국 리그 우승이 50회에 육박한다. 특히 마카비 텔아비브는 약 60년 동안 50여 회 우승을 할 정도로 심각한 독주를 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유로리그에서도 7번 우승하고 그 외 사포르타 컵, 코라치 컵, ULEB 컵, FIBA 인터컨티넨탈 컵 등 여러 국제 대항전까지 쓸어 담으면서 [[왕조(스포츠)|왕조]]를 건설했다. 이는 유럽 농구 역사에서 가장 폭발적인 전성기였다. 프로 리그인 리가 엔데사가 출범한 이후에도 첫 3시즌을 모두 우승하였지만, 그때를 마지막으로 최전성기는 막을 내리게 되어 바르셀로나의 추격을 허용하게 되었다. 그래도 바르셀로나에 패권을 넘겨주진 않아 엎치락뒤치락하는 형국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유로리그에서도 단골 우승 후보 지위를 유지하며 꾸준한 성적을 내고 있다. 특히 2010년대에는 '''[[트레블]] 해야 본전'''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어마어마한 전력을 구축했고, 결국 2014-15 시즌에 리그, 코파, 수페르코파, 유로리그를 싹쓸이하여 창단 첫 쿼드러플을 달성한 데 이어 인터컨티넨탈 컵까지 34년 만에 우승하면서 5관왕에 등극했다. 반면 축구팀은 [[FC 바르셀로나]]에 트레블을 허용하고 무관에 그쳤으니 구단 입장에서는 극과 극을 오간 시즌이 됐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sAPtdG_PPg)]}}} || || '''2015 유로리그 파이널 하이라이트''' || 역사적인 전관왕을 달성한 이후 2015-16 시즌엔 다소 흔들렸다. 리그 개막전 패배로 시작하여 시즌 내내 1위는 한 번도 밟지 못하고 3위를 전전했다. 그리고 유로리그에서도 16강에 턱걸이로 진출하고, 그 다음 플레이오프도 턱걸이로 진출하더니 플레이오프에서 [[페네르바흐체 베코|페네르바흐체]]에 0-3 완패를 당하여 탈락했다. 중간에 코파 델 레이 3연패를 달성하긴 했지만, 유로리그 같은 경우 3년 연속 결승 진출 팀이자 디펜딩 챔피언으로서 참가했기에 0-3 탈락은 씁쓸한 결과였다. 하지만 리그에서 막판 뒤집기로 발렌시아를 끌어내리고 2위로 올라섰다. 1위와 승패 동률, 맞대결 득실 열세로 아슬아슬하게 정규 시즌 준우승을 거두고 플레이오프에 돌입했는데, 무르시아와 발렌시아를 연파하고 결국 결승에 올랐다. 결승 상대는 시즌 전적상 열세인 바르셀로나였고 홈 어드밴티지도 바르셀로나에 있었으나, 첫 경기를 1점 차로 아쉽게 내준 이후 모든 경기를 무난하게 잡아내고 33번째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로써 완벽했던 전 시즌에 비하면 부족하지만, 더블이라는 만족스러운 성적으로 시즌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2016-17 시즌엔 발렌시아를 꺾고 코파 델 레이 4연패를 달성했지만, 유로리그 파이널 4에서 다시 페네르바흐체에 져 탈락했다. 이후 리그 결승전에서도 발렌시아에 1-3으로 덜미를 잡혔다. 결국 [[라리가]]와 [[UEFA 챔피언스 리그]]를 포함해 4관왕을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최고의 시즌 중 하나로 기억될 시즌을 보낸 축구팀과 달리, 코파 델 레이 우승만을 건졌다. 2017-18 시즌엔 코파 델 레이 우승을 간발의 차로 놓쳤으나, 유로리그에서 [[루카 돈치치]]의 맹활약에 힘입어 [[PBC CSKA 모스크바|체스카 모스크바]]와 페네르바흐체를 제압하고 3년 만에 정상을 탈환,[* 루카 돈치치는 유로리그 MVP를 수상했다.] 통산 10번째 우승으로 축구에 이어 농구에서도 [[라 데시마]]를 달성했다. 한편 축구팀도 이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에 성공했는데, 한 팀이 UEFA 챔피언스 리그와 유로리그를 동시에 우승한 것은 역사상 전무했던 일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l04eG9FypU)]}}} || || '''2018 유로리그 파이널 하이라이트''' || 유로리그 결승전 이후에 진행된 리그 플레이오프에서도 테네리페, 그란카나리아, 바스코니아를 무난하게 잡아내고 34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다만 앞선 코파 델 레이 준우승 때문에 라 데시마 시즌을 트레블로 완성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2018-19 시즌은 [[루카 돈치치]]의 이탈로 전력이 다소 약화되었는지 코파 델 레이와 리그에서 바르셀로나에 연전연패하고[* 코파 델 레이의 경우 바르셀로나의 위닝 샷이 오심에 의한 득점이었기 때문에 경기 후 논란이 일었다.] 유로리그에서도 체스카 모스크바에 설욕당해 3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시즌 막판에 극적으로 1위를 탈환하고 결승전에서도 바르셀로나에 3-1로 완승해 기어이 리그 우승은 성공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GUNwzhAsA0)]}}} || 그중 1:1 상황에서 맞붙은 3경기에서는 경기 종료 약 1분 전까지 69-76으로 뒤지고 있다가 81-80으로 뒤집기도 했다. 마지막 3점을 성공시킨 선수는 제이시 캐롤이다. 2019-20 시즌 리그 시작 전에 열린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에서 다시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월에는 코파 델 레이에서 빌바오, 발렌시아, 우니카하를 제압하고 28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비교적 순항하던 중이었으나 [[스윙맨]] [[트레이 톰킨스]]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양성 판정을 받아 시즌을 중단했다. 시즌 재개 후에는 단판 풀 리그로 진행된 플레이오프에서 3승 2패로 다소 부진하여 일찍 탈락했다. 마드리드가 결승 진출에 실패한 건 2010-11 시즌 이후 처음이었다. 유로리그는 재개 없이 시즌을 종료해서 최종적으로 수페르코파와 코파 델 레이 우승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2020-21 시즌 개막 전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에서 또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여 3년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하지만 리그와 코파에선 [[니콜라 미로티치]]가 맹활약한 바르셀로나에 밀려 [[무관/스포츠|무관]]으로 마무리했다. 2021-22 시즌 개막 전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에서 또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여 4년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이후에는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리그, 코파, 유로리그를 가리지 않고 열세였으나 유로리그 4강에서 역전승을 거두고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아나돌루 에페스]]에 패배하며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차지한 축구팀과는 달리 아쉬운 시즌을 보냈지만 시즌 마지막에 리가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바르셀로나를 잡아내며 리가 우승을 기록했다. 2022-23 시즌 개막 전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에서 [[레알 베티스]]를 이기고 결승에 진출, 결승에서 또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5년 연속 우승을 달성했으며 4년 연속으로 결승에서 바르셀로나를 이겼다. 그러나 코파 델 레이에서는 우니카하에 덜미를 잡혀 4강에 그쳤다. 유로리그에선 3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파르티잔을 만나 0-2로 몰렸으나 2-2로 따라잡았고, 5차전에서 18점 차로 뒤지던 경기를 4쿼터에서 역전하여 3-2 [[역스윕]]으로 승리하고 파이널 4에 진출했다. 파이널 4 4강에서 바르셀로나에 역전승을 거두고 결승에 진출했고, 결승에서도 [[올림피아코스 BC|올림피아코스]]를 상대로 경기 내내 끌려가다 종료 직전 세르히오 율의 극적인 득점으로 승리하여 '''통산 11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이로써 축구단과 농구단을 운영하고 있는 레알 마드리드는 유럽 최상위 토너먼트에서 총 25회 우승을 기록했다. 여러모로 [[레알 마드리드 CF/2021-22 시즌|2021-22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를 연상케 하는 극적인 우승이었다. 특히 파이널 4는 바르셀로나와 올림피아코스의 확실한 우세가 점쳐졌었는데 살얼음판을 걷는 듯한 경기 내용 끝에 극적으로 우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6CJ2HDS-IQ)]}}} || || '''2023 유로리그 파이널 하이라이트''' || 그러나 유로리그에 모든 힘을 쏟아낸 레알 마드리드는 이후에 치러진 리가 결승에서 완패하고 준우승에 머물렀다. 2023-24 시즌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4강에서 '''또''' 바르셀로나를 꺾었고, 결승에서 우니카하를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수페르코파에서 5년 연속 바르셀로나를 이겼고 6연속 우승과 10회 우승을 달성하였다. == 수상 기록 == === 국내 대회 === * 공식 대회 * [[리가 엔데사]] * 우승: 36(최다) 1957, 1958, 1959-60,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8-79, 1979-80, 1981-82, 1983-84, 1984-85, 1985-86, 1992-93, 1993-94, 1999-00, 2004-05, 2006-07, 2012-13, 2014-15, 2015-16, 2017-18, 2018-19, 2021-22 * 준우승: 14 1958-59, 1966-67, 1977-78, 1982-83, 1987-88, 1988-89, 1991-92, 1996-97, 2000-01, 2011-12, 2013-14, 2016-17, 2020-21, 2022-23 * 코파 델 레이 데 발론세스토 * 우승: 28(최다) 1951, 1952, 1954, 1956, 1957, 1960, 1961, 1962, 1965, 1966, 1967,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7, 1985, 1986, 1989, 1993, 2012, 2014, 2015, 2016, 2017, 2020 * 준우승: 23(최다) 1934, 1944, 1948, 1949, 1953, 1955, 1958, 1963, 1969, 1976, 1978, 1981, 1982, 1988, 2001, 2005, 2007, 2010, 2011, 2018, 2019, 2021, 2022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데 발론세스토 * 우승: 10(최다) 1984-85, 2012, 2013, 2014,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준우승: 4(최다) 1986, 1987, 2004, 2009 * 비공식 대회 * 토르네오 코무니다드 데 마드리드 * 우승: 20(최다) 1984, 1985, 1986, 1987, 1989, 1991, 1994, 1995, 1997, 20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준우승: 8 1988, 1992, 1993, 1996, 1998, 1999, 2001, 2003 * 캄페오나토 데 카스티야 * 우승: 11(최다) 1932-33, 1941-42, 1942-43, 1943-44, 1947-48, 1948-49, 1949-50, 1952-53, 1953-54, 1955-56, 1956-57 * 준우승: 8(최다) 1932, 1934, 1940-41, 1945-46, 1946-47, 1950-51, 1951-52, 1954-55 * 트로페오 마르카 * 우승: 8(최다) 1956-57, 1957-58,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5-66, 1966-67 * 준우승: 1 1964-65 === 유럽 대항전 === * 공식 대회 * [[유로리그]] * 우승: 11(최다) 1963-64, 1964-65, 1966-67, 1967-68, 1973-74, 1977-78, 1979-80, 1994-95, 2014-15, 2017-18, 2022-23 * 준우승: 9(최다) 1961-62, 1962-63, 1968-69, 1974-75, 1975-76, 1984-85, 2012-13, 2013-14, 2021-22 * FIBA 사포르타 컵 * 우승: 4(최다) 1983-84, 1988-89, 1991-92, 1996-97 * 준우승: 2(최다) 1981-82, 1989-90 * FIBA 코라치 컵 * 우승: 1 1987-88 * 준우승: 1 1990-91 * 유로컵 * 우승: 1 2006-07 * 준우승: 1 2003-04 * 코파 라티나 * 우승: 1 1952-53 * 준우승: 1 1965-66 * 비공식 대회 * 유러피언 슈퍼 컵 * 우승: 1 1989 === 세계 대회 === * 공식 대회 * FIBA 인터컨티넨탈 컵[* [[유로리그]]와 [[FIBA]]의 분쟁 때문에 2016년부터 포맷이 변경되어 유로리그 클럽은 더 이상 참가할 수 없다. 레알 마드리드도 2018, 2023년에 유로리그 우승을 하였으나 참가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최다 우승 기록을 다른 팀에 내줄 예정이다.] * 우승: 5(최다) 1976, 1977, 1978, 1981, 2015 * 준우승: 2 1968, 1970 * 비공식 대회 * 토르네오 인테르나시오날 데 나비다드 * 우승: 26(최다) 1967, 1968, 1969, 1970,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80, 1981, 1985, 1986, 1987, 1990, 1991, 1992, 1995, 1996, 1997, 2000, 2003, 2004, 2006 * 준우승: 13(최다) 1966, 1971, 1979, 1982, 1983, 1984, 1988, 1989, 1994, 1998, 1999, 2001, 2002 * 토르네오 인테르나시오날 데 클루브 ACB * 우승: 3(최다) 1984, 1988, 1989 * 준우승: 1 1986 == 경기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Zink Center.png|width=100%]]}}} || ||<-2> '''{{{#fcaf17 레알 마드리드 발론세스토}}}''' || ||<-2> '''{{{#fff 팔라시오 데 데포르테스 데 라 코무니다드 데 마드리드}}}'''[br]'''{{{#fff (Palacio de Deportes de la Comunidad de Madrid)}}}''' || || '''{{{#fcaf17 약칭}}}''' ||엘 팔라시오(El Palacio) || || '''{{{#fcaf17 위치}}}''' ||[[스페인]] [[마드리드]] 펠리페 2세 거리[br](Avda. Felipe II s/n, 28009; Madrid - España) || || '''{{{#fcaf17 개장}}}''' ||[[1960년]], [[2005년]](재개장) || || '''{{{#fcaf17 폐장}}}''' ||[[2002년]]~[[2005년]] || || '''{{{#fcaf17 규격}}}''' ||90x50m || || '''{{{#fcaf17 좌석}}}''' ||15,000석 || || '''{{{#fcaf17 운영}}}''' ||레알 마드리드 발론세스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WiZink Center, 너비=100%, 높이=225px)]}}} || 레알 마드리드 발론세스토의 홈 경기장이다. 이름은 대략 '마드리드 자치 지역의 스포츠 궁전'이라는 뜻이며, 주로 '엘 팔라시오(El Palacio)'로 줄여 부른다. [[명명권]] 때문에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Barclaycard Center', 2016년부터는 'WiZink Center'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최대 수용 인원은 15,000명이고, 공연과 같은 행사 때는 [[입석]]까지 합쳐 15,500명까지 수용 가능하다. 2001년에 화재로 붕괴된 후 재건이 이루어져 2005년에 재개장한 바 있다. 이후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과 2015년 유로리그 파이널 4를 개최했다. [[http://www.realmadrid.com/en/wizink-center/virtual-tour-3d|VR 뷰어]] == 영구결번 == ||
'''번호''' || '''이름''' || '''포지션''' || '''경력''' || || 10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페르난도 마르틴 에스피나(Fernando Martín Espina) || [[센터(농구)|센터]] || 1981~1986, 1987~1989 || 스페인 역사상 최고의 [[농구 선수]] 중 하나이다.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은메달을 이끌었고, [[유로바스켓]]에도 3번 참가해 3번 모두 올토너먼트 팀으로 선발되었다.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에 입단하여 NBA에 진출하기도 했지만 2개월짜리 부상을 당하는 바람에 1시즌 만에 레알 마드리드로 복귀했다. 1989년에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한 뒤 2007년에 FIBA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6년경 잠깐 동안 레알 마드리드 회장을 맡았던 페르난도 마르틴 알바레스와는 [[동명이인]]이다. == 주요 인물 == 팀에 몸담은 주요 인물로는 미르자 델리바시치, 후안 안토니오 코르발란, 데얀 보디로가, 유일한 영구결번의 주인공인 페르난도 마르틴, 그리고 현재 팀에서 뛰고 있는 정상급 선수인 펠리페 레예스, 루디 페르난데스, 세르히오 율 등이 있다. 또한, [[댈러스 매버릭스]]에서 2018-19 시즌 NBA 신인상을 수상한 슈퍼스타 [[루카 돈치치]]도 레알 마드리드에서 7번을 달고 뛰었다. 다음은 레알 마드리드 출신으로서 농구 명예의 전당(Naismith Memorial Basketball Hall of Fame)에 헌액된 인물들이다. ||
'''이름''' || '''포지션''' || '''경력''' || '''헌액 연도'''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안토니오 디아스미겔(Antonio Díaz-Miguel) || [[포워드(농구)|포워드]] ||1958~1961년 || 1997년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페드로 페란디스(Pedro Ferrándiz) || [[코치(스포츠)|코치]] ||1959~1962, 1964~1965, 1966~1975년 || 2007년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5]] 드라젠 달리파기치(Dražen Dalipagić) || [[가드(농구)|가드]] ||1982~1983년 || 2004년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5]] [[드라젠 페트로비치]](Dražen Petrović) || [[가드(농구)|가드]] ||1988~1989년 || 2002년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5]] [[아비다스 사보니스]](Arvydas Sabonis) || [[센터(농구)|센터]] ||1992~1995년 || 2011년 || == 라이벌 == 축구팀과 마찬가지로 [[FC 바르셀로나(농구)|FC 바르셀로나]]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의 경기도 [[엘 클라시코]]라 부른다. 다른 라이벌은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가 있다. 에스투디안테스는 성적 면에서는 평범한 팀이라 라이벌이라 할 수 없지만, 마드리드가 연고지라서 지역 라이벌로 꼽힌다. 이 팀과의 경기 역시 [[데르비 마드릴레뇨]]라 한다. == NBA 팀 상대 전적 == ||
'''일시'''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 1988년 10월 23일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 96-111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보스턴 셀틱스]]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팔라시오 데 데포르테스([[마드리드]]) || || 1993년 10월 22일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 115-145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피닉스 선즈]]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올림피아할레([[뮌헨]]) || || 2007년 10월 11일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 104-103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토론토 랩터스]]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팔라시오 데 데포르테스([[마드리드]]) || || 2009년 10월 8일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 87-109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유타 재즈]]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팔라시오 데 데포르테스([[마드리드]]) || || 2012년 10월 6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멤피스 그리즐리스]] || 105-93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페덱스포럼([[멤피스]]) || || 2012년 10월 8일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토론토 랩터스]] || 102-95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에어 캐나다 센터([[토론토]]) || || 2015년 10월 8일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 96-111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보스턴 셀틱스]]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바클레이카드 센터([[마드리드]]) || || 2016년 10월 3일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 142-137(연장)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오클라호마시티 선더]]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바클레이카드 센터([[마드리드]]) || || 2023년 10월 10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댈러스 매버릭스]] || 123-127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레알 마드리드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위신크 센터([[마드리드]]) || 총 3승 6패를 기록하고 있다. == 기타 == * 1970년대에 [[크리스마스]]를 기념해서 레알 마드리드 축구팀과 서로의 종목으로 친선 경기를 한 적이 있다. 축구 경기에서 농구 팀이 골을 넣으면 농구 팀에 가산점을 주고, 반대로 농구 경기에서 축구팀이 골을 넣으면 축구팀에 가산점을 줘서 각각 경기를 했는데, 축구 경기는 20:0으로 축구팀이 승리하고 농구 경기는 168:49로 농구 팀이 승리했다고 한다. * [[조지 칼]] 감독이 레알 마드리드 농구 팀 감독을 맡은 바 있다. [[분류:레알 마드리드 발론세스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