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왕도마뱀아속]][[분류:독이 있는 도마뱀]] ||<-2> '''{{{#fff {{{+2 레이스왕도마뱀}}}(레이스모니터, 트리고아나)[br]飾紋巨蜥 | Lace monito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nitor-Lizard.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Varanus varius'' '''[br]White, 1790 || ||<-2> {{{#000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 ^^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 ^^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파충류|파충강]] ^^Repti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분류:뱀목|뱀목]] ^^Squamat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분류:왕도마뱀과|왕도마뱀과]] ^^Varan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왕도마뱀|왕도마뱀속]] ^^''Varanus''^^||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아속'''}}}]] ||[[:분류:왕도마뱀아속|왕도마뱀아속]] ^^''Varanu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레이스왕도마뱀 ^^''V. varius''^^'''|| [[https://i.namu.wiki/i/h72hnDXpQKi8c9Msegf7LrzXc6iqNqFs44as0E39Hnt4EbFuZPtZeZuHy4tVoFY3YZ6bxxVoHdtebC1Z7TysgW0CaUW2Riuus2Sll_Au9-d-r_5kO7xWwdl5n3bbfuNCDGIAi4E-oVATQ94FO4VR2w.webp|width=500px]] [목차] [clearfix] == 개요 == 레이스왕도마뱀은 [[호주]]에 서식하는 [[왕도마뱀]]의 일종이다. 교목성이라 트리고아나(Tree Goanna[* 호주에선 페런티에나 레이스왕도마뱀 같은 왕도마뱀을 고아나라고 부른다.])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상세 == [[페런티에]]에 이어서 호주에서 2번째로 거대한 도마뱀이자, 세계에서 7번째로 거대한 도마뱀으로 알려져 있다.[* 1위에서 6위는 순서대로 [[코모도왕도마뱀]], [[물왕도마뱀]], [[악어왕도마뱀]], [[페런티에]], [[나일왕도마뱀]], [[바위왕도마뱀]]이다.] 의외로 [[코모도왕도마뱀]]과 가까운 친척뻘인데, 코모도 친척답게 독을 가지고 있다. 몸길이는 1.5~2m까지 자라며 무게는 최대 14kg까지 나간다. 사실 [[코모도왕도마뱀]]은 서식지가 가까운 [[물왕도마뱀]]과는 촌수가 제법 떨어져 있으며, 오히려 호주에 서식하는 [[페런티에]]나 레이스왕도마뱀에 더 가깝다. 그리고 친척뻘답게 세 종 다 독을 가지고 있다. 상술했듯 레이스왕도마뱀은 페런티에와 함께 코모도왕도마뱀의 친척인데, 특히 둘 중에 레이스왕도마뱀 쪽이 (페런티에보다도) 코모도왕도마뱀과 유전적으로 더 가까우며, '''모든 왕도마뱀 종류를 통틀어 유전적으로 [[코모도왕도마뱀]]과 가장 가까운 종이다.''' 자세히 보면 눈이 코모도왕도마뱀과 똑같이 생겼고 두상이나 체형도 매우 흡사하다. 과장 좀 섞으면 코모도왕도마뱀을 그 외형 그대로 [[나일왕도마뱀]] 정도 사이즈로 작게 줄여놓고 [[팔레트 스왑|화려한 흑백줄무늬로 색깔만 바꾼]] 수준이다.[* 사실 코모도왕도마뱀은 의외로 그렇게 육중한 체형이 아니다. 오히려 [[물왕도마뱀]] 쪽이 더 육중한 체형에 가깝고 코모도왕도마뱀은 레이스왕도마뱀처럼 몸통도 날씬하고 목도 긴 상당히 날렵한 체형이다.] 트리고아나라는 현지명에 걸맞게 교목성이다. [[주머니사자]]가 멸종한 호주 내에서는 구대륙의 [[표범]]을 비롯한 교목성 포식자에 대응하는 생태지위를 가지고 있는데[* [[페런티에]]는 호주 내에서 멸종한 [[주머니늑대]], [[큉커나]] 등을 대신해서 구대륙의 [[늑대]]나 [[호랑이]] 같은 포식자에 대응하는 생태지위를 가지고 있다.], 나무를 타고 다니며 새의 둥지 안의 알을 훔쳐 먹거나 [[주머니쥐]]를 포함해서 나무 위에 서식하는 동물들을 사냥해 잡아먹기도 한다. [[https://i.namu.wiki/i/_BOczTfXr7gjPwEE_8dweSS2k1-xT4sI4puizB2F8E7-DlFmaXbH3nXPigC2RjQ7jIamwgF2e1fhUkuXHXFrnssL1yq8yBNvkTwl-50GIHG4hx06awE52wsi21h9e2Q9ycwU8SPpw3yFnAsnLbnK1g.webp]] 다른 기타 대형 왕도마뱀들처럼 짝짓기철이 되면 수컷끼리 마치 [[스모]]를 방불케하는 힘겨루기를 하는 경우가 흔하다. == 사육 == 레이스왕도마뱀의 특징이라면 특유의 화려한 발색을 들 수 있다. 주둥이 끝부터 시작하는 흑백 가로줄무늬가 특징인데, [[파충류 애호가]]들이 이 발색에 그야말로 환장한다. 그뿐만 아니라 [[악어왕도마뱀]]과 함께 새끼 때의 발색이 비교적 잘 유지되는 종이다. 게다가 코모도왕도마뱀을 작게 줄여놓은 듯한 신체 비율[* 애완용으로 널리 유통된 [[나일왕도마뱀]]의 경우 머리가 작고 뾰족한 편이라 개체가 비만해질 경우 비율이 굉장히 어색해진다.]에 성격까지 온순해서 파충류 애호가들이 한번 쯤 키워보고 싶어하는 꿈의 파충류이기도 하지만, 레이스왕도마뱀은 '''독이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론 무리이고 위험성과는 별개로 가격도 대단히 비싸다. 부르는 게 값인 걸로 악명 높은 [[악어왕도마뱀]]이 300만 선에서 주로 거래되는 데 반해, 이쪽은 1400만 대를 형성하고 있어서 아예 차원이 다르다. 이는 호주가 자국 동물 반출을 철저히 금지하기 때문에 애완용으로 유통되는 개체 자체가 워낙 희귀하기 때문. ||[[https://i.namu.wiki/i/WewKi1-CngKD8wRGgvnkYk5gQFKJEj59pdwyzOzRtCwWC-clqi0Q6YYJOAmOYvQ_LMdP1u0q8yoVbhxhLWRqHq8XN3RvsycuXu4r9Otu86kufQtV9Vm3OgiqHGYji6aSv4ynx9KkEWH7QYEPxrZ5tg.webp]]|| ||벨페이즈 레이스왕도마뱀의 모습. 이렇게까지 흰색 비중이 큰 발색의 개체는 매우 희귀하다.|| 모프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야생 그대로의 발색이자 일반적으로 가장 알려진 흑백줄무늬의 노멀페이즈, 다른 하나는 [[홀스타인]]을 연상케 하는 얼룩무늬가 돋보이는 벨페이즈이다. 이 벨페이즈의 경우, 흰색 부분이 말 그대로 새하얀 우윳빛깔이라 엄청난 인기를 구가한다. 근데 상술했듯 그냥 레이스왕도마뱀(노말페이즈)이 1400대이니 이 정도 개체는 그야말로 부르는 게 값인 수준. == 기타 == [[https://i.namu.wiki/i/3WicsF3XoyvgKvs2tMIn4g6Koxru2UHASAkVo7pfP4Fw9gW2SVSk6hFa8V-22SmN_9NYjl3jkmFhvPrY1pFAixqSrWVnpt-Tl-xsF5jklgx3RN-I4CS9Pjm9akmphQjTecBIj4fCLbs6_knxoj6kxA.jpg]] 교목성이라 나무도 잘 타고 벽도 잘 탄다. --(?)-- 이 탓에 가끔 집 외벽에 붙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관광객은 물론 호주 현지인들도 식겁하는 게 대부분. 애초에 일반적으로 벽에 붙어 있는 도마뱀 하면 작은 [[도마뱀붙이]]류를 생각하지 저런 왕도마뱀을 연상시키는 경우는 없기 때문. 위 짤은 '호주의 흔한 도마뱀...jpg'이란 제목으로 유명한 짤. [[파충류 애호가]]로 유명한 스트리머 [[공혁준]]이 키우는 파충류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