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레이싱 포인트)] [[파일:조던행님 아헤가오.jpg|width=500]] 아마도 조던으로부터 레이싱 포인트까지 이어지는 팀 역사상, 다시는 들어보기 힘든 그랑프리 우승 트로피를 든 에디 조던. 에디를 받들고 있는 두 드라이버는 왼쪽부터 [[데이먼 힐]]과 [[랄프 슈마허]]. ||<-2> {{{#000 '''조던 그랑프리'''}}}[br]{{{#000 '''Jordan Grand Prix'''}}} || ||<-2> [[파일:Jordan_Grand_Prix_logo_old.png|width=400]] || || {{{#0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아일랜드)] || || {{{#000 '''타이틀 스폰서'''}}} ||[[7up]](1991)[br]사솔(1992~1994)[* 남아공의 정유 및 화학회사][br] [[토탈]](1995)[br] 벤슨 & 헤지스(1996~2002)[* 필립 모리스가 소유한 영국계 담배 브랜드] [br] [[DHL]](2002)[* B&H와의 타이틀 스폰서 계약이 시즌 중간에 종료되었고, 남은 시즌 동안 DHL이 그 자리를 대신하였다.] || || {{{#000 '''창단'''}}} ||1991년 || || {{{#000 '''본부'''}}} ||[[영국]] [[이스트 미들랜즈]] 노스햄튼셔 주 [[실버스톤]][* [[실버스톤 서킷]] 주변에 위치해 있다.] || || {{{#000 '''팀 수장'''}}} ||에디 조던(Eddie Jordan)[* 현재는 가끔씩 F1 중계 방송에 나가거나 [[탑기어]] MC로 출연하기도 하였고, [[BBC Four]] F1 프로그램에서 활동 중이다.] || || {{{#000 '''주요 스태프'''}}} ||개리 앤더슨(Gary Anderson), [br] 아드리안 부르게스(Adrian Burgess), 마이크 가스코인(Mike Gascoyne), [br] 존 일리(John Iley), 샘 마이클(Sam Michael), [br] 롭 스매들리(Rob Smedley), 마크 갤러거(Mark Gallagher) || || {{{#000 '''드라이버'''}}}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루벤스 바리첼로]] [br]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br]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br]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야르노 트룰리]] [br]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랄프 슈마허]] [br]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데이먼 힐]] [br]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에디 어바인]] [br]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티아고 몬테이로]] [br]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닉 하이트펠트]] [br]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사토 타쿠마]] [br]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마틴 브런들]] [br]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베르트랑 가초]] [br]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장 알레시]] [br]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티모 글록]] [br]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미하엘 슈마허]] || || {{{#000 '''연혁'''}}} ||'''조던 그랑프리 (1991~2005)''' [br] [[미들랜드 F1 레이싱]] / [[스파이커]] MF1 레이싱 (2006) [br] [[스파이커 F1 팀]] (2007) [br] [[포스 인디아 포뮬러 원 팀]] (2008-2011) [br] [[포스 인디아|사하라 포스 인디아 포뮬러 원 팀]] (2012-2018) [br] [[레이싱 포인트 포스 인디아]] (2018) [br] [[레이싱 포인트|BWT 레이싱 포인트 F1 팀]] (2019~2020) [br] [[애스턴 마틴 F1 팀]] (2021~) || ||<-2> {{{#fff '''차량'''}}} || || {{{#000 '''섀시'''}}}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br] EJ[* 에디 조던의 약자.]10 / 10B, 11, 12, 13, 14, EJ15 / 15B || || {{{#000 '''엔진'''}}} ||[[포드]], [[야마하 모터|야마하]], 하트, [[푸조 스포트|푸조]], [[무겐 모터스포츠#s-3.1|무겐-혼다]], [[HRC|혼다]], [[토요타]] || || {{{#000 '''그랑프리 우승 횟수'''}}} ||4 || || {{{#000 '''포디움 횟수'''}}} ||19 || || {{{#000 '''폴 포지션'''}}} ||2 || || {{{#000 '''패스티스트 랩'''}}} ||2 || [목차] == 조던 그랑프리의 탄생 == [[파일:조던1.jpg|width=400]] 에디 조던은 아일랜드의 사업가이자 전직 레이싱 드라이버였다. 그가 레이싱 드라이버로서의 직업을 포기하게 된 계기는 1976년에 [[포뮬러 3]]에서 드라이버로 활동하다가 왼쪽 다리가 부러지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회복한 뒤, 미국으로 넘어가 포뮬러 애틀랜틱을 우승한 뒤, 79년 다시 영국에서 활동하다가 돈이 부족해지자, 자신의 이름을 딴 '에디 조던 레이싱'을 창단하게 된다. 그 후로 [[포뮬러 3]]이나 포뮬러 3000 같은 곳에서 팀을 운영하다가, 89년 팀이 포뮬러 3000을 지배할 정도로 커지자, 팀은 90년 2월 포뮬러 원에 뛰어들기로 결심한다. == 상세 == === 수많은 드라이버들의 요람 === 조던 팀은 포뮬러 3000 시절부터 많은 드라이버들의 요람이었는데, 포뮬러 1에서는 대표적으로 '''[[미하엘 슈마허]]''', '''[[데이먼 힐]]''', '''[[루벤스 바리첼로]]''', [[에디 어바인]], [[랄프 슈마허]], [[티모 글록]] 등 많은 드라이버들이 거쳐갔다고 한다. === 비밀번호, 그리고 벤슨 & 헤지스의 시대 === 포뮬러 원의 신생팀이 으레 그랬듯, 처음은 비밀번호로 시작했다. 하지만 여럿 팀처럼 밑바닥을 긴것도 아닌데, 1991년 당시 포뮬러 원 팀들은 상위권 팀들이나 하위권 팀들이나 너나 할것없이 리타이어가 빈번하게 일어났었기 때문에, 페라리나 맥라렌 같은 차들이 부품 문제로 리타이어 할때마다 쏠쏠하게 포인트를 벌어갔다. 창단 첫해에는 안드레아 데 체사리스[* 굉장히 빠르지만 거친 드라이빙으로 유명했다. 당장 유튜브에 Andrea de Cesaris 만 쳐도 바로 crash 라고 뜬다. 슬프게도 안드레아는 2014년 오토바이 사고로 불귀의 객이 되었다.]의 활약 덕분에 컨스트럭터 부문 5위를 차지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그 뒤론 바닥을 기었다. 한 시즌에 드라이버를 2번 넘게 교체한 적도 있었으니...이 팀이 본격적으로 날개를 달기 시작했던 때는 바로 96년, 영국의 담배회사인 벤슨 & 헤지스(Benson & Hedges)와 손을 잡고난 이후였다. [[파일:b and h jordan.png|width=300]][* 담배 광고가 법적으로 금지된 레이스에서 규제를 피하기 위해 만들어진 로고이다.] B&H사의 막대한 자금력 덕분에, 조던 그랑프리는 상승세를 타게 된다. 푸조보다 좀 더 나은 무겐-혼다엔진을 쓰기 시작하고, 엄청난 거금을 들여 [[데이먼 힐]]을 영입하면서, 문서의 시작에 있는 98년 [[스파 프랑코샹|스파]]에서의 우승을 시작으로, 포디움에 오르는 횟수가 점차 증가하기 시작한다. || [[파일:HHF.jpg|width=300]] || ||조던의 황금기를 이끈 드라이버인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그리고 1999년, 랄프가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로 간 후[* 원래는 97년부터 조던과의 3년계약이었지만, 힐을 밀어주는 팀 오더와 충돌한 그는 99년 시즌 중 윌리엄스와 2년 계약을 덜컥 맺고 떠나버린다.] 조던은 윌리엄스에서 방출된 프렌젠을 영입하게 되는데, 이는 '''신의 한수'''가 된다. [[데이먼 힐|힐]]의 폼은 떨어졌지만 레이스 외적으로 크게 기여했으며, 이 힘을 받아 프렌젠은 자신의 커리어 2번째로 드라이버 챔피언쉽 우승경쟁을 하게 된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때는 [[미카 해키넨|플라잉 핀]]이 우승을 휩쓸던 때였고, 맥라렌이나 페라리에 비해 2% 부족한 성능때문에 결국 3위에 만족해야 했다. 하지만 컨스트럭터 3위란 성적은 무시못할 엄청난 성적임은 분명하다. 문제는 그 다음해부터였다. 혼다가 2000년 부터 BAR 팀에도 엔진을 공급하기 시작하면서, 더 좋은 성능의 엔진을 받기위해 BAR과의 경쟁이 붙었다. 이를 위해 에디는 쓸 수 있는 모든 수를 썼다고 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프렌젠을 방출하고 [[사토 타쿠마]]를 참가시킨 것이다.[* 하지만 효과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프렌젠을 방출한 여럿 뒷소문들이 있는데, 폼의 하락도 있고 잦은 사고에 기술 팀과의 불화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프렌젠은 팀으로부터 차의 수리비용을 내라고 통보받았다고 하며 이것이 아마도 프렌젠의 조던과의 관계가 틀어진 이유들 중 하나일 것이다. 그만큼 조던이 돈에 쪼들리기 시작했다는 이야기.] 아무튼 팀은 프렌젠을 방출하고 난 뒤, 엔진이 터진 비행기 마냥 추락하기 시작했다. 야심차게 영입한 [[야르노 트룰리]]가 망한 것을 시작으로, B&H사로부터 오는 자금이 줄어들면서 차의 개발에도 큰 지장이 생기고 말았다. 결국 조던은 2002시즌 부로 B&H와 결별하게 된다. === 끝없는 추락 === ||[[파일:우승 도둑맞음.jpg|width=100%]]||[[파일:우승 되찾음.jpg|width=100%]]|| ||<-2> 2003년 브라질, 우승을 뺏겼던 [[지안카를로 피지켈라]]와 그 다음 [[이몰라 서킷]]에서 우승 트로피 이임식(?)을 하는 조던과 맥라렌. [br] 젊은 시절 [[키미 래이쾨넨|라이코넨]]과 두 팀의 단장이었던 에디 조던, 론 데니스도 보인다. || [[사토 타쿠마]]를 영입하여 혼다의 마음을 사는 것도 실패한 조던은 끝없는 추락을 하게 된다. 그와중에도 2003년엔 마지막으로 '''그랑프리 우승'''을 하긴 했는데, 이 경기가 바로 빗속의 대혈전이었던 인터라고스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그 내용은 [[인터라고스]] 문서 항목을 참조할 것. 아무튼 2003년 우승 이후로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한 조던은 재정난에 빠지게 되었는데, 이것에 결정타를 날린 사건은 바로 03년 6월 [[보다폰]]과의 법적 분쟁이었다. 에디는 보다폰이 자신들과 그 당시 1억 5천만 파운드 규모의 스폰서 구두 계약을 합의했지만, [[보다폰]]이 뒤퉁수를 치고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에게 갔다고 주장했다. 허나, 그로부터 2달 후인 8월, 갑자기 조던은 고소를 취하하더니 [[보다폰]]에게 보상을 지불한다고 발표했다. [[http://news.bbc.co.uk/sport2/hi/motorsport/formula_one/3117665.stm|기사]]에 따르면, 조던의 소송은 '기반도 없던 거짓' 이었고, 이 소송을 담당했던 당시 한 대법관은 증인으로 출석한 에디와 상업이사 이안 필립스를 두고 '굉장히 불만족스러운 증인들' 이라고 묘사했다고 한다. == 팀 매각 == 위의 사건으로 인해 재정난 문제는 점점 걷잡을 수 없이 [[곽철용|더블로 가게]] 되었고, 결국 팀은 2005 시즌 이전 다국적 그룹이었던 미들랜드 그룹에 팔리게 된다. 당시 미들랜드는 팀 소유주인 에디 조던으로부터 총 6천만 달러(약 790억원)에 조던 팀을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 미들랜드 F1 레이싱 === ||<-2>
{{{#fff ''' ''미들랜드'' '''}}} ''' ''F1'' ''' {{{#fff ''' ''레이싱'' '''}}}[br]{{{#fff ''' ''Midland'' '''}}} ''' ''F1'' ''' {{{#fff ''' ''Racing'' '''}}} || ||<-2> [[파일:midland f1.png|width=300]] || || {{{#fff '''국적'''}}}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러시아 || || {{{#fff '''본부'''}}} ||[[영국]] [[이스트 미들랜즈]] 노스햄튼셔 주 [[실버스톤]][* 조던 그랑프리 본부와 같다.] || || {{{#fff '''팀장'''}}} ||콜린 콜레스(Colin Kolles) || || {{{#fff '''기술 감독'''}}} ||제임스 키(James Key)[* 현재 [[맥라렌 F1 팀]] 기술 이사직을 맡고 있다.] || || {{{#fff '''엔지니어링 감독'''}}} ||존 맥퀼리엄(John McQuilliam) || || {{{#fff '''공기역학 책임자'''}}} ||사이먼 필립스(Simon Phillips) || || {{{#fff '''드라이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크리스티얀 알버스 [br]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티아고 몬테이로 || || {{{#fff '''연혁'''}}} ||[[조던 그랑프리]] (1991~2005) [br] '''미들랜드 F1 레이싱 / [[스파이커]] MF1 레이싱 (2006)''' [br] [[스파이커 F1 팀]] (2007) [br] [[포스 인디아 포뮬러 원 팀]] (2008-2011) [br] [[포스 인디아|사하라 포스 인디아 포뮬러 원 팀]] (2012-2018) [br] [[레이싱 포인트 포스 인디아]] (2018) [br] [[레이싱 포인트|BWT 레이싱 포인트 F1 팀]] (2019~2020) [br] [[애스턴 마틴 F1 팀]] (2021~) || ||<-2> {{{#fff '''차량'''}}} || || {{{#fff '''섀시'''}}} ||M16 || || {{{#fff '''엔진'''}}} ||[[토요타]] RVX-06 || || [[파일:alex sch.jpg|width=300]] || || 미들랜드 팀의 소유자였던 러시아 갑부인 알렉스 슈나이더 || 러시아 사업가 알렉산더(Alexander Shnaider)가 인수한 최초의 러시아 국적 팀. 드라이버는 조던 팀에 있었던 티아고 몬테이로를 그대로 두고 나레인 카티케얀 대신 [[미나르디]]에 있던 크리스티얀 알버스를 데려왔다. 그리고 원래는 M16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탈리아 제조업체 [[달라라]]와 계약했지만 설계 과정 중 미들랜드의 기대에 못 미쳤는지 얼마 안가 계약을 중단한다. 이후 팀 수뇌부는 제임스 키를 기술 책임자로 승격시키고 자체적으로 개발을 진행했다. [[파일:midland_mf16_manu-06_01.jpg|width=600]] 미들랜드의 시작은 좋아보였다. 팀을 인수받고 난 뒤의 05년 말은 이른바 '배우는 해' 라고 선언하며, 슈나이더는 자신의 팀에 러시아인 드라이버를 참가시키고자 하겠다고 선언했다. 허나 [[현실은 시궁창]]이었으며[* 정작 러시아인 최초의 [[F1 드라이버]]인 [[비탈리 페트로프]]는 4년 뒤 2010년에서야 데뷔했다.], 미들랜드는 2005 시즌에 포드에서 토요타로 바꾼 조던 때처럼 토요타의 엔진을 공급받았는데, 신생 팀이 으레 그랬듯이 시즌 중 포인트를 하나도 따내지 못했고[* 그래도 기록적인 측면에선 나아지기 시작했는데, 시즌 초기엔 상위 팀과의 기록이 '''4초'''가량 차이가 벌어지던 격차를 '''2초'''까지 줄였다. 소규모 팀으로서는 엄청난 성과.] 더군다나 시즌 중 팀을 또 매각한다는 소문이 들려왔고, 결국 06년 이탈리아 그랑프리 하루전, 네덜란드의 자동차 회사인 [[스파이커]]로 팔려가게 된다. === 스파이커 F1 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파이커 F1 팀)] [[분류:포뮬러 1 컨스트럭터]][[분류:1991년 창단]][[분류:2005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