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 한글판 명칭 ||'''레인보우 라이프'''|| || 일어판 명칭 ||'''レインボー・ライフ'''|| || 영어판 명칭 ||'''Rainbow Life'''|| ||<-2> 일반 함정 || ||<-2>패를 1장 버린다. 이 턴 중에 이미 받은 데미지를 무효로 하고, 추가로 그 수치만큼 라이프를 회복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 148화에서 [[암흑사도 요한]]이 [[마루후지 료]]와의 듀얼 중 사용. 료의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의 연속 공격을 모두 씹고, 역으로 라이프를 회복했다.[* 정확하게는 키메라 테크 포트리스 드래곤의 5번 연속 공격을 모두 맞으면 패배할 위기에서 4번째 공격까지 당했을 때 이 카드를 사용해서 라이프를 회복하고, 이후 마지막 5번째 공격은 맞아서 라이프가 약간 깎였다. 라이프 1900에서 400의 대미지를 4번 맞고, 이 카드를 발동해 라이프가 300에서 3500까지 올라갔다가 3100이 되었다.] 현재 라이프로 감당할 수 있는 데미지가 들어오는 상황에 유용한 효과. 172화에서도 [[요한 안데르센]]이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광산폭파에 의해 덱에서 묘지로 보내지는 카드 중 하나로 등장했다. 일러스트의 몬스터는 [[제노사이드킹 데몬]]과 [[자이언트 오크]]. 둘 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초반에 [[유우키 쥬다이]]가 듀얼한 상대들의 카드로, 각각 [[타이탄(유희왕 GX)|타이탄]]과 [[유희왕 GX/등장인물#s-1.1.2|코하라&오오하라 콤비]]가 사용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card10000418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레인보우 라이프, 일어판명칭=レインボー・ライフ, 영어판명칭=Rainbow Life, 효과1=패를 1장 버린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까지\, 자신이 받는 데미지는 무효가 되고\, 그 수치만큼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2)] 자신에게로의 모든 데미지를 회복으로 바꾸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패 코스트가 들지만 대미지를 회복으로 바꿔버리는 만큼 성능은 말할 것도 없이 좋다. 비슷한 효과인 [[드레인 실드]]와의 차이점은 몬스터 1장의 공격이 아닌 1턴 내의 모든 데미지라는 것, 상대의 공격이 아닌 자기 턴에도 발동 가능하다는 점, 또한 '''효과 데미지도 회복으로 전환'''한다는 점이 있다. [[사이킥족]]은 효과를 쓸 때마다 데미지를 입는 케이스가 늘고 있는데다가 [[두뇌개발 연구소]]가 라이프 지불을 라이프 데미지로 바꿔버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거기서라면 나름 중히 쓰일지도 모른다. 그밖에 [[파워 본드]] 같이 많은 데미지를 받는 카드도 효율 좋은 회복 카드로 돌릴 수 있어 유용하다. 당연한 얘기지만 라이프 상실은 막을 수 없으므로 [[소울 차지]]를 발동하고 이 카드를 발동하지 말자. 그리고 [[시모치의 부작용]]도 상쇄를 못하고 그냥 데미지가 들어가니 시모치의 부작용이 깔려있을 때는 발동해도 의미가 없다. 참고로 이 카드를 발동하고 나서 엔드 페이즈까지이기 때문에 이번 턴에 입었더라도 발동 전의 데미지는 회복하지 않는다. 원작 효과와는 정반대. [[기간테크 파이터]]와의 연계로 계속 라이프를 회복하는 [[유희왕/무한 루프#기간테크 파이터 편|무한 루프]]의 파츠이기도 하다. 이 무한 루프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냐는 한 듀얼리스트의 질문에 코나미가 '''"룰 제한 시간인 3분만 넘기지 않으면 비공식 듀얼에선 '몇 번이든' 상관없다."'''라고 공인했다. 그래서 세계대회에서는 항상 [[리미트 레귤레이션/OCG|특별 금지 카드]]로 지정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나 [[마스터 듀얼]]에서는 1턴 이내의 모든 데미지를 회복하는 점을 간과하고 추가 데미지를 줘서 더 회복해주는 상황이 심심찮게 보인다. 심지어 지속 함정이 아니라서 발동에 성공하면 바로 묘지로 들어간다는 점 때문에, 가끔 레인보우 라이프를 미리 발동했더니 상대가 그 사실을 잊어버리고 그냥 공격하는 경우도 나온다.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