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렉서스|[[파일:lexus-logo.svg|width=8%]]]]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1_nx_main.jpg|width=100%]]}}} || || {{{#ffffff '''NX'''}}} || [목차] '''Lexus N'''imble '''X'''(Cross)over == 개요 == [[토요타]]의 고급차 브랜드인 [[렉서스]]에서 2014년부터 생산하는 중형 [[SUV]]이다. 모델명은 날렵한, 민첩한 이라는 뜻의 Nimble에서 따왔다. == 모델별 설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fnxfron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fnxback.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exus_LF-NX_In.jpg|width=100%]]}}} || ||<-2> {{{#fff '''LF-NX'''}}} || 렉서스가 [[렉서스/콘셉트 카#s-2.11|LF-NX]] 콘셉트 카를 2013년에 발표했고 NX 디자인과 모델명의 베이스가 되었다. 모델명 NX는 LF-NX에서 따왔고 독립된 [[주간주행등]]과 [[후미등]] 디자인을 그대로 따왔다. === 1세대 (AZ10, 2014~202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4_NX_200t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4_NX_200t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4_NX_In.jpg|width=100%]]}}} || ||<-2> {{{#fff '''NX 200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4_Lexus_NX_Fs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4_NX_Fs_0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4_NX_Fs_In.jpg|width=100%]]}}} || ||<-2> {{{#fff '''NX F SPORT'''}}} || 그동안 [[렉서스]]에서 만든 SUV 차량은 [[렉서스 RX|RX]]/[[렉서스 GX|GX]](준대형), [[렉서스 LX|LX]](대형)였는데 모두 차체가 큰 준대형 이상의 SUV들이라 점점 소형화되는 SUV 시장에서 적응하지 못해 판매량이 떨어지고 있었고, 특히 소형 차량을 요구하는 유럽 시장에서 렉서스는 [[혼다 CR-V|CR-V]]를 앞세운 [[혼다]]와 [[닛산 캐시카이|캐시카이]]를 앞세운 [[닛산]]에 참패를 당해 렉서스 내부에서도 서둘러 중형 이하 급 SUV 개발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래서 검증된 플랫폼인 [[토요타 라브4|RAV4]]의 플랫폼을 사용하되 엔진과 세팅, 옵션에서 차별화했다. 모델은 2.0L I4 [[토요타 ZR 엔진|3ZR-FAE]] 엔진에 [[CVT]]를 맞물린 NX 200, 2.0T I4 [[토요타 AR 엔진|8AR-FTS]] 엔진에 6단 자동변속기를 맞물린 NX 200t, 2.5L I4 [[토요타 AR 엔진|2AR-FXE]] 엔진에 e-CVT를 맞물린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 모델 NX 300h가 있다. 차체 세팅에서는 RAV4가 패밀리 카 성향이 강한 반면, NX는 RAV4에 비해 차체나 서스펜션이 단단하고 특히 렉서스의 정체성인 주행잡음이 타사 차량보다 적고 핸들링도 좋아 미국과 유럽 모두 호평을 받았다. 실내 질감이나 마감면에선 동급 최고수준이고 트랙패드나 드라이브 셀렉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등을 넣었다. 1~2세대 [[토요타 해리어|해리어]]는 [[렉서스 RX|RX]]와 동형 차종이었지만 3세대 해리어는 이 차와 [[토요타 MC 플랫폼|MC 플랫폼]]을 공유하는 형제차다. 한국시장에는 2014년 10월 6일에 주력 모델인 NX 300h를 먼저 들여와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2015년 2월 26일에 NX 200t도 들여왔다. NX 300h 가격이 슈프림 트림 5,580만원, 이그제큐티브 가격이 6,280만원이고 연비는 12.6km/L이다. NX 200t는 슈프림 트림이 5,510만원, 이그제큐티브 트림이 6,210만원, [[렉서스 F|F SPORT]]는 6,130만원이고 연비는 9.5km/L이다. 가격이 다소 높게 책정됐다는 느낌이 없지 않아 있으나, 다른 프리미엄 브랜드의 동급 차량들과 비교해보면 그리 비싸다고 할 수 있는 가격대는 아니다. 높은 품질과 고급진 인테리어로 시승 인원들의 구매율이 높아 렉서스 2015년 판매량에서도 2위를 찍었다. ==== 페이스리프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_NX_300h_1(업스케일링).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_NX_300h_2(업스케일링).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_NX_In.jpg|width=100%]]}}} || ||<-2> {{{#fff '''NX 300h'''}}}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_NX_300_Fs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_NX_300_Fs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_NX_Fs_In.jpg|width=100%]]}}} || ||<-2> {{{#fff '''NX F SPORT'''}}} || 2017년 11월 14일 부분변경 모델을 공개했으며 NX 200t를 NX 300으로 모델명을 변경했다. 대한민국에서는 가솔린 모델인 NX 300, 하이브리드 모델인 NX 300h를 2018년 10월부터 19년식의 출고가 시작되었으며 그동안 국내에서 볼 수 없었던 LSS+(Lexus Safety System+) 등의 안전사양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출고가 또한 많이 인상돼서 하이브리드 모델인 NX 300h의 가격이 슈프림 트림 5,860만원, 이그제큐티브 6,570만원이고 연비는 12.0km/L이다. NX 300 슈프림 5,810만원, 이그제큐티브 6,500만원, F SPORT 6,400만원이고 연비는 9.3km/L이다. 2021년 7월 1일 이후 개별소비세 인하가 끝나서 200만원 가량 더 올라 NX 300h 슈프림 6,160만원, 최상위 트림인 이그제큐티브는 6,970만원으로 올랐다. NX 300과 F SPORT는 6,420만원으로 올랐다. === 2세대 (AZ20, 2021~현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_nx_mai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_nx_b.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1_NX_Gen_2_In.jpg|width=100%]]}}} || ||<-2> {{{#fff '''RX 450h+'''}}}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_NX_Fs_fron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_NX_Fs_back.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1_NX_Fs_In.jpg|width=100%]]}}} || ||<-2> {{{#fff '''NX F SPOR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igJkAsF7JY)]}}} || ||<#000> {{{#ffffff '''대한민국 광고'''}}} || ||||{{{#!wiki style="margin:10px" '''나를 완전 반전'''}}}|| 이번 NX는 [[토요타 TNGA 플랫폼|TNGA-K 플랫폼]]을 적용해 현행보다 휠베이스가 더 늘어나서 차량 내부 공간이 확대된다. 특히 프론트 노즈 부분이 낮게 이어지면서 전체적으로 낮고 넓은 포지션을 유지한다. TNGA 플랫폼을 적용하므로써 기존에 사용하던 [[토요타 ZR 엔진|ZR]], [[토요타 AR 엔진|AR]] 엔진을 버리고 TNGA 플랫폼 전용으로 개발한 [[토요타/엔진/Dynamic Force 엔진|다이내믹 포스 엔진]]의 M20A, T24A, A25A 엔진을 탑재했다. 2세대 NX는 전장 4,660mm, 전폭 1,865mm, 전고 1,640mm, 휠베이스가 2,690mm로 전장이 이전보다 20mm, 전폭이 20mm, 전고가 5mm, 휠베이스가 30mm 늘었다. 토요타의 새로운 직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도입해[* 후면에 듀얼 모터 MG1(구동 담당), MG2(발전기 담당)를 장착했다. 그러면서도 전륜에 있는 파워트레인과 물리적으로 연결이 돼있지 않아 불필요한 동력손실을 줄였다. 또한 후륜 모터는 전자제어장치가 따로 들어가 효율적인 사륜구동 시스템을 완성했으며 엔진이 개입한다는 사실을 전혀 모를 정도로 하이브리드 특유의 이질감을 없앴다.] 전작대비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의 가속력이 상당히 좋아지면서 공인 연비도 대폭 상승했으며 ADAS의 성능도 대폭 좋아졌다. 센터페시아는 기존보다 더 커진 14인치 터치스크린이 탑재되었으며 기어봉도 기존의 부츠 타입 기어봉에서 전자식 기어봉으로 변경되었다. [[링컨 에비에이터]]와 같은 버튼식 도어 핸들과 최근 새롭게 출시하는 렉서스와 토요타 일부 고급 모델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후방 룸미러 카메라도 적용되었다. 엠비언트 라이트를 자신이 원하는 색깔로 바꿀 수 있게 됐으며, 대한민국 사양의 경우 기존 아틀란 내비게이션에 [[LG U+]] 드라이브 시스템을 [[http://www.motorpress.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1461|적용]]했다. 전체적 디자인은 독립된 주간주행등이 전조등 위로 붙게 되고, [[렉서스 UX|UX]]처럼 뒤에는 일자형 후미등이 적용되었다. 일단 일본에서 우선적으로 출시하며, 2021년 6월 12일 오후 12:00에 공개되었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22년 5월 16일부터 사전계약을 실시했으며 동년 6월 15일에 UX 300e와 함께 NX 350h와 NX 450h+/NX 450h+ F SPORT 3가지 모델로 출시됐다. 신형 NX 하이브리드는 새로운 트랜스액슬(변속장치와 구동축이 일체형)이 적용되고, 렉서스 최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NX 450h+의 경우 전기로만 약 36마일을 주행할 수 있고, 상시 4WD을 채택했다. 6.6kW 충전 기준 2시간 30분 내로 완충되고 일반 충전의 경우 4시간 30분이 걸린다. 배터리 용량은 18.1kWh이다. 후면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기준으로 왼쪽에 연료주입구가 있고, 충전구는 오른쪽에 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터보 모델은 [[렉서스 F#s-5.2.7|F SPORT]] 트림을 선택할 수 있고 내외부 디자인, 프론트와 리어 댐퍼(스프링)가 미세하게 바뀐다. 전 세계적으로 공개된 파워트레인은 총 5가지이다.[* NX 200, NX 250, NX 350, NX 350h, NX 450h+] 대한민국에는 플러그인을 포함하여 하이브리드만 판매한다. * '''NX 200''' 2.0L 자연흡기 M20A-FKS인 NX 200은 최대 173마력을 낼 수 있으며 전륜구동이다. [[대만]]에서만 출시했다. * '''NX 250, 260[*중국전용]''' 2.5L 자연흡기 A25A-FKS인 NX 250, 260은 최대 205마력을 낼 수 있으며 전륜구동이 기본이고 4WD이 옵션이다. 0~96km 경우 8.3초다. 국내 미출시했다. * '''NX 350''' 2.4T T24A-FTS인 NX 350은 최대 275마력을 낼 수 있으며 0~96km 경우 6.8초다. 국내 미출시했다. * '''NX 350h'''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인 NX 350h 경우 2.5L 자연흡기 A25A-FXS 엔진에 2개의 전기모터가 결합해 전기모터 합산 출력 242마력이며, 0~96km 경우 7.2초다. 한국시장에 기본트림 프리미엄 6,500만원, 촤상위 트림인 럭셔리 7,440만원으로 출시했다. 한국 공인 복합연비는 14.0km/ℓ(2등급)이다. NX 450h+, F SPORT와 다르게 10인치 HUD와 파노라마 썬 루프, 마크 레빈슨 오디오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2023년에는 차량 가격이 인상돼 프리미엄 6,580만원, 럭셔리 7,530만원이다. 동년 7월 1일 개소세 5%가 적용됨에 따라 가격이 또 인상됐다. 프리미엄 6,670만원, 럭셔리 7,630만원이다. * '''NX 400h+[*중국전용], 450h+''' 렉서스 최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인 NX 450h+와 F SPORT는 2.5L 자연흡기 A25A-FXS 엔진에 고출력 전기모터가 결합해 합산 출력 307마력이며, 0~96km 경우 6.0초다. 한국시장에 71,000,000원, F SPORT는 78,000,000원으로 출시했다. 한국 공인 복합연비는 14.4km/ℓ(2등급)이고 복합전비는 3.8km/kWh이다. 1회 충전시 56km를 EV모드로 단독주행이 가능하다 한다.[* 오너들의 말에 따르면 실제론 최대 70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고 한다.] 배터리 용량은 18.1kWh이다. 다만, 한국 시장에 들여오는 450h+ 모델 같은 경우에는 350h에 있는 최상위 트림인 럭셔리 트림이 없다. 따라서 '''10인치 HUD와 파노라마 썬루프, 마크 레빈슨 오디오 시스템을 선택할 수 없다.''' 또한 트리플 빔 램프 대신 싱글 빔 램프가 탑재되어 있다. 8천만원이 넘는 중형 SUV 치곤 옵션이 많이 빈약한 편이다. F SPORT도 마찬가지이다. 트리플 빔 램프와 HUD가 장착된 대신 파노라마 썬루프를 선택할 수 없고 마크 레빈슨 오디오 시스템도 빠져있다. 2023년에는 7,380만원, F SPORT '''8,080만원'''으로 차량 가격이 인상됐다. 동년 7월 1일 개소세 5%가 적용됨에 따라 가격이 또 인상됐다. 노멀이 7,490만원, F SPORT가 '''8,200만원'''이다. == 미디어 == * [[이터널스(영화)|이터널스]] - 렉서스의 두 번째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등장으로, 2세대 NX 350 AWD 사양이 초반 런던의 광고판 속에 해당 모델이 등장한다. * [[문폴]] - 2세대 NX 350h가 자세하게 등장한다. 론치 컨드롤을 조작하는 모습과 NX 350h 모델명을 클로즈업을 하는 바람에 과도한 PPL이라는 논란이 있다. == 경쟁 차량 == * [[아우디]] - [[아우디 Q5|Q5]] * [[BMW]] - [[BMW X3|X3]] * [[메르세데스-벤츠]] - [[메르세데스-벤츠 GLC|GLC]] * [[제네시스(자동차)|제네시스]] - [[제네시스 GV70|GV70]] * [[랜드로버]] - [[랜드로버 디스커버리 스포츠|디스커버리 스포츠]],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벨라|레인지로버 벨라]] * [[볼보]] - [[볼보 XC60|XC60]] * [[재규어(자동차)|재규어]] - [[재규어 F-페이스|F-페이스]] * [[캐딜락]] - [[캐딜락 XT5|XT5]] *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 - [[인피니티 QX50|QX50]] * [[포르쉐]] - [[포르쉐 마칸|마칸]] * [[아큐라]] - [[아큐라 RDX|RDX]] * [[링컨(자동차)|링컨]] - [[링컨 노틸러스|노틸러스]] * [[마세라티]] - [[마세라티 그레칼레|그레칼레]] * [[알파 로메오]] - [[알파 로메오 스텔비오|스텔비오]] == 둘러보기 == [include(틀:렉서스의 차량)] [include(틀:렉서스 F의 차량)] [[분류:렉서스/생산차량]][[분류:2014년 출시]][[분류:중형 SUV]][[분류: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