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X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렉키 시리즈)] [목차] || [[파일:렉키 X SE 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렉키 X SE 트랜스폼.gif]] || || 트랜스폼 || [[파일:렉키 X 홍보.jpg]] >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패왕 렉키 X SE''' == 개요 == 2020년 7월 16일 [[렉키 X]], [[디멘터 HT-R]]과 같이 나온 렉키 X의 레어 버전 카트바디이자 '''최초의 X엔진 레어 등급 바이크 카트바디.''' 이전에 나온 [[축구공 X]]와 [[황금 축구공 X]]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X엔진 레어 카트바디 최초로 '''출부 120%'''[* 보통의 레어카트들은 출부110% 인데 반면, 레전드 이상의 카트바디는 전부 120%이다. 레어 등급의 바이크 중에서는 120%를 가진 경우가 많다.]옵션을 가지고 있다. 대신에 바이크 카트바디인 탓인지 부스터 슬롯이 잠겨있어 파츠 장착이 안된다. 시리즈 고유 특징인 뭉툭한 디자인과 커다란 후방 차체를 가지고 있다. == 상세 == === 한국 === || '''카트 명칭''' ||렉키 X SE || || '''획득 방법''' ||레어카트 선택권, 그린 마스터리 기어 || 2020년 7월 16일부터 동년 8월 5일까지 [[렉키 X]] 1개와 렉키 X 업그레이드 보석 1개를 조합하여 얻을 수 있었다. 시즌패스 시즌3 레어카트 선택권에서 얻을 수 있다. 2020년 11월 26일부터 동년 12월 16일까지 골스블 마술모자 실버칸에서도 얻을 수 있었다. 2021년 1월 7일자 패치로 나온 업그레이드 기어 3등급 보상에 추가되었다.(현재는 종료) 1월 21일 패치로 그린 마스터리 기어의 품목에 추가된 것이 확인되었다. === 중국 === || '''카트 명칭''' ||- || || '''획득 방법''' ||미출시 || === 대만 === || '''카트 명칭''' ||- || || '''획득 방법''' ||미출시 ||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 960 || - || - || || '''가속력''' || 919 || - || - || || '''코너링''' || 965 || - || - || || '''부스터 시간''' || 660[*🔒 파츠 슬롯 잠금] || - || - || || '''부스터 충전량''' || 1000 || - || - || ||<-4> '''속도 {{{-3 (매우빠름)}}}''' || || '''직선 속도''' ||<-3> km/h || || '''부스터 속도''' ||<-3> 302[* 일반 부스터 기준]~304km/h[* 팀전 부스터 기준] || || '''스타트 부스터''' ||<-3> 323km/h || || '''헤어핀 감속''' ||<-3> 119~125km/h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상 || || '''접지력''' ||<-3> 상 || || '''몸싸움''' ||<-3> 중하 || || '''무게중심''' ||<-3> 조금 앞 || '''레어 엔진 1.9, 레어 바퀴 6, 레어 핸들 6.5, 일반 부스터 -14'''를 기본파츠로 장착하고 있으며, 부스터 파츠는 변경이 불가능하다. 헤어핀 감속은 119~125km/h로, [[프로토 바이크 X]]와 비슷한 수치를 보여준다. 4륜과 차별화되는 바이크의 특징이 잘 살아있다. 부스터 칸이 3칸이고 게이지 충전량이 매우 높은 점 덕분에 사고회복과 라인 유지에 강하다. 또한 바이크 특유의 물리엔진 덕분에 톡톡이 유지력도 강하다.[* 톡톡이를 하던 도중 커맨드가 어긋나면 톡톡이가 도중에 끊기는데, 일반 4륜은 톡톡이가 아예 끊겨버리는 반면 바이크는 자동으로 톡톡이를 재활성화시켜 훨씬 쉽게 톡톡이를 할 수 있다.] 단, 감속과 몸싸움, 부스터 지속시간 부분에 있어서는 4륜에 비해 열세이기 때문에 높은 주행 숙련도를 필요로 한다. 렉키 시리즈 고유의 특징 덕분인지 드리프트를 하면서 날카롭게 파고들어 상대를 역전하는 플레이를 쉽게 만들 수 있다. 바이크 특유의 빨리 붙는 가속도가 시너지를 일으켜 그 체감이 크다. 다만 대중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조금 하자가 있다. 게이지 충전량 1000은 분명 높은 수치지만, JIU 엔진 바이크들의 1200에 비해서는 크게 모자라서 바이크 전용 빌드대로 가면 1미리가 남는 경우가 자주 생긴다.[* 게이지 충전량이 500인 [[흑기사 X]]도 4륜 평균인 580의 수치에 밀려 빌드가 꼬인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80만 수치가 낮아도 주행에 불편함이 생김을 감안하면 렉키의 1000의 수치는 불편함이 더욱 크게 와닿는다.] 이는 4륜과 비교해서 상당한 부스터 효율 로스를 가져오며, 게이지를 채우기 위해 드리프트시 감속을 더 줘야 하기 때문에 주행 스피드도 떨어지게 된다. 때문에 가장빠름 채널 및 개인전에서 굴리면 잠재력에 비해 떨어지는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렉키의 진가는 팀전에서 드러난다. 팀전에서는 팀 부스터 덕분에 부스터 길이와 게이지 충전량이 보완되고, 3슬롯이 있어서 팀 딜레이 문제로부터 자유롭다. 즉, 상술한 단점들이 상쇄되어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팀전에서는 다른 레어 X엔진들을 제치고 레어 1티어 위치에 군림하였으며, [[스펙터 X]]같은 레전드 하위권과 비교해도 충분히 경쟁력 있다. 이후, 타임어택에서도 팀전을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평가는 더더욱 고공행진 중. 바이크답게 몸싸움은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골든 스톰 블레이드 9]]은 뒤뚱거림이 적은 편이라 몸싸움을 견디기 쉬웠던 반면 렉키는 꽤 뒤뚱거리므로 특히 더 그래야 한다. 다만 기괴한 충돌판정으로 유명한 [[멘티스 9|멘티스]]나 [[황 9|황구]], [[붓 X|붓]], [[스팅레이 X|스팅레이]]만큼은 아니라도 후륜[* 렉키 시리즈 전통의 디자인인 뒷바퀴의 엔진파츠] 충돌판정이 상당히 괜찮은 편이라 다루기에 따라 [[https://youtu.be/Yuy3sjluhUY?t=2m46s|무시할 수 없는 몸싸움 능력을 보이기도 한다.]] 레어 엔진임에도 출부가 120% 출력 강화로 레전드 엔진과 수치가 같기 때문에[* 참고로 JIU엔진인 [[스톰 블레이드 9]] 역시 레어 등급임에도 출부가 레전드 등급과 동일한 120% 출력 강화였다.] 레전드 4륜 카트들과 출발 싸움에서 호각을 다툴 수 있다는 것 또한 이점이다. 여하튼 아직 [[프로토 바이크 X]] 이후의 첫 정식 바이크이고 레전드 등급도 아닌 이상 상위권의 4륜들과 비비기는 어렵겠지만, 전 엔진인 [[렉키 9]]를 생각해보면 자수성가한 바이크라고 볼 수 있겠다. == 탑승 선수 ==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의 선택 가능 카트바디임에도 '''아무도 이 카트를 타지 않았다.''' 일반 등급인 붓은 3번이나 나왔음에도 렉키가 선택되지 않은 이유는 X엔진 바이크 부적응과 쓸 수 있는 바이크도 이거 딱 하나, 그리고 무엇보다 바이크 특화 맵도 얼마 없었다는 것에 주목을 해야할 것이다. 또한 순정 그대로를 사용해야하고 부스터 슬롯이 잠겨있기에 극단적으로 성능이 떨어지는 붓보다 성능이 애매하게 끼어 있어서 더욱 그런듯. == 여담 == * 디자인이 원본인 [[렉키 X]]와 거의 완벽하게 일치한다. * 이번 렉키의 출시로 X엔진 바이크의 부스터 파츠는 잠겨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일부 유저들은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 사실 그전에 바이크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플라즈마 X FT]]가 출시되었을 때 부스터 파츠가 잠긴 채 나왔기 때문에 바이크 카트바디도 이런 식으로 나올 것이란 예상은 이미 되어 있었다. ] 이것을 살리기 위해 부지를 늘릴 수 있었던 JIU 엔진 때와는 달리 X엔진은 그럴 방법이 없기 때문인듯 하다. 이렇게 되면 앞으로 X엔진의 새로운 바이크 카트바디가 출시될 때마다 일반, 레어, 레전드, 유니크 등급 상관없이 부스터 파츠는 무조건 600~700 정도 사이의 일반 부스터 파츠로 고정되어서 나온다는 뜻이 된다. 차라리 장착된 부스터 파츠의 5~60%만 적용되도록 변경했으면 어떻겠냐는 의견이 나오기도. 아니면 중국 카트라이더에 존재하는 플로터의 원리[* 파츠로 인한 수치 변경이 먼저 적용된 뒤 거기에 플로터의 보정값이 더해지는 방식이다.]를 차용하여 파츠 수치에서 100을 감소시켜 실적용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 카트라이더에서 SE의 뜻은 ‘Special Edition’이다. 즉, 보석 하나를 가지고 일반 렉키를 이걸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 이벤트가 종료 된 이 시점에서 다시 안 풀어주는 거 아니냐는 말이 돌아다니는데 절대 안 풀어준다는 얘기는 없으므로 너무 걱정하진 말자.[* 시즌 패스 2 보상인 레어 카트 선택권에서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상술했듯이 디자인이 원본 렉키랑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마스터리 기어에서 다시 나온다면 원본이랑 착각할 가능성도 있기에 획득 난이도가 제법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먼저 출시된 [[프로토 바이크 X]]와 마찬가지로 탑승시 캐릭터가 작아진다. * X엔진 바이크인 렉키의 엔진음이 4륜과 동일하다. 이전의 엔진들이 4륜과 바이크의 엔진음에 차별화를 뒀던 것을 생각해보면 이례적인 셈. [[동화의 지팡이 X]]처럼 평상시 주행 때는 [[묠니르 X]]의 배기음을 적용시키다가 부스터를 발동시킬 때엔 일반적인 X엔진 카트바디의 부스터 효과음을 적용시키는 방식으로 했었어도 괜찮았을텐데 그 부분에서 아쉬워하는 유저들도 있는 편이다. * [[렉키 X]]처럼 부스터 번짐효과를 키면 화면 주변이 파란색으로 변한다. == 관련 문서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 [[렉키 X]] * [[렉키 V1]] * [[렉키 9]]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분류:2020년 출시된 카트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