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미국 리메이크 영화, rd1=렛미인(미국 영화))] ||
{{{#white '''렛미인의 수상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BBC 선정 100대 21세기 영화)]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 ||<-5>
{{{#e5d85c ''' 역대 [[새턴상|{{{#e5d85c 새턴상}}}]] 시상식''' }}} || ||<-5> [[파일:saturn-award.png|width=55]] || ||<-5> [[새턴 국제영화상|{{{#e5d85c '''국제영화상'''}}}]] || || '''제34회[br](2007년)''' || {{{+1 → }}} || '''제35회[br](2008년)''' || {{{+1 → }}} || '''제36회[br](2009년)''' || || [[이스턴 프라미스]] || {{{+1 → }}} || '''렛미인''' || {{{+1 → }}} || [[디스트릭트 9]] || ||<-5> || ---- }}} || ||<-2>
{{{#000000,#dddddd '''{{{+1 렛 미 인}}}''' (2008)[br]''Låt den rätte komma in''[br]Let the Right One 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렛미인/let_the_right_one_in_ver2.jpg|width=100%]]}}} || || '''{{{#000000,#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공포영화|공포]], [[로맨스]], [[판타지]], [[성장물|성장]]}}} || || '''{{{#000000,#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토마스 알프레드손}}} || || '''{{{#000000,#ddddd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욘 A. 린드크비스트}}} || || '''{{{#000000,#dddddd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욘 A. 린드크비스트 - 소설 《[[렛미인]]》}}} || || '''{{{#000000,#ddddd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칼 몰린더, 존 노들링}}} || || '''{{{#000000,#dddddd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카레 헤데브란트, 리나 레안데르손, 페르 라그나르 외}}} || || '''{{{#000000,#ddd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호이터 판호이테마}}} || || '''{{{#000000,#ddddd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요한 쇠데르크비스트}}} || || '''{{{#000000,#dddddd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키다리이엔티]]}}} || || '''{{{#000000,#ddddd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 샌드류 메트로놈[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키다리이엔티]][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매그놀리아 픽처스]]}}} || || '''{{{#000000,#ddd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 2008년 10월 2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11월 13일 / 2015년 12월 3일 ,,(재개봉),,}}} || || '''{{{#000000,#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14분}}} || || '''{{{#000000,#dddddd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900만 [[스웨덴 크로나]] (450만 달러)}}} || || '''{{{#000000,#dddddd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1,227,336}}} || || '''{{{#000000,#dddddd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2,122,065}}} || || '''{{{#000000,#ddddd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100,817명}}} || || '''{{{#000000,#dddddd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70px]]]]}}} || || '''{{{#000000,#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설 [[렛미인]]을 원작으로 하는 스웨덴의 공포, 로맨스 영화로, 감독은 토마스 알프레드손이다. 2015년 12월 3일에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1102000251&md=20151102094200_BL|디지털 리마스터링으로 국내에 재개봉했다]].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렛미인 스웨덴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렛미인 스웨덴 포스터2.jpg|width=100%]]}}} || || ''' 스웨덴 포스터 ''' || ''' 미국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렛미인(스웨덴 영화) 한국 포스터.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렛미인(스웨덴 영화) 한국 포스터2.jpg|width=100%]]}}} || || ''한국 포스터''' || '''한국 재개봉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Cp4g9p_rgo)]}}}|| || {{{#ffffff ''' 공식 예고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RCKWpbbsuY)]}}}|| || {{{#ffffff ''' 한국 재개봉 예고편 '''}}} || == 시놉시스 == >“내가.. 평범한 여자애가 아니어도 좋아해줄래?” >12살 소년, 영원한 사랑을 만나다.. > >눈 내리던 밤, 외로운 소년 오스칼은 옆집에 이사 온 창백한 얼굴의 소녀 이엘리를 만난다. 곧 소년의 가슴 속으로 들어온 이엘리. >두 사람은 서로에게 하나밖에 없는 친구가 되어준다. 하지만 조용하던 마을에서 기이한 살인 사건이 계속되고, 오스칼은 이엘리가 뱀파이어라는 사실을 알게 되는데… == [[렛미인#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렛미인, 앵커=등장인물)] == 설정 == === [[렛미인#뱀파이어|뱀파이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렛미인, 앵커=뱀파이어)]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let-the-right-one-in, critic=82, user=8.7)]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let_the_right_one_in, tomato=98, popcorn=90)] [include(틀:평가/IMDb, code=tt1139797, user=7.9)]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let-the-right-one-in, user=4.0)] [include(틀:평가/왓챠, code=mgOA1mO, user=3.7)]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49957, expert=8.75, audience=, user=8.51)]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46915, expert=<전문가 평점>, user=8.4)] [[로튼토마토]] 98%, 메타크리틱 82점을 찍었다. 호러 영화 전문 사이트 블러디 디스거스팅은 "호러 영화로서도 훌륭하지만, 순수한 예술 작품으로서는 더 훌륭하다. '관계'에 대한 깊은 고찰이 담긴 휴먼 스토리[* 실제로 불사의 존재 뱀파이어라는 극단적 존재에 빗대었을 뿐, 길고 긴 인간의 삶에서 어떤 사람과의 인연이든 결국 시간이 지나면 찰나의 기억이 될 뿐이란 불편한 사실을 탁월하게 표현해냈다.]"라고 극찬하며 200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 간 발표된 호러 영화 중 1위로 선정했으며, [[로저 이버트]]는 "가장 훌륭한 모던 뱀파이어 영화"라고 평가했다. [[김지운]]은 "창백한 공포, 스산한 아름다움, 하얀 눈 위의 외로움과 고립감을 탐미적 악몽으로 그려낸 공포 영화의 걸작"이라고 말했는데, 재미있는 사실은 원작자 린드크비스트가 김지운의 영화 [[장화, 홍련]]을 매우 좋아한다는 것. 두 영화의 분위기도 상당히 비슷하다. [[존 카펜터]]도 이 영화를 극찬했다. [[https://www.yahoo.com/entertainment/john-carpenter-applauds-let-one-220020652.html|#]] [[BBC]]가 선정한 [[http://www.bbc.com/culture/story/20160819-the-21st-centurys-100-greatest-films|21세기 최고의 영화 100편]] 중 94위를 기록했으며, [[엠파이어]]지가 선정한 [[http://www.empireonline.com/movies/features/best-horror-movies/|최고의 호러 영화 50편]] 중 32위를 기록했다. [youtube(XRCKWpbbsuY)] == 흥행 == 450만 달러의 제작비로 1120만 달러의 수익을 거두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렛미인, version=170)] [[분류:2008년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스웨덴 공포 영화]][[분류:스웨덴의 로맨스 영화]][[분류:스웨덴의 판타지 영화]][[분류:뱀파이어 영화]][[분류:성장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