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북한 평양시의 신도시, rd1=려명거리신도시)] [include(틀:평양시의 길거리)]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양시|{{{#white 평양시}}}]]의 [[길거리|{{{#white 길거리}}}]]'''}}}[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_White.svg|height=60]]]]||'''{{{+1 려명거리[br]黎明거리}}}[br]{{{-2 Ryŏmyŏng Street}}}'''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ongilnews.com/115887_49347_5715.jpg|width=100%]]}}} || ||<-2> {{{-1 '''▲ 려명거리의 모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여명거리3.jpg|width=100%]]}}} || ||<-2> {{{-1 '''▲ 려명거리의 모습'''}}} || ||<|2> '''구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시점'''}}}}}} [[대성구역]] 룡흥2동 / [[모란봉구역]] 전승2동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종점'''}}}}}} [[대성구역]] 룡흥1동 || ||<|2> '''조성'''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착공'''}}}}}} [[2016년]] [[4월 3일]]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준공'''}}}}}} [[2017년]] [[4월 13일]]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9.05964085279194%2c125.7585102122222,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40001; color: white" '''려명거리'''}}} {{{-2 ([[평양시]] [[대성구역]] / [[모란봉구역]])}}}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 [[평양시]]의 [[길거리]]. [[평양시]] [[대성구역]], [[모란봉구역]]에 걸쳐 있다. 신도시에 대한 내용은 [[려명거리신도시]] 문서 참조. [[영생탑]]부터 [[금수산태양궁전]]까지가 해당된다. [[김일성종합대학]]도 이 거리에 있다. [[이북 5도]] 기준으로는 [[8번 국도]]의 일부로 지정되어 있다. 려명거리의 도로는 3km 길이에 왕복 8차선이다. == 특징 == || [[YTN|[[파일:YTN 로고.svg|width=60]]]] [[뉴스 통#s-2|{{{+1 {{{#00b5e3 '''뉴스 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_-LcJx7k-U, width=100%)]}}} || || '''려명거리[br](2017년 4월 4일 방영분)''' || === 명칭 === '''려명거리'''는 [[문화어]]로, [[대한민국 표준어]]로는 '여명거리'이다. '여명'의 '여'가 원래 '려'이다 보니 두음법칙을 쓰지않는 북한에서는 '려명거리'라고 그대로 부른다. '여명'의 뜻은 '새벽이 밝아온다', '태양이 뜬다'이다. 그 '태양'이란 바로 [[김일성]]이다. 대표적인 정치색이 강한 이름.[* 또한 북한에서 '별'은 [[광명성]], 즉 [[김정일]]의 은유로 사용된다.] === 역사 === [[2016년]] [[3월 18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제2의 [[미래과학자거리]]'를 만들라면서 려명거리 건설을 지시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250151|기사{{{-2 (KBS)}}}]] [[2016년]] [[4월 3일]], 려명거리 착공식을 진행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303829|기사{{{-2 (YTN)}}}]] [[2017년]] [[4월 1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하여 려명거리 준공식을 진행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145848|기사{{{-2 (SBS)}}}]] == [[려명거리신도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려명거리신도시)] 체제선전적인 요소들이 많은데, 말했다시피 [[영생탑]]부터 [[금수산태양궁전]] 까지이다. 당연히 둘 다 이 거리에 해당되고, [[김일성종합대학]]도 여기에 있다. [[김정은]]의 지시로 [[려명거리신도시]]가 등장하고 [[마천루]][* 주변에 상가, 호텔등이 있는 일반 마천루와 다르게 여기는 아파트만 있다. 따라서 이름만 마천루일 뿐이다.]들이 곳곳에 세워진 모습으로 2017년 개장했다. 그러나, 저 건물들이 겉보기엔 뻔지르하지만 실상은 [[남북통일]] 이후에는 전부 다 철거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이유는 [[려명거리신도시|문서]] 참고. [[분류:북한의 도로]][[분류:대성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