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선전물)] [include(틀:시진핑)] ||<-2> {{{#ffffff '''{{{+2 려해료, 아적국}}}''' (2018)[br]''Amazing China''[br]''厉害了我的国''}}}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41uqu5xu122.jpg|width=100%]]}}} || || '''{{{#ffffff 장르}}}''' ||[[프로파간다]], [[다큐멘터리]] || || '''{{{#ffffff 감독}}}''' ||웨이티에([[간체자|卫铁]]・[[번체자|衛鐵]]) || || '''{{{#ffffff 각본}}}''' ||웨이티에([[간체자|卫铁]]・[[번체자|衛鐵]]) || || '''{{{#ffffff 제작}}}''' ||[[중국중앙텔레비전]] || || '''{{{#ffffff 주연}}}''' ||'''[[시진핑]]''' || || '''{{{#ffffff 제작사}}}'''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 || '''{{{#ffffff 배급사}}}'''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차이나 필름 그룹]] || || '''{{{#ffffff 개봉일}}}'''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2018년]] [[3월 2일]] || || '''{{{#ffffff 상영시간}}}''' ||90분 || || '''{{{#ffffff 월드박스오피스}}}''' ||'''$74,944,663''' ([[2018년]] [[5월 27일]] [[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8W9&id=_fAMAZINGCHINA01|기준]]) || || '''{{{#ffffff 중국 박스오피스}}}''' ||4억 7,922만 8,000[[위안]] [br]([[2018년]] [[6월 22일]] 15:25 [[http://www.cbooo.cn/m/675239|기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8년]] 개봉한 [[중국 영화]]. 기존 [[중국 공산당]]과 [[시진핑]] 정부의 선전영화로 극영화가 아닌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중국판 조국의 등불 내지 [[의지의 승리]]~~ 제목을 직역하면 대단해, 우리나라 정도의 의미가 된다. 시진핑 정부의 5년 동안 이뤄낸 성과를 선전하고는 있지만, 시진핑 본인이 나오는 건 영화 후반부고, 영화 전반부는 중국에서 이루어졌던 여러가지 국가적인 건설 프로젝트 관련 뒷이야기를 소개하면서 얼마나 성과를 냈는지 설명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시진핑]] 주석에 대한 아부성이 짙은 영화이다. 다큐멘터리 형식인데다가 [[일본 대단해|자화자찬하는 식으로 영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극영화를 기대했다면 별로 재미는 없다. [[북한]]의 기록영화보다는 영상이 세련되긴 했지만 그래도 북한 선전영화를 보는 느낌은 완전히 지울 수 없고, 어설프게 세련미를 추구하다가 이도저도 안 되는 어중간한 스타일을 보여준다. 정말 굳이 관전포인트를 잡아보자면, 고속철도 관련 이야기가 나오기 때문에 [[철도 동호인]]이 관람해 볼 수는 있겠지만 철도 동호인이라도 그냥 고속철도 다큐멘터리를 보고말지 굳이 이걸 보고싶진 않을 것이다. 제작 의도부터 [[시진핑|특정 인물]]의 신격화이기 때문에 재미나 몰입도보다는 다소 위인전같은 스타일의 영화이며 획일적인 내용으로 인해, 더군다나 이 작품이 찬양하는 대상에 대해 혐오감이 있는 인물이라면 관람하기 싫어지는 영화이다. 물론 이런 장르의 다른 영화가 아주 없는 건 아닌데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aver?code=49082|마라도나를 이런 식으로 다룬 영화]]에서는 [[디에고 마라도나]]가 잘하는 분야인 축구를 마라도나 식으로 해석해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어떠한 미화나 왜곡 없이 솔직한 내용을 담은 영화이기에 악평은 없지만 이 영화는 [[시진핑]]에 대한 맹목적인 찬양이 바로 비판의 주된 내용이다. == 시청 == ||[youtube(CT3ZdsSxgbM)]|| 프로파간다적 목적이 커서 그런지 [[중국중앙텔레비전|CCTV]]가 직접 올렸다. 이미 싫어요가 좋아요를 압도하고 있고, 댓글은 열려있으나 찬양내용이 많다. == 시놉시스 == == 등장인물 == * '''[[시진핑]]'''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8081062, user=1.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amazing-china, user=없음)]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udivitelnyy-kitay-2018-1112994, user=없음)]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54741,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152451, user=8.5)]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3240,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1110,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19873, expert=없음, user=10.0)] [[2018년]] [[3월 16일]] 기준 [[IMDb]], [[Letterboxd|레터박스]], [[엠타임]], [[다음영화]]에 항목이 있다. [[네이버 영화]]도 추가예정. [[IMDb]]에 첫평점이 떴는데, '''1.6점'''으로 [[이모티: 더 무비]]와 같은 수준으로 폭락했다.(…) 그리고 나중에는 '''1.0점'''으로 더 떨어졌다. [[중국 영화]] 사이트 [[엠타임]]에서 '''검색이 안 된다(!!)'''. 그리고 엠타임에서 검색이 안 되어서 우회적으로 링크를 들어가도 평점이 없어져 있다. '''[[중국공산당]]'''에서 '''검열조치'''한 것. 명색이 우상화 영화인데 평점이 떨어지자 검색도 안 되게 만든 것이다. 심지어 [[도우반]]에서도 똑같은 조치가 걸려있다. [[2018년]] [[3월 9일]]이 되자 [[IMDb]]평점이 '''1.0점, 그러니까 IMDb에서 매길 수 있는 최하점'''으로 떨어졌다. '''1점 비율이 무려 94.7%'''. --얼마나 재미가 없으면-- IMDb [[https://www.imdb.com/review/rw4085618/?ref_=tt_urv|평가 중 하나]]에서는 시진핑을 아예 [[위안스카이]] 2라고 쓰고, 그리고 인민대표대회도 따옴표로 쓰는 등 시진핑의 독재에 대한 야심을 신랄하게 비판했으며, [[https://www.imdb.com/review/rw4156740/?ref_=tt_urv|다른 평가]]는 CCTV 감독판이라며 깠다. [[2018년]] [[5월]]달 들어서 '''1.2점'''으로 약간 회복됐다. [[2018년]] [[6월]]에는 1.3점으로 약간 더 회복되었다. [[IMDb Bottom 100]]에 포함되어야 하는 점수인데 어떤 이유인지 IMDb Bottom 100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2018년 7월 17일 기준 3천여 표밖에 없어서 포함이 안 된 것 같다. 중국에서는 다큐멘터리 영화라서 그런지 지루하다는 평이 많다. 한편으로 이 영화의 개봉이 끝나고 나서 중국에서 사회적인 비리와 병폐에 대한 기사가 나올 때마다 "대단한 내 나라"라며 비꼬는 네티즌들도 있을 정도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778538|#]] 실제로 봐도 이런 것을 봤을 때 [[중국 공산당]] 인물 중 파란만장하게 산[* 이 셋에 대한 평가는 엇갈릴지언정 이들의 인생사가 굉장히 파란만장하다는 것 자체를 부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일대기를 재밌게 꾸몄으면, 그나마 '''볼만하다''' 하였을 것이다. 사실 세 사람만 봐도, 시진핑은 [[문화대혁명]] 때만 빼면 사람들의 맘을 사로잡는 파란만장한 일대기가 없어, 자기과시욕과 자기 위상을 선전하는 영화로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북한]]의 [[김일성]] 일가 저리 가라 할 [[프로파간다]]라고 하겠다. == 흥행 == === [[중국]] === [[2018년]] [[3월 2일]] 개봉했다. [[중국공산당]]에서는 이 영화를 보게 하려고 여러가지 수를 썼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26/0200000000AKR20180226102500097.HTML|기사]] --[[코렁탕|망하면…]]-- [[2018년]] [[2월 28일]]에 보는 [[http://www.cbooo.cn/paipian|예매율(后天)]]에 따르면, 예매율이 2%에 지나지 않아서 [[인체의 신비전|망했다.]] 그런데 예매율이 낮았음에도 스크린 독점을 했는지 실제 [[http://cbooo.cn/m/675239|박스오피스]]에서는 개봉 초반 1위를 했지만, 이후 [[홍해행동]], 탐정당인 2 등에 밀려서 3위와 4위에 그쳤다. 중국 영화시장에서는 [[공무원]]들과 그 가족들을 위주로 관람을 시켰다. [[중국 공산당]] 당원 수가 8천만 명이라 이것만으로도 수입이 나오리라 본 것인데, 실제로 '''4억 8,000만 [[위안]], 7,000만 [[미국 달러]]''' 수입을 챙겼다. 당연하겠지만 [[특별행정구]]인 [[홍콩]]과 [[마카오]]에는 개봉하지 않았다. 외국인들로 돌아가는 동네이기에 이런 영화는 흥행이 될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각주] [[분류:2018년 영화]][[분류:중국의 다큐멘터리 영화]][[분류:선전물/중국]][[분류:시진핑 시대]][[분류:국수주의/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