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의식 소환]][[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의식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가디언(유희왕), top2=숙성(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의식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SkullGuardian-DM2-JP-VG.png]]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로가디언'''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ローガーディアン'''||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Skull Guardian'''|| ||<-5><#F8F8A0> {{{#000 의식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8.] || 신마족[*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는 백마족.] || 전사족 || 2050 || 2500 || ||<-5>검 모양의 팔로 공격하는, 부정은 용서하지 않는 법의 파수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후술할 OCG판과 마찬가지로 의식 카드 '로의 기도'를 통해 의식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홀리 엘프]]와 전사족 몬스터 2장을 요구하며, 리버스시 모든 빛 속성 몬스터를 300 포인트 강화하는 효과, 악마족 몬스터와 전투시 900 포인트 강화되는 효과를 달고 나왔다. 이름으로 따지자면 로의 기도에 나오는 여성을 수호하는 전사로 추정된다. '법의 수호자'라는 뜻인 'Law Guardian'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영어명은 생김새를 보고 지은 듯한 스컬 가디언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버렸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575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한글판명칭=로가디언, 일어판명칭=ローガーディアン, 영어판명칭=Skull Guardian, 레벨=7,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2050, 수비력=2500, 효과외1="로의 기도"에 의해 의식 소환. 필드나 패에서\, 레벨의 개수가 합계 7개 이상이 되도록 카드를 제물로 바쳐야 한다.)] 먼 옛날 발매되었던 의식 몬스터 카드. 레벨 7에 2500이라는 능력치는 생각보다 많이 보이는 능력치로 그렇게까지 나쁘진 않으나 공격력이 아닌 수비력이라 쓰기 불편한 감이 있고, 공격력 쪽은 [[사이버 드래곤]] 라인조차 이기지 못하는 2050으로 상당히 낮다. 효과도 없기 때문에 수비 표시로 있기보다는 공격을 해야 상대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카드인 만큼 이 점이 더욱 답답하다. 이름 때문에 [[가디언(유희왕)|가디언]]의 일원이긴 하지만 가디언의 존재 의의인 [[웨폰 서머너]]는 [[만수의 신]]이나 [[의식의 준비]]로 더 빠른 서치가 가능한 이 카드에겐 의미가 거의 없다. 전사족 레벨 7 의식 몬스터를 원한다고 해도 공격력 2550, 수비력 2150으로 아무리 봐도 이 카드보다 더 우월한 [[가르마 스워드]]가 있기 때문에 딱히 나설 구석이 없다. 하지만 이럼에도 불구하고 이 카드는 의외로 '''최강의 빛 속성 전사족 의식 몬스터'''였다. 의식 몬스터 중 빛 속성 전사족이라고는 이 카드와 [[각성전사 쿠후린]], [[나이트 오브 포톤 드래곤]], 리메이크인 숙성된 수호자 로가디언 넷밖에 존재하지 않았다. 이 빛 속성이라는 점으로 가르마 스워드와 어느정도 차별화는 가능하다. 의식 소환 서포트로 많이 쓰이는 [[만수의 신]] 역시 빛 속성이기에 빛 속성, 전사족 서포트 쪽으로 특화하는 의미는 있다. 레벨 7에 빛 속성 전사족 하면 유명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를 [[고등의식술]]로 묻을 수 있고, 서로 상당수의 서포트를 공유하므로 정 써먹어보고 싶다면 이쪽으로 특화해보자.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듀얼퀘스트 편에서는 상점에서 파는 카드 중 하나로 등장했다. [[유희왕 캡슐몬스터즈]]에서는 유우기 일행을 위협하는 적 몬스터로 등장. [[화염의 검사]]와 [[전기 도마뱀#썬더 키즈|썬더 키즈]]를 제압해으나, 이후 [[블랙 매지션]]의 힘을 얻은 유우기에게 패배했다. 빛 속성임에도 작중에서는 '어둠의 괴물'로 취급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00-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DARK CEREMON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2-10-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P2-007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2ND SEAS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11-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TP2-K007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관련 카드 == === 로의 기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575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의식=, 한글판명칭=로의 기도, 일어판명칭=ローの(いの)り, 영어판명칭=Novox's Prayer, 효과1="로가디언"의 의식 소환에 필요. 필드나 패에서 레벨의 개수가 합계 7개 이상이 되도록 카드를 제물로 바치지 않으면\, "로가디언"은 의식 소환할 수 없다.)] 로가디언의 전용 의식 마법. 카드의 일러스트를 보면 확실히 여인이 기도를 올리고 있긴 한데, [[차크라(유희왕)|차크라의 부활]]은 가만 놔뒀으면서 왜 이 카드만 이 모양인지는 알 수 없다. 나중에 [[정령의 축복]]의 일러스트에도 등장한다. 실제로 정령의 축복으로 로가디언을 부르는 것도 가능하다.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에서는 '''이 카드를 [[아이돌 카드(유희왕)|아이돌 카드]]를 모아 놓은 팩에 로가디언과 따로 떼어서 넣어두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것 때문에 태그 포스 시리즈에서는 초반에 로가디언은 구할 수 있는데 전용 의식 마법을 구할 수가 없어서 미친척하고 쓰려고 해도 제한 카드인 [[고등의식술]]을 쓰는 것밖에 답이 없었다. 로가디언이 법의 수호자라고 하면 이 카드의 이름은 '법의 기도'가 될 텐데 뭔가 어색한 감이 있다. 이 점 때문에 일러스트에 나온 여인의 이름이 "로"고, 로가디언은 이 로를 지키는 수호기사라는 뜻이라고 해석하는 팬들도 있다. 아니면 여인이 세상의 법이 잘 지켜지기를 바라며 기도를 하고 있다는 의미인지도 모른다. 한편 영어판에서는 또 Novox라는 전혀 다른 이름로 바꾸어 버렸다. 카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일러스트의 여성의 이름은 '로'일 것으로 추정되며, [[숙성(유희왕)|숙성]] 테마가 출시되면서 이 이름에서 따온 몬스터 카드 [[숙성(유희왕)#숙성의 기도하는 손 로|숙성의 기도하는 손 로]]가 출시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00-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DARK CEREMON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2-10-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P2-008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2ND SEAS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11-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TP2-K008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숙성(유희왕)#숙성한 수호자 로가디언|숙성한 수호자 로가디언]] === 로가디언의 리메이크. [[고성대 사우라비스]], [[용희신 사피라]]와 연계 테마가 되었다. === [[숙성(유희왕)#숙성의 기도하는 손 로|숙성의 기도하는 손 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