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Lorenz Rifle}}}'''[br]''Lorenz-Gewehr''[br]''로렌츠 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renz_DornStutzen_M1854.jpg|width=100%]]}}}|| ||<-2><:> {{{#000,#ddd {{{-1 로렌츠 M1854}}}}}} || || '''종류''' ||[[머스킷|강선 머스킷]]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제국)]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
{{{#White '''이력'''}}} || || '''역사''' ||[[1855년]]~[[1867년]] || || '''개발''' ||요제프 로렌츠 || || '''개발년도''' ||[[1852년]]~[[1854년]] || || '''생산년도''' ||[[1854년]]~[[1867년]] || || '''생산수''' ||688,800정 || || '''단가''' ||$14~18 (1861년)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제국)][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깃발, 문서=아메리카 연합국, 파일명=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1-1863))][br][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제2제국)][br][include(틀:국기, 국명=사르데냐 왕국)][br][include(틀:국기, 국명=작센 왕국)][br][include(틀:국기, 국명=몬테네그로 공국)] || || '''사용된 전쟁''' ||[[이탈리아 통일#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br][[남북전쟁]][br][[1월 봉기]][br][[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br][[제2차 프랑스-멕시코 전쟁]][br][[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br][[이탈리아 통일#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br][[프랑스-프로이센 전쟁]][br][[태평양 전쟁(남아메리카)]] || ||<-2> {{{#White '''기종'''}}} || || '''파생형''' ||M1854[br]M1862[br]Zündnadelgewehr Ö/M[br][[벤츨 소총]][br]로렌츠-피보디 1871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547 [[총알/탄자의 종류#로렌츠 탄, Lorenz bullet|로렌츠 탄]] || || '''급탄''' ||[[전장식]][br]단발 || || '''작동방식''' ||[[퍼커션 캡]] || || '''총열길이''' ||952.5mm || || '''전장''' ||1,337mm || || '''중량''' ||4.28kg || || '''탄속''' ||373m/s || || '''유효사거리''' ||225m || || '''최대사거리''' ||675m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DrQC891dhOc)] [[오스트리아 제국군]]의 [[제식 소총]]/[[머스킷|강선 머스킷]]. == 역사 == [[오스트리아 제국]]의 장교였던 요제프 로렌츠(Joseph Lorenz)가 개발했으며, [[1854년]] 기존의 제식 총기였던 [[https://en.wikipedia.org/wiki/Augustin_Infantry_Musket_Model_1842|아우구스틴 M1842 머스킷]]을 대체하는 오스트리아군의 새로운 제식 소총으로 채택되면서 [[1855]]년부터 오스트리아군에 보급되기 시작한다. 당시 오스트리아 국영 [[조병창]]이 생산할 수 있는 데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생산 물량은 민간 업체에 위탁되었다. 이러한 민간 업체들 중에는 빈 조병창 등 정밀한 총기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도 있는 반면 총기를 제작하기 위한 정밀 기술이 부족한 업체도 있었기 때문에 군에 지급된 로렌츠 소총의 품질은 그 편차가 심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생산 능력이 부족해서 1859년까지도 전군에 로렌츠 소총을 보급하지 못하고 있었다. 로렌츠 소총의 첫 실전 투입은 [[1859년]] 발발한 [[이탈리아 통일#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으로, 비록 오스트리아가 전쟁에서 졌으나 총의 성능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그 외에도 [[제2차 프랑스-멕시코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지원군이 사용했으며, [[발칸 반도]]에서도 일부 사용되었다. 로렌츠 소총은 특히 [[남북전쟁]]에서 남군 북군 가리지 않고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는데, [[미국]]에서 226,000정 이상을, [[아메리카 연합국]]에서 100,000정을 수입하면서 [[스프링필드 M1861]], [[패턴 1853 엔필드]]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총기로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총의 선호도는 스프링필드나 엔필드에 비해서 떨어졌는데, 일정하지 못한 품질 문제도 있고 중고품을 들여오다보니 총도 낡은 상태였으며 후술할 탄약 호환 문제로 인해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때문에 이러한 저질 로렌츠 소총은 대부분 스프링필드나 엔필드를 [[노획]]하면 바로 버려지는 처지였다. 로렌츠 소총은 [[1862년]] 추가 개량을 거치고 계속 오스트리아 제국군의 제식 총기로 사용되었는데, 이후 [[1866년]] 벌어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프로이센 왕국군]]의 [[후미장전식]] [[드라이제]] 소총에 명백한 열세를 보이면서 완전히 도태되고 만다. 전쟁이 끝나고 오스트리아는 로렌츠 소총 70,000정을 브리치로딩 방식의 [[벤츨 소총]]으로 개조하여 [[베른들 소총]]으로 전군 교체가 완료될 때까지 사용했다. 또한, 많은 양의 로렌츠 소총을 노획한 [[프로이센 왕국]]은 이 중 35,599정을 드라이제와 같은 후장식 소총으로 개조한 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활용했다. == 특징 == || [youtube(pdlRMlhVgeA,start=372)] || || 로렌츠 탄에 대한 [[건들건들]]의 소개 영상 || 로렌츠 소총의 디자인은 당대의 [[퍼커션 캡]] 방식의 강선 머스킷인 [[패턴 1853 엔필드]]와 유사했고 총 자체만 봤을 때 특별한 점은 없으나, 로렌츠 소총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 탄환인 [[총알/탄자의 종류#로렌츠 탄, Lorenz bullet|로렌츠 탄]](Lorenz Bullet)이었다. 로렌츠 소총과 동시에 개발한 탄환으로, 동시기 [[미니에 탄]]과 형상이 유사했으나 그 원리는 전혀 달랐다. 미니에 탄은 격발 시 탄환 후단의 오목한 부분이 확장되면서 강선에 맞물렸으나, 로렌츠 탄은 후면부가 평평한 데 비해 측면에 깊은 홈을 파 놓아 격발 시 가스압이 탄을 압축시켜 강선에 밀착시켰다. 그 덕분에 탄환의 형태가 단순화되어 제작 공정이 간편했으며, 구경도 미니에 탄보다 작아 탄속도 빠르고 탄환의 밀도도 높아 살상력이 더 우월했다. 그야말로 전장식 탄환의 최종형태라고 봐도 될 정도. 그러나 남북전쟁에서는 그 성능을 온전하게 발휘하지 못했는데, 앞서 언급된 총의 품질 문제도 있었지만 이 탄약 문제도 무시할 수 없었다. 북군에서는 로렌츠 소총에 미군 표준 탄을 호환하기 위해 총열을 .54구경에서 .58구경으로 인위적으로 넓혔다. 남군에서는 .54구경 상태 그대로 사용했는데, 전용 탄약이 아닌 같은 구경의 [[https://en.wikipedia.org/wiki/M1841_Mississippi_rifle|M1841 미시시피 소총]]의 탄약을 사용하다 보니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또한 오스트리아가 제작한 교범에는 로렌츠 소총의 사용 및 유지관리 방법이 적혀 있었으나 이를 [[영어]]로 번역해 배포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개판이 되었다. 결정적으로 로렌츠 탄이 나왔을 때는 드라이제로 대표되는 [[탄피]]를 이용한 후미장전식 총기가 대세가 되어 가고 있는 추세였기 때문에 큰 빛을 보지 못하고 도태될 수밖에 없었다. == 파생형 == * '''M1854''' 기본형. * '''M1862''' M1854의 개량형. .58구경 미니에 탄도 사용할 수 있게끔 총열이 두꺼워졌으며, 품질이 중구난방이었던 M1854에 비해 품질이 비교적 일정했다. * '''Zündnadelgewehr Ö/M''' 프로이센 왕국이 노획한 M1854를 후장식 소총으로 개조한 버전. * '''[[벤츨 소총]]''' * '''로렌츠-피보디 1871(Lorenz-Peabody 1871)''' [[파일:로렌츠 피보디.jpg|width=500]] * '''[[자스타바 M1867]]''' 벤츨 소총의 사례 외에도 [[세르비아 공국]]에서 약 30,000정의 M1854를 피보디 시스템을 적용한 브리치로딩 시스템으로 개조했으며, [[https://en.wikipedia.org/wiki/Serbian%E2%80%93Ottoman_Wars_(1876%E2%80%931878)|세르비아-오스만 전쟁(1876~1878)]]에서 사용되었다고 전해진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로렌츠-피보디, version=6, title2=로렌츠 피보디, version2=9)] == 참고 자료 == * [[https://en.wikipedia.org/wiki/Lorenz_rifle]] * [[https://guns.fandom.com/wiki/Lorenz_rifle]] * [[https://www.tonis-zuendnadelseite.de/oem.html]] * [[http://www.hungariae.com/Lorenz.htm]] [[분류:소총]][[분류:전장식 총기]][[분류:보병 무기/근대]][[분류:1870년 이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