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의미의 로마 왕, rd1=로마 왕)] [include(틀:신성 로마 제국)] [목차] == 개요 == [[신성 로마 제국]]의 '''로마 왕(Rex Romanorum)''' 직위는 엄밀한 의미로는 '로마인의 왕'을 의미하는데, 중세 시대에는 제후들에 의한 '''[[황제선거]] 이후 로마에서 교황에 의한 대관식이 치러지기까지 황제의 지위'''를 의미하는 말이었다.[*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선출은 지도자들의 회의를 소집해 중요한 자리의 임명을 결정하던 고대 게르만족의 관습에서 기원한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세워진 [[프랑크 왕국]] 등 여러 게르만 국가에서는 형식적으로라도 선출을 거쳐 왕위에 오르는 경우가 많았다. [[카롤루스 대제]] 역시 부분적으로 선출 형식을 거쳐 왕이 되었다. 10세기 동프랑크 왕국 말기 왕권이 약화되고 각 [[부족 공국]]들의 자치권이 강화된 상황에서 [[루트비히 4세|유아왕 루트비히]]가 후사없이 사망하여 카롤링거 왕조가 단절되자, [[5대 부족 공국]] 공작들의 선출에 의해 [[콘라트 1세]]가 차기 왕으로 결정된 이래로, 중세 독일에서는 유력 제후들의 선거로 왕을 결정하는 관습이 유지되었다.] 이 말은 때에 따라 '''독일 왕(Rex Teutonicum/Teutonicorum)'''이라는 말과 혼용되었다. 한편으로 [[프리드리히 3세]] 시대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의 황제들은 생전에 후계자들은 로마 왕/독일 왕으로 선출하는 것을 관습화하면서 사실상 제위를 세습하기 시작했고, 근대 초기부터 로마 왕/독일 왕 칭호는 사실상 제위 계승자(황태자)를 의미하는 칭호가 되었다. 현대 역사 관련 서적에서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 독일왕이라는 명칭을 선호하는 편이다. 일부 사학자들은 Römisch-Deutscher König(韓 : 로마-독일 왕/英 : Roman-German King) 같은 표기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현재 [[독일어권]]에서는 이 표기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 역사 == 기본적으로 [[962년]] [[오토 대제]]의 서로마 황제 대관 이후 그의 후계자들은 '''로마인의 황제(Imperator Romanorum)'''라고만 불렸다. 또한 그와 함께 프랑크인의 왕(Rex Francorum) 혹은 프랑크 왕국(Regnum Francorum), 동프랑크 왕국(Regnum Francorum orientalium)과 같은 말도 계속 사용되었다. 한편 11세기 초 [[오토 왕조]]의 마지막 군주인 [[하인리히 2세]]의 시대에 이르러 '''로마인의 왕(Rex Romanorum)'''과 '''독일인의 왕(Rex Teutonicorum)''' 및 '''독일 왕국(Regnum Teutonicum)'''이라는 말이 점차 사용되기 시작했다. 전자는 로마에 대한 황제의 권위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후자는 오토 왕조 시기 이탈리아 왕국 및 부르군트 왕국과 구별되는 [[독일 왕국]] 개념이 형성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이후 [[잘리어 왕조]]의 황제 [[하인리히 4세]]와 교황 [[그레고리오 7세]] 간의 서임권 투쟁 시기에 그레고리오 7세는 황제의 권위를 독일 내로 제한하려는 의미로 독일 왕/독일인의 왕(Rex Teutonicorum)이라는 말을 의도적으로 사용한 반면, 하인리히 4세는 [[1084년]] 대립 교황 클레멘스 3세에 의한 대관식을 치르기 전까지 로마 왕/로마인의 왕(Rex Romanorum)을 자신의 직위로 내세웠다. 이후 시대부터 제후들에 의해 황제가 선출된 후[* [[황제선거]]는 일반적으로 [[프랑크푸르트|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치러졌다.] 황제가 카롤루스 대제의 도시 [[아헨]]에서 '로마 왕'으로서의 대관식을 치르고, 나중에 로마 교황에 의해 정식으로 황제로 대관하는 절차가 관습적으로 정착되었다.[* 이는 [[1356년]] [[금인 칙서]]를 통해 명문화되었다.][* 중세 동안 아헨에서의 대관식은 쾰른 대주교가 주재하였으나, 16세기 무렵부터 최선임 선제후인 마인츠 대주교의 이의 제기로 쾰른 대주교가 아니라 마인츠 대주교가 대관식을 주관했다.] 이로써 중세의 '로마 왕'은 아헨에서 대관식을 치른 후 로마에서 교황이 주재하는 대관식을 치르기 전까지 황제의 직위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 [[오토 왕조]] 이후 제국의 황제들은 후계 세습을 확고히 하기 위해 황제 생전에 후계자를 미리 공동 통치자로 선출하기도 하였기에,[* [[오토 2세]]는 [[961년]] 6세의 나이로 공동 왕(Mitkönig)으로 선출된 후 [[967년]]에는 제국 역사상 유일한 공동 황제로 선출되기도 하였고, [[오토 3세]] 역시 [[983년]] 공동 왕으로 선출되었다. [[잘리어 왕조]] 역시 [[1028년]]에 하인리히 3세가, [[1054년]]에는 하인리히 4세가 불과 4세의 나이로 아버지인 전임 황제 생전에 공동 왕으로 선출되었다.] 하인리히 4세 이후 로마 왕이라는 칭호는 제국의 후계자를 의미하기도 했다. 하인리히 4세 시대에 아들인 콘라트와 [[하인리히 5세]]가 그러하였으며, [[슈타우퍼 왕조]] 시기에도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 시대의 [[하인리히 6세]], [[프리드리히 2세]] 시대의 [[하인리히 7세(독일)|하인리히 7세]]와 [[콘라트 4세]]가 그러했다. 또한 [[1198년]] [[필리프(신성 로마 제국)|필리프]]와 [[오토 4세]]가 이중으로 로마 왕에 선출된 이래로, [[1356년]] 금인 칙서를 제정하여 [[황제선거]] 규정을 명확히 하기 전까지 제국 내 권력 구도에 따라 [[대립왕]](Gegenkönig)이 선출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편으로 독일왕 개념 역시 로마 왕과 병행하여 발전하였다. 12세기 슈타우퍼 왕조 시대의 주교이자 중요한 역사가인 [[오토 폰 프라이징]]은 연대기에서 당대인들이 하인리히 1세를 기점으로 독일 왕국이 프랑크 왕국을 대체하였다고 여기고 있다고 기록했다. 13세기에 이르러 황제 [[프리드리히 2세]]는 시칠리아의 통치에 전념하고 자신의 아들 [[하인리히 7세(독일)|하인리히 7세]]를 '독일 왕(Rex Alemannie)'[* 슈타우퍼 왕조의 권력 기반이 슈바벤(알레마니아)였기에 슈타우퍼 왕조 시대에는 독일을 일컫는 명칭이 Teutonicum 대신 Alemannie로 대체되기도 하였다.]으로 선포하여 독일의 통치를 위임하였고, 이로써 '독일 왕' 역시 '로마 왕'과 병행하여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대공위시대]] 이후 중세 후기의 제국에서는 [[합스부르크 가문]], [[비텔스바흐 가문]], [[룩셈부르크 가문]] 등 대귀족 가문이 번갈아가며 제위에 선출되었고, 이 시기에는 [[카를 4세]]를 제외하고는 생전에 자신의 후계자를 로마 왕으로 선출하여 제위 세습을 관철하지 못했다.[* 카를 4세의 성공 역시 후계자인 [[벤첼]]의 무기력한 치세로 인해 그 의의를 잃었다.] 한편으로 황제 선출에 대한 교황의 권한은 점차 약해지기 시작했다. 비텔스바흐 가문의 [[루트비히 4세]]는 [[1314년]] 합스부르크 가문의 프리드리히 미남왕과 이중으로 선출된 이후 제위를 둘러싼 경쟁에서 승리하면서 [[1328년]] 교황의 승인 없이 로마에서 대관식을 치렀다.[* 여기에는 독일 내에서 대공위시대를 거치며 교황이 황제를 견제하는 수단으로 대관식을 치러 주지 않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확산된 것이 한 이유였다.] [[1338년]] '''렌스 선거인 협회(Kurverein von Rhense)'''는 황제 선출 과정에서 교황을 배제하고 대공위시대 이후 점차 관습화되어 가고 있던 7인의 선제후에 의한 황제 선출을 확인하였고, [[1356년]] [[금인 칙서]]는 이를 명문화하였다. 15세기 [[프리드리히 3세(신성 로마 제국)|프리드리히 3세]]와 [[막시밀리안 1세(신성 로마 제국)|막시밀리안 1세]] 시대에 제국은 구조적으로 결정적인 변화를 겪었고, 로마 왕 직위 역시 마찬가지였다. [[1486년]] 프리드리히 3세는 자신의 생전에 아들인 막시밀리안 1세를 로마 왕으로 선출함으로써 합스부르크 가문에 의한 제위 세습의 길을 열었다. 막시밀리안 1세는 [[1508년]] 교황 없이 황제 대관식을 치렀고, 황제의 공식 명칭을 '''선출된 로마 황제(Electus Romanorum Imperator)'''[* [[독일어]]로는 Erwählter Römischer Kaiser.]로 바꾸었다. 이 칭호는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이후 막시밀리안 1세의 손자이자 후계자인 [[카를 5세]]를 제외하고는 교황의 대관을 받은 황제는 없었다. 또한 막시밀리안 1세 시대부터 황제의 직위에 Germaniae Rex, Rex in Germania, König in Germanien과 같은 형태로 '독일 왕'의 지위가 추가되기 시작했다. 이후 황제 생전에 미리 선거를 실시해 후계자, 즉 황태자를 결정하던 제국 초기의 세습 방식은 [[카를 5세]] 시대를 거치며 완전히 부활하였다. [[카를 5세]]는 각지에서 전쟁과 반란이 끊이지 않는 위급한 상황에서 제위를 안정시키고자 자신의 통치 기간 중인 [[1530년]] 미리 후임 황제 선거를 실시하였는데,[* 카를 5세는 친가, 외가를 통해 상속된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게 되었는데, 본인은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에서 각종 전쟁을 수행하고 반란을 진압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따라서 복잡한 독일 문제는 동생에게 위임하여 동생이 독일을 통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여러 작위 중 제위의 바탕인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동생에게 넘겼고, 이후 독일에서 벌어진 종교문제와 오스만 투르크와의 전쟁은 전적으로 동생 [[페르디난트 1세]]가 도맡았다. 이어 1530년 미리 차기 황제 선거를 치루어 동생이 차기 황제로서 독일을 다스릴 수 있도록 했다. 카를 5세는 만년에 황제직을 아들 [[펠리페 2세]]에게 물려주려고 동생 페르디난트 1세가 독일에서 가지고 있는 권력을 회수하려 시도했으나, 이미 독일에서 확고한 권력 기반을 다진 페르디난트 1세에 밀려 실패했다. 결국 카를 5세는 제위는 동생에게, 스페인과 [[이탈리아 반도]]의 [[밀라노 공국|영]][[나폴리 왕국|토]] 및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저지대 지방]]은 아들에게 양위하고 스페인으로 은퇴했다.] 그 결과 단독 후보였던 동생 [[페르디난트 1세]]가 로마 왕으로 선출되었다. 페르디난트 1세는 카를 5세 퇴위 후 정식으로 황제 자리에 오를 때까지 로마 왕(독일 왕)이라는 직함을 가지게 되었다. 페르디난트 1세 이후에는 합스부르크 가문이 안정적으로 제위를 세습하게 되면서 황제의 재위 기간 중 차기 황제 선거를 치루어 그 아들이 로마 왕에 오르는 전통이 재정착되었다. 선출된 로마 왕은 선황이 승하한 후 곧바로 황제에 즉위하였다. 때문에 이후 로마 왕은 사실상 신성 로마 제국의 '''[[태자|황태자]]'''를 뜻하는 칭호가 되었다. == 명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성 로마 제국/역대 황제)] [[분류:태자]][[분류:왕위 계승자]][[분류:유럽의 왕작]][[분류:독일 국왕]][[분류:신성 로마 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