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대외관계)] [목차] == 개요 == 지중해에 위치한 로마와 동북아시아의 중국 모두 서로의 존재는 알고 있었다. 하지만 두 나라가 유라시아 대륙의 양 끝에 있어 사이에 가로막고 있는 세력이 상당히 많다보니 서로 간의 정보는 매우 부정확했다. 특히 지금 [[이란]]의 조상인 [[파르티아]]가 둘 사이를 이어주면서도 둘이 직접 교류하는 걸 최대한 방해하기도 했다. 둘 사이를 중개하던 본인들의 경제적 이익이 컸기 때문. 게다가 로마 제국의 역사는 [[대륙의 기상]]으로도 이해하기 힘들만큼 온갖 풍파를 겪어왔기 때문에 더욱 판단에 방해가 되었다. 애초에 로마는 [[라티움]]이라는 비교적 풍요롭지만 여전히 촌동네던 곳의 [[라틴]] 부족에서 기원하였고, 후에는 [[지중해]] 전체를 장악하면서 여러 다민족 출신의 구성원들이 로마인이라는 한가지 정체성으로 동화되어 라틴인이라는 특정 민족만의 국가가 아닌 지중해 권역의 보편 국가가 되었을 뿐더러, 나중에는 국교도 어느새 [[기독교]]로 바뀌었으며, 게다가 [[서로마]]가 멸망하면서 제국의 반이 날아가버렸고, 고토를 상당히 수복했던 [[동로마]]도 결국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의 여파와, [[사산 제국]]와의 격전, 결정타로 이슬람 세력의 발흥으로 영토를 대거 상실해서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만 남아있었으며, 아나톨리아 마저도 내륙은 룸 셀주크 술탄국에 빼앗기고, [[콤니노스 왕조|콤니노스]] [[중흥]]기[* 중흥기가 매우 이례적으로 여러 번 존재했다. 해당 문서로.]를 끝으로 세력이 계속 축소되다가 나중에는 [[펠로폰네소스 반도]](모레아)와 [[콘스탄티노플]]만 남긴채로 버티다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수도가 함락되면서]] 장렬하게 최후를 맞이했다. 중국이 거친 [[위진남북조]] 시대를 생각해도 엄청나게 혼란한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헷갈리지 않는 것이 이상할 정도. 그리고 이 모든 일은 '''2,200여년'''에 걸쳐 이루어졌고, 그 사이에 중국은 '''[[춘추전국시대]]에서 [[명나라]]까지''' 별의 별 일이 있었는데, 대진국이 아직까지 멀쩡히 있다는 건 중국 대륙 기준으로도 놀라울 일이었다. 그 중국도 몇 차례의 [[역성혁명]]과 이민족의 정복과 분열 및 통일을 거치며 이[[천하통일|합집]]산을 거듭해왔는데, 대진국이란 나라가 안 망하고 계속 살아있다는 건 믿기 힘들 수 밖에 없다. == [[고대 로마]] == 고대 로마는 "대진국"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서쪽 멀리 있는 꽤 대단한 나라 정도로 인식된 듯하다. 서기 97년, 한나라는 로마 제국에 공식적인 외교 사절로서 감영을 파견하여 교류하려 시도한 적이 있었고 호위를 위한 장군도 붙여주는 등 꽤나 성대한 규모였으나, [[파르티아]]를 지나다 방해받으면서 좌절되고 말았다. 파르티아가 지정학적 위치상 동서양 중계 무역로로서 이득을 보고 있었기 때문에 혹시라도 직통루트 뚫지 않을까 우려한 것. 다만, 감영은 당시의 [[로마 제국]]이 양자에게 제위를 세습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는 것을 정확하게 알아내는 성과를 내었다[* 당시의 [[로마 제국]]은 [[오현제]]의 치세가 진행되던 시절로, [[네르바]] 황제는 양자 [[트라야누스]]에게 제위를 물려주었다.] 166년에는 로마의 사절을 자처하는 선박이 도착, 이들 때문에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후한서]]에 '대진왕 안돈(大秦王 安敦)'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이로써 안토니누스 피우스는 [[중국]] 역사서에 언급된 최초의 로마 황제가 되었다. 아직 사산조가 등장하기 전 시점에서도, 사실 기원전에는 [[아프가니스탄]]과 [[인도]]에 각각 [[박트리아#s-3|그리스계]] [[인도-그리스 왕국|왕국]]이 100년 정도 존재한 적이 있는 등, "[[형이 왜 거기서 나와|왜 이 양반들이 여기서 나와?]]" 소리가 나오는 일이 꽤 있는지라 교류하는 중국 입장에서는 굉장히 헷갈렸을 듯 하다. 중간에 그리스 문화가 로마의 주류 문화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기도 하고. 게다가 사산조가 대두될 쯤에 와서는 로마가 기독교로 개종해버렸다. 게다가 중세 중반쯤에 와서는 [[동서 대분열]]까지 일어나 버렸다. 위략에는 고대 공화정 로마의 [[독재관]] 제도에 대해 꽤 정확한 서술이 있고, 후한서에는 앞서 언급한 166년에 최초로 대진국에서 바친 조공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대진국 선박이 도착한 위치가 베트남인 데다가 조공품이라고 기록된 것[* 코끼리가 있다고 인도에서 보낸거 아니냐고 생각하기도 하는데 저 시대에는 로마 제국이 [[북아프리카]]를 멀쩡히 가지고 있었고 당연히 코끼리가 있었다. 하지만 뭔가 진기한게 하나도 없어서 (저 시절엔 중국에도 코끼리가 멀쩡히 있었다.) 미심쩍은 것. 후한서에도 진귀한 것이 없다며 뭔가 이상하다고 기록되어있다.]도 뭔가 허술하고 로마 역사서와의 교차 검증이 되지도 않는다.[* 시점상 로마 쪽에 기록이 깔끔하게 남기 좀 어렵긴 하다.] 애초에 후술하는 "불름국"과의 교류와 마찬가지로 당대에도 그 이후에도 진짜 대진국이 보낸 조공인지 미심쩍어했다. > 대진국(大秦國) 일명 이건(犂鞬)이라고도 한다. 바다 서쪽에 있기 때문에 해서국(海西國)이라고도 부른다. 그 땅의 둘레는 수천 리이며 400여 개의 성들이 있고 복속하고 있는 소국들도 수십이다. 돌로 성곽을 짓고 우정(郵亭)을 줄지어 설치했으며, [[시멘트|모두 석회로 그것을 칠한다.]] 소나무와 동백나무와 여러 나무들 및 갖가지 풀들이 있다. 사람들의 풍속은 힘써 농사를 짓는 것이며, 많은 사람들이 뽕나무를 심는다. 모두 머리를 깎고(髡頭) 무늬가 수놓여진 의복을 입으며, 가벼운 수레나 흰 덮개가 달린 조그만 수레를 타고, 출입할 때에는 북을 치며 각종 깃발을 내건다. 거처하는 성읍은 둘레가 100여 리이고, 성 가운데에는 5개의 궁이 있는데, 서로 떨어진 거리가 각각 10리이다. 궁실에는 모두 수정으로 기둥을 세웠고 식기도 역시 그러하다. 그 왕은 하루에 하나의 궁에서 지내기 때문에, 사무를 보는 것이 닷새가 지나면 (다섯 궁 전체를) 돌아다니게 된다. 항상 사신 1명에게 주머니를 지참하고 왕의 수레를 따라다니게 하는데, 사람들이 말하고 싶은 사항이 있으면 곧 글을 써서 그 주머니 안에 던져 넣고, 왕이 궁에 도착하게 되면 (주머니를) 열어서 그 옳고 그름을 심리한다. 각각의 문서를 관리하는 관아가 있다. 36장(將)을 설치하고 모두 모여서 국사를 논의한다. 그 왕은 고정된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모두 모여서 현명한 사람을 뽑아서 세운다. 나라 안에 재난이나 풍우가 갑자기 생겨나면 그를 곧 폐위하고 다른 사람을 바꾸어 세우며, 축출되는 사람은 즐겨 물러나지 원망하지 않는다. 그 사람들은 모두 신체가 장대하고 마음은 평정하여 중원의 나라와 닮은 바가 있으므로 그런 연유로 ‘대진’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 > (중략) > > 대저, 바깥 나라의 여러 진기한 물품들이 모두 나온다. 금은으로 화폐를 만들고 은전 10닢이 금전 1닢에 해당된다. [[파르티아|안식]]·천축(天竺)과 바다 가운데에서 교역하며 이익은 10배가 남는다. 그 사람들은 소박하고 정직하며 시장에는 두 가지 가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곡식은 항상 값이 싸며 나라의 경비는 풍부하다. 이웃 나라가 사신을 보내 그 경계에 도착하여 신고하면 역마에 태워서 왕도(王都)로 보내며, 도착하면 즉시 금전을 지급한다. 그 왕은 항상 한나라와 사신으로 소통하기를 원하지만 안식이 한나라의 채색 비단(繒綵)을 그들에게 건네주며 장사를 하기 때문에, 중간에서 차단하고 막아서 그들 스스로가 한나라에 도달하지 못한다. 환제 연희 9년(166) 대진왕 안돈(安敦)이 일남(日南)의 변경 밖에서 사신을 보내 상아·서각(犀角)·대모(瑇瑁)를 헌상했는데, 이것이 처음으로 한 번 교통한 것이다. 그들이 상표를 올려 공물을 바친 것은 모두 진기한 것이 없었으니, (대진에 관한 내용을) 전하는 사람들이 과장한 것이 아닌가 의심스럽다. 혹자는 이르기를, 그 나라의 서쪽에 약수(弱水)와 유사(流沙)가 있고, 서왕모(西王母)가 거주하는 곳이 가까우며, 태양이 들어가는 곳과 가깝다고 한다. 『한서(漢書)』에 기록된 바 “조지에서 서쪽으로 200여 일을 가면 태양이 들어가는 곳과 가깝다.”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오늘날의 책(今書)과는 다른 것이다. 과거에 한나라 사신들이 모두 오익산리까지 [갔다가] 돌아왔기 때문에 조지에 도달한 자가 없었다. 또한 이르기를, “안식에서 육로로 바다를 돌아서 북쪽으로 가면 바다의 서쪽으로 나와 대진에 이르게 된다. 사람들은 서로 연이어 살고 있고, 10리마다 1정(亭)이 있고 30리마다 1치(置)가 있으며, 도적의 약탈을 알리는 경보는 시종일관 없다. 길에는 사나운 호랑이와 사자가 많아 여행자들을 막고 해를 끼치는데, 100여 명이 안 되면 무기를 갖고 가야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주 잡아먹히는 바가 된다.”라고도 한다. 또한 이르기를, “비교(飛橋)가 수백 리나 뻗쳐 있어 가히 바다 북쪽으로 건너갈 수 있다.”고 한다. 여러 나라에서 나오는 기이한 옥석과 여러 물건들에 관한 이야기는 거짓과 괴이함으로 가득차 대부분 황당한 내용이므로 여기에 기록하지 않겠다. >---- > [[후한서]] [[http://contents.nahf.or.kr/search/itemResult.do?levelId=jo.k_0003_0118_0110_0010&setId=152412&position=2#self|번역출처]] 후한서의 기록을 끝으로 공식적인 역사 기록엔 공식적으로 "대진국의 왕" 명의로 보내진 조공은 없다고 되어있다[* 다만, 같은 시기에 [[로마 제국]]에서 온 상인들이 [[오(삼국시대)|오나라]]의 [[손권]]([[삼국지]]에 나오는 그 사람)을 알현했다는 기록은 있다.]. 사실 전근대 중국에선 무역대금 지불 혹은 선물=대중화 위엄에 굴복하며 조공으로 생각한지라 그냥 선물 같은걸 줬을수도 있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로마 제국|로마인]]의 후손들이 [[전한]] 시기의 [[중국]]에 일부 정착했다는 떡밥이 돌았고, 그 장소가 바로 중국 [[간쑤성]]의 [[융창 현]]에 있는 [[https://en.wikipedia.org/wiki/Liqian|리첸]]이라는 마을이다. 리첸마을 주민들이 [[유라시안]]의 모습을 띄고있기에 이 리첸 마을의 주민들의 조상이 [[카르헤 전투]] 당시에 로마 공화정의 집정관인 [[크라수스]]의 지휘 하에 [[파르티아]]군과 싸웠다가 패배하여 포로가 된 로마인 병사들이라는 설이 있다. 기원전 36년 질지 공성전 당시 흉노군 보병들이 물고기 비늘처럼 밀집 대형을 이루며 싸웠다는 기록이 있는데, 덥스는 이들을 파르티아에 포로로 잡힌 로마군으로 추정했지만 당시 중앙아시아에서 중무장하고 밀집 대형으로 전투를 벌이는 보병이 인도-그리스계나 소그드계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학계는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 여하튼 당시 한나라 군에게 사로잡힌 흉노 포로 상당수가 간쑤성 각지에 정착했다. 해당 지역 주민들의 [[하플로그룹]]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리첸 내 자래채(者來寨) 마을 주민들의 하플로그룹의 56%는 캅카스 계통 남성의 하플로그룹에 속하지만 로마인 후손이라는 증거는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다가 [[간쑤성]]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가까운 곳이고, 과거에 [[토하라인]], [[에프탈]]인, [[바스밀]]족 등의 [[인도유럽어족]]계 혹은 [[튀르크]]계 주민들이 살던 곳이라서 이곳의 한족들은 그들과 오래 전부터 혼혈이 있었던 지라, 실제로 [[로마 제국|로마인]]의 피가 섞였는지를 알기가 어렵다. 하지만 로마인의 피가 흐르는 [[중국인]] 마을이라는 떡밥은 지역 관광산업 육성에 있어 좋은 이슈가 되었고, 그래서 [[고대 로마]]의 군인들의 사열식을 재현하는 행사를 마을 축제마다 실시하고 지역예산 및 투자자금을 들여 로마식 건축물들도 마을 곳곳에 들어섰다. 중국 내의 작은 이탈리아 마을이 된 셈이다.[* 이와 관련해서 나온 영화가 [[드래곤 블레이드: 천장웅사]]다.] == [[중세 로마]] == 중세 로마는 "불름국(拂菻國)[* 고대 페르시아어로 로마Rome에 접두사 삼아 P 발음을 붙여서 Prum이라고 읽은 데서 비롯. 소불름국은 주로 예루살렘 근방을 뜻하고 대불름국은 로마 제국을 뜻함]"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는대, "대진국의 왕 멸가이령개살(滅加伊靈改撒)"[* 읽으면 미하일 카이사르다. [[미하일 7세]]로 추정.] 명의로 조공이 왔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보아, 최소한 11세기까지는 중세 동로마 제국이 고대의 로마 제국과 동일한 것을 알고 있었던 듯. 하지만 이후의 역사서는 꾸준히 "불름국"이라는 명칭으로 동로마 제국을 지칭했다. 그리고 "멸가이령개살" 명의의 조공도 진짜 "대진국"에서 보낸 건지 미심쩍어하며, "불름국이 대진국이라는데 진짜인진 잘 모르겠음. 아무튼 잘나가는 나라는 맞는 듯" 식의 기록들이 나온다. 그도 그럴것이 이전의 역사서에 명확히 "대진국은 조공을 바친 일이 없다."라고 언급되어있고, 로마가 중국 못지 않은 대국이라는 것은 알았기 때문에 "얘들이 조공을 바치러 온다는 게 말이 되나?" 같은 인식이 있었다. 게다가, 동로마의 통제하에 있지 않은 서방 세력들도 개별적으로 중국과 교류하면서, 서쪽에서 오는 인물들이 모순적인 정보를 말했고, 특히 카톨릭을 믿는 세력들이 종종 "중국 스케일로 생각해도 도저히 말이 되지 않는 희대의 구라 뽕"을 우겼다는 기록이 꽤 나오는 것으로 보아, 서쪽에서 오는 정보를 도저히 믿을 수가 없는 상황이었다. == 대진국은 [[로마 제국]]이 맞는가? == 일단 중국에서 "대진국 = 로마"로 인식한건 맞다고 여겨지나, 그들이 접한 대진국 관련 정보는 부정확했다. 고대 중국 정사에 나오는 대진국이 [[에티오피아]]의 [[악숨 왕국]]의 아닐까 하는 가설[[http://blog.daum.net/shanghaicrab/16156630|#]]까지도 나왔는데, 이는 그만큼 대진국이라는 국가 관련한 중국 정사의 기록이 비교하자면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투스]]의 동방이나 북아프리카 관련 기록처럼 횡설수설이 많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 대진국의 인종에 대한 묘사는 "중국인과 비슷함"이란 식으로, 다른 서역인에 대한 묘사와 전혀 다르다. 고대 로마 유물에 로마 스타일 청자 같은 유물이 발견되는 걸 보면 중국의 격식에 맞춰서 교류했다고 생각해볼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서역인에 해당되는 묘사가 하나도 없는 것은 미심쩍은 요소다. 더 혼란을 유발하는 것은 양잠기술에 대한 언급이다. 로마제국이 확실하게 양잠기술을 얻은 것으로 볼 수 있는 시기는 6세기는 가야 나오기 때문. 물론 고대 시절에도 인도 승려들이 찾아와서 양잠 기술을 빼돌리겠다고 한 기록은 있긴 하지만 추가적으로 복식을 "호"를 닮았다고 진서의 서이전에 기록되어 있는 것도 혼란을 부르는 부분. 호는 보통 오랑캐를 의미하는 말로 쓰였다. 그리고 사기의 대완열전에는 서역의 풍속을 흉노와 흉노가 아닌 것으로 양분해서 분류하고 있다. > [[북송]] 태종이 그 나라에 대해 물으니 사절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대진국(大秦國)과 인접해 있는데 그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 나라가 관할하고 있는 인구는 겨우 수천에 지나지 않으며 도성은 산과 바다 사이에 있습니다."[* 킬리만자로 산과 바다 사이에는 아랍인, 페르시아인들이 세운 [[스와힐리]] 무역도시들이 여러 곳 존재하였다. 인구 수천이라 말하는 것으로 보아 사절은 이러한 스와힐리 도시국가 출신 부유한 대상인으로 추정 가능하다. 여담으로 킬리만자로 산은 조선 초 제작된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도 나온다.] 또한 그 지역의 산물에 대해 물으니 "다만 물소뿔과 [[상아]], 향약이 있을 뿐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물소]]와 [[코끼리]]를 어떻게 잡느냐고 물으니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코끼리는 미끼를 이용하여 유인한 다음 동아줄로 만든 올가미로 옭아맵니다. [[코뿔소]]는 사람이 큰 나무 위로 올라가서 활과 화살을 들고 있다가 다가오면 쏘아 죽입니다. 작은 코뿔소는 활과 화살을 쏘지 않고도 사로잡을 수 있습니다." >---- > [[송사]] 외국 열전 [[http://contents.nahf.or.kr/item/item.do?levelId=jo.k_0020_0490_0050_0090#self|번역출처]] 중국 정사 중 중세 왕조를 다룬 사서에 나오는 대진국을 로마 제국으로 해석하기도 하나, [[송사]]에서 [[동로마 제국]]은 불름국(拂菻國)이라고 나오기 때문에[[http://contents.nahf.or.kr/item/item.do?levelId=jo.k_0020_0490_0090_0020|#]] 다른 나라로도 해석 가능하다. 1623년에 섬서성에서 '대진경교유행중국비'가 발견되었는데 일단 대진국이 로마 제국을 말한다는 것은 확실시 되고 있으나, 역시 중국이 생각한 대진국이 실제의 로마와 일치하는 지는 미심쩍다. 그도 그럴것이 "경교"는 비 [[칼케돈 공의회]]파 교회들 중 하나인 [[네스토리우스파]] 교회를 지칭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칼케돈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파]]는 이단으로 판정되어서 배척되었기 때문에 실제 로마와 대진국간에는 많은 괴리가 있는 셈이다. 다만 "[[그리스인]](엘레나이)"란 개념 자체가 소멸했을 정도로 지중해 세계가 죄다 로마로 대동단결한 시절임을 감안하면 경교도들이 아무리 로마에서 배척받았어도 스스로를 로마인이라고 불러서 이상할 것은 딱히 없다. [[분류:로마 제국]][[분류:중국의 외교]][[분류:중국의 역사]][[분류:과거의 외교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