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프로필 == || 링네임 || '''Robert Dreissker''' [br] Dalibor Rheznik [br] AVALANCHE || || 본명 || Robert Dreissker || || 생년월일 || 1989년 5월 20일 || || 출신지 || [[오스트리아]] 니더외스터라이히 툴른 || || 신장 || 180cm || || 체중 || 134kg || || 별명 || Danube Dragon [br] The Avalanche [br] Coach [br] Monster Of A Man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파워하우스|파워하우스]]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올라운더|올라운더]] || || 주요 커리어 || wXw 월드 태그팀 챔피언 4회 [br] wXw 샷건 챔피언 2회 [br] GSW 태그팀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애벌랜치''' [br] 코너 슬링샷 스플래쉬 [br] 데스 벨리 드라이버 [br] 사모안 드롭 || == 커리어 == 2009년에 데뷔한 파워히우스 스타일을 쓰는 오스트리아 출신 베테랑 레슬러. wXw에서 데뷔해 프리츠 켈러와의 경기에서 무승부로 끝나버리고, wXw를 포함해 WWPW, EWA 등 유렵을 돌며 활동하다가 BJW를 통해 일본에 진출한다. 힘을 과시하는 악역레슬러로 활동하며 싱글 및 태그팀 경기를 번갈아가며 나서고, [[CZW]]이 해외에서 개최될 때 CZW에도 출연하게 되면서 [[월터(프로레슬러)|빅 반 월터]]와 팀을 이뤄 로버트 쉴드 & 빈센트 쉴드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아레스와의 경기에서도 승리를 거둔다. wXw에서 계속해서 악역레슬러도써 무법자같은 이미지에 맞게 실력을 과시하고, wXw & CZW & BJW가 합동으로 개최한 경기에서 [[조나단 그레샴]] & 존 클링거에게 각각 패하고, [[미야모토 유코]]와의 경기에서는 승리를 거둔다. 빅 반 월터와 팀을 이뤄 [[DJ 하이드]] & 카스텐 벡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해외를 돌아다니며 싱글에서도 어느정도 높은 승률을 올리고, 태그팀 경기에선 주로 같은 오스트리아 출신인 빅 반 월터와 팀으로 다닌다. 2014년에 wXw & CZW & BJW가 합동으로 독일에서 행사를 열고, 빅 반 월터 &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와 팀을 이뤄 킴 레이 & 사사 킬 & [[맬러카이 블랙|타미 앤드]]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지만, 빅 반 월터 & 마이크 슈왈츠 & 토비 플런트와 팀을 이뤄 아론 인새인 & 킴 레이 & 마이클 이소토브 & 사사 킬에게 패하고, [[크리스 브룩스]], 킴 레이, 마이클 단테와의 페이탈 4 웨이 매치에서 크리스 브룩스가 승리를 거두며 패하게 된다. wXw에서 활동하며 빅 반 월터와 팀으로 계속 다녔지만 2015년부터 둘간의 분열로 이어지며 격돌하게 되고, [[일야 드라구노프]]와 같이 다니게 되다가 이들도 대립으로 변하고, 이후 활동은 싱글위주로 가며 탑 힐급 선수로 급부상한다. 싱글 활동을 이어나가자가 줄리안 네로와 같이 몬스터 컨설틴(Monster Consulting)을 결성하고, 2018년에는 프로그래스에도 출연하며 타국적의 인디스타들과도 경기를 가지며 경쟁을 펼치게 된다. 2019년에는 준 시몬스와 대립이 형성되고, 처음으로 미국무대에서 경기를 가지며 [[메이저 리그 레슬링]]에 출연해 [[톰 롤러]]와의 경기에서 패하고, 39인 배틀로얄에도 참가하지만 탈락된다. CZW & wXw이 합동으로 개최한 경기에서는 클랙스턴에게 패한다. 2020년대에는 wXw에서만 활동하고, 선수 활동이 좀 뜸해지면서 트레이너로 활동도 겸하며 후배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조금씩 해외를 돌아다니며 활동을 이어나간다. == 기타 == * [[배드 본즈]] & 마이클 코박의 제자로, 그밖에 톰 프리차드 & [[월터(프로레슬러)|월터]]에게서도 트레이닝을 받았다. == 둘러보기 == ||<-5> [[파일:WXw_logo.png|width=200]] || ||<-6> '''wXw 로드 투 16 캐럿 골드 리그 토너먼트 우승자''' || || 카르스텐 블랙[br](2012) || → || '''로버트 드레이스커[br](2013)''' || → || [[티모시 대처]][br](2016) || ||<-6> '''wXw 로드 투 16 캐럿 골드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사사 킬 [br] 카르스텐 블랙 [br] 2FACE [br] 아이반 키이우 [br] 로버트 드레이스커[br](2014)''' || → || 미정 || ||<-6> '''wXw 미텔도이칠란트 컵 토너먼트 우승자''' || || [[루드비히 카이저|엑셀 다이터 Jr.]][br](2014) || → || '''로버트 드레이스커[br](2015)''' || → || 존 클링거[br](2016) || ||<-6> '''wX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스위치블레이드#s-4|스위치 블레이드 컨스퍼레이시]][br](2009) || → || '''팀 wXw 레슬링 아카데미[br](2021)''' || → || 미정 || ||<-5>
{{{#ffffff '''CAGEMATCH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유럽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13년 || 11월 16일[br]wXw 13th 애니버서리 투어 || wX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br] [[건터(프로레슬러)|빅 밴 월터]](C) & '''로버트 드레이스커'''(C)(X) vs __[[루드비히 카이저|엑셀 다이터 Jr.]]__ & __다 맥__(O) || ||<-6>
{{{#ffffff '''CAGEMATCH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유럽 태그팀'''}}} || || 마이클 단테 & [[맬러카이 블랙|타미 엔드]][br](2012) || {{{+1 → }}} || '''{{{#000000 [[건터(프로레슬러)|{{{#000000 빅 밴 월터}}}]] & 로버트 드레이스커[br](2013)}}}''' || {{{+1 → }}} || [[루드비히 카이저|엑셀 다이터 Jr.]] & 다 맥[br](2014) || [[분류:오스트리아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89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니더외스터라이히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