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화 이글스 외국인 선수)] ---- || '''이름''' || 로베르토 안토니오 메히아 디아스(Roberto Antonio Mejía Díaz) || || '''생년월일''' || [[1972년]] [[4월 14일]] ([age(1972-04-14)]세) || || '''출신지''' || 도미니카공화국 아토 마요르 델 레이 || || '''포지션''' || [[2루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1988년 [[로스엔젤레스 다저스]] 아마추어 자유계약 || || '''소속팀''' || 그레이트 폴스 다저스(Rk, 1991) [br] 베로 비치 다저스(A+, 1992) [br] 콜로라도 스프링스 스카이 삭스(AAA, 1993~1995) [br] [[콜로라도 로키스]](MLB, 1993~1995) [br]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언스]](AAA, 1996) [br] [[포터킷 레드삭스]](AAA, 1996) [br] 루이스빌 레드버즈(AAA, 1997) [br]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MLB, 1997) [br] 멤피스 레드버즈(AAA, 1998) [br] 앨버커키 듀크스(AAA, 1999) [br] [[게레로스 데 오아하카]](LMB, 2000) [br] [[올메카스 데 타바스코]](LMB, 2001) [br] [[게레로스 데 오아하카]](LMB, 2003) [br] '''[[한화 이글스]]'''(KBO, 2003) [br] [[피라타스 데 캄페체]](LMB, 2004~2005) [br] [[게레로스 데 오아하카]](LMB, 2006) [br] [[로요스 델 아길라 데 베라크루스]](LMB, 2007) [br] 엘 패소 디아블로스(Ind, 2008~2009) || [목차] == 개요 == 도미니카공화국의 전 야구선수. 1991년 그레이트 폴스 다저스(루키리그)에서 선수생활을 시작하여 2009년 앨 패소 디아블로스(독립리그)를 끝으로 은퇴하였다. 대부분의 선수생활을 마이너리그(AAA)와 멕시칸리그에서 뛴 평범한 마이너리거였다. == KBO 시절 == 이런 그가 한국에 알려지게 된 건 [[2003년]] [[5월 20일]]경 [[한화 이글스]]에서 오라시오 에스트라다를 방출시키고 대체용병으로 계약금 4만, 연봉 8만 달러로 입단하면서부터였다. 한국에 있을 때는 주로 [[3루수]]를 봤다. 하지만 준수한 수비에 비해 타격이 워낙에 부실해서 30경기 뛰고 7월 22일자로 퇴출되고 만다. 참고로 그의 빈 자리는 한때 롯데에서 뛰었던 [[에밀리아노 기론]]이 차지했다. == 플레이 스타일 == 불과 석 달 남짓한 시간이지만 그가 한국에 있을 때 상당히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바로 '''극단적인 오픈스탠스 타격폼'''.[* 사실 이런 타격폼을 취하는 선수가 있긴 있었다. 당시 삼성 소속이었던 [[마해영]].] 마치 기마자세를 연상시키는 폼으로 도끼 타법을 쓰는지라 특이한 타격폼을 논할 때 항상 언급되기도 했다. 그의 타격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양 다리를 쭉 펴고 선다. ② 투수가 와인드업에 들어가면 왼다리를 끌어당긴다. ③ 공이 히팅포인트에 들어오면 다시 왼발을 땅에 디디며 힘차게 방망이를 휘두른다. ……문제는 이게 잘 안 통한다는 것. 112타수 29안타 0.259. 머 홈런이나 뻥뻥쳐주면 넘어가겠지만 홈런은 3개에 불과했다. 하지만 더 더욱 답이 없는게 볼/삼비 2/23의 답이 없는 선구안 이었다.[* 2할4푼이지만 4할대의 출루율을 기록한 [[트레이시 샌더스]]를 생각해보자.] 이런 타격폼이 워낙에 특이했던지 아예 이걸로 시를 쓴 사람도 있었다. 더 놀라운 건 이게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이라는 거. >'''메히아''' > >김재홍 > >중남미의 어느 공화국 시민인 그는 >동란과 쿠데타를 딛고선 아시아의 작은 >공화 정부의 취업비자를 받아 >뜨끈뜨끈한 잠실야구장 타석에 섰다 >(왜 중남미 선수들은 교범에도 없는 말타기 자세를 하는지 몰라) >메시아가 어디 사는 지도 모르면서 >검게 붉게 얽은 얼굴을 하고 그는 처음에 >야구공과 방망이를 손난로처럼 품고 >한겨울 국제공항 청사를 두리번거리며 어슬렁거리며 나왔을 것이다 >(머리통이 얼마나 작으면 헬멧 속에 모자를 또 썼을까) >그는 당당하게 2루타를 쳤다 >베이스를 밟고 선 두 다리가 덜덜 떨렸다 >수천 개 눈동자가 일순간 그의 몸을 향해 >함성을 지르고 파도처럼 술렁거리며 비명을 지르고 >거대한 솥단지가 되어 펄펄 끓다가 >더 작은 체구의 다음 타자가 안타를 칠 수 있을지 의심한다 >(관중석에 앉으면 왜 선수들은 모두 야구공처럼 보일까) >비쩍 마른 붉은 눈의 게바라를 읽고 싶었다 >국경을 뛰어넘는 공화국의 깃발을 보고 싶었지만 >그는 너무 작았고 액정 화면에 잡힌 그의 헬멧에는 >국적 불명의 독수리 이니셜만 코를 벌름거리며 박혀 있었다 >멕시코와 푸에르토리코와 쿠바 출신의 운수 좋은 메이저리거들도 >타석에 서면 구부정하게 허리 굽히고 >꼭 말 타는 자세로 방망이를 든다 * 참고 자료 : [[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1912|‘메시아’가 되지 못한 ‘메히아’]] == 통산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2003 || [[한화 이글스|한화]] || 30 || 112 || .259 || 29 || 3 || 0 || 3 || 13 || 9 || 1 || 3 || .366 || .274 || ||<-2> '''[[KBO 리그|KBO]] 통산''' [br] (1시즌) || 30 || 112 || .259 || 29 || 3 || 0 || 3 || 13 || 9 || 1 || 3 || .366 || .274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야구 관련 인물(기타 리그)]]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1972년 출생]][[분류:1993년 데뷔]][[분류:2009년 은퇴]][[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콜로라도 로키스/은퇴, 이적]][[분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아토마요르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