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Project Moon]][[분류: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게임]][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오덕갤)] [include(틀:Project Moon 디시인사이드 커뮤니티)] ||<-2>
{{{#ffffff,#dddddd '''{{{+1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마이너 갤러리}}}[br]{{{-1 Lobotomy Corporation Minor Galler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roject Moon 로고.png|width=100%]]}}} || || '''{{{#ffffff,#dddddd 주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lobotomycorporatio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ffffff,#dddddd 개설일}}}''' ||[[2017년]] [[2월 6일]] || || '''{{{#ffffff,#dddddd 분류}}}''' ||[[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 || '''{{{#ffffff,#dddddd 카테고리}}}''' ||게임 || || '''{{{#ffffff,#dddddd 주제}}}''' ||[[Project Moon]]의 모든 작품들 || || '''{{{#ffffff,#dddddd 현재 상황}}}''' ||운영 중 || [clearfix] [목차] == 개요 == [[Project Moon]]에서 제작한 게임들을 다루는 디시인사이드의 마이너 갤러리. '''디시인사이드 Project Moon 팬 커뮤니티 중 가장 활발한 곳이다.'''[* 이 외에도 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 갤러리도 존재하나 대피소 역할이고, 림버스 컴퍼니 갤러리 정도가 성향이 다른 커뮤니티로 공존하고 있다.] 약칭은 '''롭갤'''. == 특성 == 주된 떡밥은 [[Project Moon]]의 제작한 작품 전반으로, 스토리, 떡밥 분석이나 구입 인증부터 공략, 창작 등이 핵심 콘텐츠이며 그외에는 공식 테마카페인 햄햄팡팡에 대한 글도 올라온다. 특히 도시 세계관에 푹 빠진 유저들이 많아 다른 게임 커뮤니티보다 분석과 떡밥 게시글의 개념글 등록 비율이 훨씬 높고 설정 오류에도 매우 민감하다. 프로젝트 문의 작품 전개 방식과 시스템이 불친절해 관련 질문을 하면 친절히 답해준다. 또한 설정이나 질문도 친절하게 답해주는 편. * [[Lobotomy Corporation]] 프로젝트 문의 첫 게임이자 근간. 이 갤러리의 이름이자 시초이다. 질 좋은 기반모드나 창작 모드도 제작되었다. 또한 릴레이, 제약 컨텐츠 등의 고인물 전용 컨텐츠들도 갤 내부에서 진행되었다. 로보토미가 출시되고 많은 시간이 지나서 지금은 주류 컨텐츠가 아니지만, 많은 유저들이 이미 플레이해봤기 때문에 여전히 뉴비의 질문에는 친절하게 대답한다. --그리고 항상 역병의사는 념글로 간다-- * [[Library of Ruina]] 로보토미 갤러리의 부흥을 이끈 작품. 정전갤이나 다름없던 로보토미 갤러리를 폭발적으로 성장시켜 규모를 몇 배 이상 증가시켰다. 게임의 업데이트에 따라 불타거나 호평하는 등 적극적인 피드백을 했으며, 특히나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금요일 오후 8시에 갤이 활발해지는 데서 "[[8시의 서커스]]"라는 명칭이 붙여지기도 했다.[* 결코 유저의 수가 메이저하다고 볼 수 없는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실북갤에 1위를 차지하기도 하는 등, 단발성 화력이 매우 높았다. 특히 사건 사고로 인해 말이 많았던 5.15(미완성작 출시일), 9.11(혼동스러운 귀속 패치), 4.16(설정 오류 및 세계관 붕괴)는 엥간한 대형갤 수준이었다.] 로보토미에 비해 공식적인 툴이 생겨 모드 제작이나 번역도 활발하며 로보토미부터 내려온 전통인 제약 플레이도 성행했다. --그리고 항상 토머리는 념글로 간다-- * [[Limbus Company]] 현재 출시된 게임이자 주 컨텐츠. 출시 직후에는 부정적인 의견이 대부분이었지만, 현재 여러 문제점이 개선되고 게임이 나아지면서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모바일 출시로 규모가 커졌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있는 중이라 라오루 업데이트 시절을 연상케 하는 중. 시즌 2 업데이트 때 있던 정신력 패치 때는 갤이 다시금 라오루 때처럼 불타기도 했다가 9시간 만에 롤백되는 일도 있었다. --그리고 항상 유리는 념글로 간다-- 특기할 점은 림버스 컴퍼니가 파편 시스템도 있어 가챠 게임치고는 이례적으로 올컬렉(모든 캐릭터 수집)이 쉬운 편이고, 커뮤니티 특성상 게임에 충성도가 높은 편이라는 점 둘이 맞물려 올컬렉을 달성한 유저가 많은 편이다.[* 여기서 농담 삼아 갤평균이 올컬렉이라는 자조적인 농담도 있다. 또한 이런 안전조치가 많은 탓에 뽑는 것 자체로는 [[비틱질]] 취급도 못 받는 괴상한 문화가 생겨났다.] == 성향 == 트위터 유저들을 제외한[* 이마저도 트위터 유저들 중에서도 잡식 성향의 유저들은 양쪽에 다 들르는지라 섞이기도 한다.] [[Project Moon]] 팬덤들이 모두 모이는 곳이라 이용자들의 성향이 꽤 다양하다. 디시 성격상 공격적인 성향의 이용자들도 있는 편이나, 정보글이나 스토리 해석글들을 적거나 보러 온 이용자들이 많기 때문에 뉴비들이나 유입들에게 친절한 성향이 강하다. 그렇지 않아도 작은 규모의 팬층이라는 인식이 기본적으로 깔려 있어 유입을 매우 반기니 만약 컨텐츠를 즐기다가 도움이 필요하다면 질문해보자. 프로젝트 문 팬덤이 으레 그렇듯 [[Project Moon]]의 게임, 그리고 게임사 자체에 대한 충성도가 매우 높다. 그렇다고 무조건 쉴드만 치는 것이 아니라[* 아예 없는 것은 아니라서 가끔 [[갓겜충]]들과 억까들이 롭갤에 나타나서 분탕질을 하기도 한다. [[Limbus Company]] 출시 직후에는 매우 심해졌지만, 시간이 지난 지금은 규제가 강화되어 많이 사라졌다. --가끔 실드치는 것처럼 보이다 실드로 패는 드리프트도 보인다.--] 게임에 불편한 점이나, 업데이트에 대한 문제점이 있으면 바로 지적해주며 피드백을 한다. 물론 유저들의 의견이 늘 일치하지는 않고, 억까나 억빠도 가끔 나타나니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신중하게 들어야 한다. == 롭갤 이용시 주의사항/팁 == 가끔 갤이 심하게 불탈 때 비로그인 유저 이미지 제한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 이 때 본인이 질문을 하고 싶은데 유동 유저라서 이미지를 올리지 못하는 상황이면, [[림버스 컴퍼니 마이너 갤러리|림버스 갤러리]]에 이미지를 올리고, 링크를 복사해서 롭갤에 남기면 된다. 롭갤 완장을 포함한 롭갤러들은 미성년자의 롭갤 이용에 매우 부정적이다. [[Lobotomy Corporation]]을 제외한 [[Project Moon]]에서 제작한 다른 모든 컨텐츠가 성인 컨텐츠이고, [[갓겜충]] 성향의 악성 미성년자들이 유튜브 댓글이나 타 스트리머 영상에서 훈수를 두며 스포질을 하는 등의 피해를 입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인이 미성년자이면 롭갤말고 [[림버스 컴퍼니 마이너 갤러리|림버스 갤러리]] 같은 딴 사이트를 이용하는 편이 좋으며, 어쩔 수 없이 이용을 해야된다면 미성년자 티를 내지 말고 눈팅만 하는 편이 좋다. 그 전에 미성년자라면 [[Limbus Company|림버스]]와 [[Library of Ruina|라오루]]를 하지 말자. 스토리 관련 업데이트 이후엔, 스토리를 보기 전까지 들어가지 않는 편이 좋다. 제목으로 스포를 하거나, 아예 평범한 게시글인 척 해놓고 게시글 내용으로 스포를 하는 악질 유저들도 넘쳐나기 때문이다. 또한, 보스 SD나 CG, 스토리의 스포일러적인 내용까지 클뜯으로 싹 다 유출되어 퍼지기 때문. 물론 갤러리 내부에서도 통제가 이루어지고 사소한 부분까지 싹 다 공개되진 않지만, 스토리의 핵심적인 부분이나 반전 요소는 기본으로 알게 된다고 보면 된다. 실수로라도 알고 싶지 않으면 스토리를 완독할 때까지 커뮤니티는 근절하는 것이 좋으며, 사실 이는 클뜯이 이루어지는 모든 게임에 해당되는 사안이다. 현재는 어느정도 스포 방지를 위해 업데이트 이후 1주일 까지는 제목에 ㅅㅍ 등을 붙이는 것이 규칙으로 생겨났다. == 타 커뮤니티와의 관계 == 한국 [[트위터]]와 함께 둘뿐인 [[Project Moon]] 관련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 중 하나지만, 디시 특성과 로보토미 시절 트위터 유저의 로보토미 평가 테러 사건 때문에 관계가 그리 좋지 않다. 다만 롭갤은 2차 창작이 부족하고 트위터는 공략 및 해석이 부족해 최대한 서로를 암묵적으로 배려하던 관계였지만 [[림버스 컴퍼니 원화가 트위터 남성혐오 논란|전 일러스트레이터에 관한 논란]]으로 의하여 서로의 관계가 끔찍한 수준으로 망가져 파국으로 이어졌다.[* 이는 어디까지나 프문의 조치에 반대한 유저들에게 한정되며, 중립 및 찬성 선언한 유저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우호적인 반응을 보이고있으며 암묵적인 교류를 하고 있다.]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채널]]과는 주로 롭갤에 올리면 짤리는 야짤들을 대신 업로드하고 보기 위해서 자주 찾아오기도 하는 등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해당 채널이 [[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연쇄 접근 제한 조치 사태]] 당시 갤러리의 대피소 성격으로 생성되었기 때문. 그러나 이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림버스 컴퍼니 마이너 갤러리]]와는 형제지간. 라오루 커뮤니티는 롭갤로 통합되었지만, 림버스 컴퍼니는 이전 작과는 차이가 있어 분리되었다. 사이는 좋은 편으로 양측의 교류는 활발하다. 롭갤이 심하게 불타면, 게임 이야기를 주로 하는 림갤로 이용자들이 대피하기도 한다. [[림버스 컴퍼니 원화가 트위터 남성혐오 논란]] 직후 [[레딧]]의 관련 커뮤니티[* r/limbuscompany, r/projectmoon 등]들이 롭갤 유저들을 [[인셀]]이라 욕하고[* 급기야는 한국 남성과 한국인에 대한 인종 [[혐오]]로 이어져 서브레딧이 임시 폐쇄되는 일이 있었다.] 자신들의 입장과 반대되는 의견은 모두 디시 출신 첩자들로 간주하고 매장시키면서 양쪽의 관계는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레딧 측은 롭갤이 [[피싸개]], [[따개#s-2.3|바나나따개]] 등의 단어를 사용하니 혐오와 인종차별이 더 심하다며 [[적반하장]]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영미권 팬들도 진상을 파악했고, 무엇보다 사태의 장기화에 피로감을 느끼면서 디시가 아니라 계속 꺼진 불을 지피려는 한국 트위터랑 [[청년유니온]], [[게임 개발자 연대]]가 문제라는 여론으로 전환되었다. == 연관 커뮤니티 == * 연관 갤러리 * [[림버스 컴퍼니 마이너 갤러리]] * [[프로젝트문 인방 마이너 갤러리]]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projectmoon01|프로젝트문 마이너 갤러리]][* 프로젝트문의 관련된 소개글들이나, 공식정보, 버그나 피드백 제보를 주로 다루는 갤러리이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libraryofruina|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 마이너 갤러리]][* 롭갤폭파를 대비해서 만들어진 대피소. 현재는 림갤/롭갤 정보글, 펌/핫산짤, 창작짤들을 아카이브 하는 용도에 갤러리로 쓰이고 있는 중이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roland|롤랑 마이너 갤러리]][* 프문 캐릭터 남성 동성애 커플링이나 성인 2차 창작물을 다루는 갤러리이다. 일종의 [[격리 게시판]] 비슷하게 운영되는 갤러리로, 롭갤에서 게이떡밥을 물면 글삭, 차단까지 당하므로 동성애 커플링 게시글을 작성할거면 롤랑갤에서만 하자.] * 디시 외부 커뮤니티 *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채널]] * [[4chan/게시판#s-1.2.2|4chan /vg/]] - /lcg/ [* Limbus Company General의 약자로 2023년 4월부터 한국에서 [[vg league]]붐이 일어났고 6월에 진행된 X-2리그 당시 LCG팀이 선전하면서 교류가 생겨났고 아예 해당 보드의 유저가 직접 고정닉을 만들었다. 이에 힘입어 lcg에서 자주 쓰이는 신비한 제나콘이 디시콘으로 등록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