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분류:참나무목]][[분류:화폐의 도안]] [include(틀:식물분류,이름=로부르참나무,영명=Pedunculate oak,이명=English oak/French oak, 학명=Quercus robur,명명자=L.,명명연도=1753,문=속씨식물문(Angiosperms),강=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목=참나무목(Fagales),과=참나무과(Fagaceae),속=참나무속(Quercus),종=Q. robu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99px-Illustration_Quercus_robur0_clean.jpg]] [목차] == 개요 == 서유럽의 고유종 [[참나무]], '''사실상 서유럽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참나무종'''이기도 하다.[* 남유럽에는 몇몇 상록 [[참나무]]가 있다. 당장에 [[코르크]]부터가 참나무고, [[호랑가시나무]]를 뜻하는 Holly도 사실은 ''Quercus ilex''라는 참나무에서 비롯되었다. 다만 호랑가시나무 자체는 참나무와는 종류가 전혀 다른 나무이다.] 영국과 유럽에서 '참나무'라고 하면 이것부터 떠올릴 정도. [[산림청]]에서 만든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간편하게 '''로부르참나무'''라고 국명을 정했다. 참고로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이런 식으로 종명의 [[라틴어]] 발음+가까운 한국 식물 이름 형식으로 국명을 때우는 경우가 많다.[* 리기다소나무나 스트로브잣나무 등.] == 쓰임새 == [[라틴어]]에서 [[참나무]]를 뜻하는 단어 Quercus가 정확히는 로부르참나무를 가리킨다. 다른 참나무류에게도 못 쓴다는 것까진 않지만, 로부르참나무를 딱 가리키는 의미로 쓰일 때가 많다. 참나무류를 두루 가리키는 라틴어 단어가 바로 robur. 그러니까 ''Quercus robur''란 학명은 라틴어로는 대충 '참나무 참나무'가 되어버리는 셈. [[라틴어]]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서유럽에서 로부르참나무는 넓게 분포했고 또 널리 [[목재]]로 사용되었다. 서양에서는 [[와인]]이나 [[브랜디]], [[위스키]]를 숙성하는 참나무통(혹스헤드, [[바리크]], 벗 등)를 만들 때 주로 사용해왔다. 엘라기타닌 함유량이 높아서 구운 사과향과 달콤한 맛을 내는데, 이것이 마른 과일향을 내는 [[셰리]] 와인과 조합되면 [[싱글 몰트 위스키]]를 숙성시키기에 매우 적절해진다. 따라서 [[더 맥켈란]]과 같은 일부 증류소에서 로부르참나무 목재 수급에 신경을 많이 쓴다. 로부르참나무에 생긴 벌레혹은 중세~근세시대 [[잉크]]의 재료로 쓰였다. [[독일]]을 비롯한 많은 북서유럽 국가에서는 [[나라문장|국장]](國章)을 장식하는 문양으로도 쓰였는데, 로부르참나무가 [[뇌신]] [[토르]]의 신성한 나무라는 민간신앙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나치 독일]]의 [[:파일:나치 독일 국장.svg|국장]] 또한 곡엽을 두른 [[하켄크로이츠]]를 [[독수리]]가 움켜쥐고 있는 형상이다. 또한 나치의 [[철십자 훈장]]에서도 기사철십자 훈장에서 격이 더 올라가면 리본 고리에 곡엽이 붙은 곡엽기사철십자 훈장이 된다. 이외에는 [[에스토니아]]의 [[:파일:에스토니아 국장.svg|정식 국장]]에도 곡엽이 둘려 있다. == 인간과 참나무 == 서양 신화 등에서 [[떡갈나무]]라고 언급되는 나무는 로부르참나무를 한국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번안한 것이다. 실제 떡갈나무는 동북아 고유종이라 영국에는 1830년이 되어서야 전파되었고, 기후가 맞지 않아 현재는 식물원에서나 볼 수 있다. 정반대로 로부르참나무는 건조하고 연교차가 큰 동아시아 기후에 맞지 않아 한국에서는 키울 수 없다. 잎 모양이 떡갈나무를 닮았긴 하지만 로부르참나무는 동아시아의 떡갈나무, 신갈나무보다 잎의 크기가 작은 편이다. [[청설모]]([[다람쥐]]), [[큰까마귀]]([[갈까마귀]]), [[저녁매미]]([[쓰르라미]])와도 비슷한 사례라 볼 수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Bonifacius_by_Emil_Doepler.jpg]] 그리스도교 전파 이전 독일에서는 로브르참나무가 [[게르만 신화]]의 신 [[토르]](도나르)의 신성한 나무라고 여겼다. 그리하여 로부르참나무는 지역종교문화의 성소가 되었고 심지어 [[인신공양]]을 받기도 하였다. 760년 마인츠의 빌리발트(Willibald)가 쓴 성 보니파시오 전기(Vita Sancti Bonifatii)에 따르면, 영국 출신 선교사 성 보니파시오(Boniface)가 723년에 선교 여행을 하다가 (오늘날 독일 [[헤센|헤센주]] 인근 프리츨라[Fritzlar] 마을 근처에서) 토르의 참나무[* 빌리발트가 쓴 라틴어 전기에서는 robur Iovis([[유피테르]]의 참나무)라고 표현하였다.]를 목격하였다. 그는 게르만 신들이 무력한 존재임을 지역 주민들에게 보이고자, 프랑크족 병사들에게 호위를 받으면서 몸소 지역 주민들 앞에서 나무에 도끼질을 하였는데, 때마침 기적처럼 강풍이 불어 토르의 참나무가 쪼개져 버렸다. 지역 주민들은 보니파시오에게 천벌이 내리리라 생각하였으나 아무 일도 안 일어나자 놀라워하며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이후 보니파시오는 참나무를 베어낸 자리에 작은 기도소를 세워 성 베드로에게 봉헌했다고 한다. 빌리발트가 보니파시오를 찬양하려는 목적으로 쓴 글이긴 하지만, 독일에 가톨릭이 전파된 초창기에 가톨릭과 [[게르만 신화|게르만 전통 종교 문화]]가 충돌했음을 보여준다. 로부르참나무가 [[뇌신]]의 신성한 나무라는 믿음은 비단 게르만족뿐만이 아니라 유럽의 여러 민족들의 신화나 민간신앙에서 흔하다. 그리스 신화의 주신 [[제우스]]의 신목 또한 로부르참나무였다. [[헤라클레스]]도 로부르참나무로 몽둥이를 만들어 [[히드라]]를 잡아버렸다. 제우스에게 시비 털던 [[기간테스]]들도 참나무로 무기를 만들어 대들었다. [[발트 신화]]에서도 뇌신이자 주신인 페르콘스(라트비아어)/페르쿠나스(리투아니아어)의 신성한 나무가 바로 로부르참나무였고, [[슬라브 신화]] 속 뇌신이자 주신인 [[페룬]]의 신목 또한 로부르참나무였다. 이런 공통성은 아마도 유럽 제민족들의 공통조상인 원시 인도유럽인들의 종교 문화인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 유래한 흔적일 것이다. 하필 로부르참나무가 뇌신과 연결된 이유는 나무가 높게 자라서 [[번개]]를 자주 맞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언어학자들은 [[라틴어]]로 로부르참나무를 가리키는 낱말 Quercus가 [[페룬]], 페르쿠나스 등 슬라브/발트 신화 속 뇌신의 이름과 어원을 공유한다고 여긴다.[* 언어학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페룬/페르쿠나스 등의 이름 본래의 의미는 '참나무의 주(主)' 또는 '([[번개]]로) 때리시는 주'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참나무'라고 학자들이 재구성한 단어로부터 Quercus가 나왔다.] 이 내용은 영국의 민속학자, 인류학자인 J.G.프레이저의 저서 [[황금가지]]에 나온다. == 매체 == * [[마인크래프트]]: 가장 오래되고, 가장 흔하게 분포되는 나무 종이다. 또한 하나의 묘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나무의 형태가 가장 다양한 종으로, 일반적인 크기의 나무와 거목의 형태가 하나의 묘목에서 무작위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잎이 자연적으로 사라지거나 직접 잎을 부수다 보면 가끔 [[사과]](?!)가 드롭된다. * [[명군이 되어보세!]] - [[명군이 되어보세!/개변된 역사/3부]] * [[신의 물방울]] - [[신의 물방울 최종장 마리아주]] * [[해리 포터 시리즈]]: [[루비우스 해그리드]]는 로부르참나무로 만든 부서진 [[마법 지팡이(해리 포터 시리즈)|마법 지팡이]]를 소유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떡갈나무, version=r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