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include(틀:벨기에 프로 리그)] ---- ||<-2> [[파일: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로고.svg|height=300]] || ||<-2><#1454a1> '''{{{#ffd300 {{{+1 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 ||<-2><#fff> '''{{{#1454a1 {{{+1 Royale Union Saint-Gilloise}}}}}}''' || || '''정식 명칭''' ||Royale Union Saint-Gilloise || || '''[[축구단 별명|{{{#000 별칭}}}]]''' ||Les Unionistes[br]Union 60 || || '''약칭''' ||RUSG || || '''창단''' ||[[1897년|{{{#000,#ddd 1897년}}}]] [[11월 1일|{{{#000,#ddd 11월 1일}}}]] '''^^([age(1897-11-01)]주년)^^'''[* [[https://rusg.brussels/histoire|#]]][* [[이탈리아]]의 축구 구단인 [[유벤투스 FC]]와 같은 날 창단되었다.] || || '''소속 리그''' ||[[벨기에 프로 리그|[[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height=30]]]] || || '''연고지''' ||[[브뤼셀]] 생질 (Brussels, Saint-Gilles) || || '''홈구장''' ||스타드 조제프 마리앵 (Stade Joseph Marien) [br] (9,400명 수용) || || '''라이벌''' ||'''[[RWD 몰렌베이크 47|{{{#ee2e24 RWD 몰렌베이크}}}]] - 즈반저 더비(Zwanze Derby)''' '''[[RSC 안데를레흐트|{{{#393996 RSC 안데를레흐트}}}]] - 브뤼셀 더비(Brussels Derby)''' || || '''구단주'''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출력= )] 알렉스 무치오 (Alex Muzio)[* 22/23까지는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의 구단주인 토니 블룸이었다. 그러나 하필이면 두 팀 모두 유로파 진출을 달성하면서 UEFA대회에 다중 클럽 소유권에 대한 규정에 저촉되게 되었다. 그래서 토니 블룸은 보유한 주식의 최소한의 지분만 남기고 파트너이자 단장인 알렉스 무지오에게 구단주를 넘겼다.] || || '''단장'''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출력= )]알렉스 무치오 (Alex Muzio) || || '''감독'''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출력= )][[알렉산더 블레신]] (Alexander Blessin) || || '''주장''' ||[include(틀:국기, 국명=룩셈부르크, 출력= )][[앙토니 모리스]] (Anthony Moris) |||| || '''UEFA 랭킹''' ||72위 [[https://www.uefa.com/nationalassociations/uefarankings/club/#/yr/2024|출처]] || || '''공식 웹사이트''' ||[[https://rusg.brussels|[[파일: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로고.svg|height=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UnionStGilloise, 크기=25)] [[https://www.facebook.com/unionstgillois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rusg.brussel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RoyaleUnionSaintGillois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tiktok.com/@rusg.brussels|[[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https://www.linkedin.com/company/royale-union-saint-gilloise-srl|[[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 ||<-2><#fff> '''{{{#1454a1 우승 기록}}}''' || || {{{#ccac00 ★}}}[br]'''[[벨기에 프로 리그|{{{#000 __벨기에 프로 리그__ (1부)}}}]]'''[br]'''(11회)''' ||1903-04, 1904-05, 1905-06, 1906-07, 1908-09, 1909-10, 1912-13, 1922-23, 1932-33, 1933-34[br] 1934-35 || || '''__챌린저 프로 리그__(2부)'''[br](4회) ||1900-01, 1950-51, 1963-64, 2020-21 || || '''__벨기에 컵__'''[br](2회) ||1912-13, 1913-14 || ||<-2><#fff> '''{{{#1454a1 클럽 기록}}}''' || || '''__최고 이적료 영입__''' ||[include(틀:국기, 국명=나이지리아, 출력=, 크기=25)] [[빅터 보니페이스]] (Victor Boniface) [br] (2022년, To [[FK 보되/글림트]], € 610만) || || '''__최고 이적료 방출__''' ||[include(틀:국기, 국명=나이지리아, 출력=, 크기=25)] [[빅터 보니페이스]] (Victor Boniface) [br] (2023년, To [[바이어 04 레버쿠젠]], € 2,000만) || || '''최근 영입'''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출력=, 크기=25)] [[막심 웬센]] (Maxime Wenssens) [br] (2023년, From 미정, 비공개) || || '''최근 방출''' ||[include(틀:국기, 국명=나이지리아, 출력=, 크기=25)] [[빅터 보니페이스]] (Victor Boniface) [br] (2023년, To [[바이어 04 레버쿠젠]], € 2,000만) || || '''__벨기에 프로 리그 득점왕__'''[br]'''(7회)'''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출력=, 크기=25)] 구스타브 반데르스타펜 (1902-03, 1903-04) [br]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출력=, 크기=25)] 모리스 베르통언 (1909-10) [br]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출력=, 크기=25)] 아킬 메스켄스 (1922-23) [br]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출력=, 크기=25)] 비탈 반 랜더겜 (1933-34) [br]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출력=, 크기=25)] 프란츠 로레이스 (1950-51)[br]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출력=, 크기=25)] [[데니스 운다브]] (2021-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벨기에]] [[브뤼셀]]의 생질을 연고지로 하고 있는 축구 클럽이다. == 역사 == [[1933년]]부터 [[1935년]]까지 무려 '''60경기 연속 무패''' 기록을 세우기도 했고, 1950년대 후반 ~ 1960년대 초반 벨기에 리그의 강자로써 [[유로파리그]]의 전신인 [[인터-시티 페어스컵]]에서 준결승에 오르는 등 클럽의 전성기를 한두번 맞이했으나, [[1963년]]에 1부리그에서 강등된 뒤 3부리그까지 내려가 헤매는 등 긴 시간 동안 별볼일 없는 클럽으로 위상이 뚝 떨어졌었다. 그러나 [[2018년]], [[EPL]]의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의 회장 토니 블룸이 클럽의 새 회장이 되면서 [[위성구단]]이 됨과 동시에 든든한 자금력을 얻게 되었고, 이후 3년만에 2부리그 격인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B에서 압도적인 승점차로 우승을 하고 [[1973년]] 강등 이후 '''48년만에''' 1부리그로 되돌아가는데 성공했다. 2021-22시즌 벨기에 리그 최고의 돌풍의 팀이다. 시즌 2/3을 지난 현재도 15승 2무 4패를 기록하며 2위와 7점차의 여유로운 리그 선두를 달리고 있다. 역사가 오래된 유럽리그에서도 보기 드문 '''승격팀의 리그 우승'''이 점점 현실화되고있다. 특히 개막전에서 지역 라이벌이자 벨기에의 리딩 클럽 [[RSC 안데를레흐트]]를 원정에서 3-1로 꺾어버리는 쾌거를 올리기도 했다. 리그에서는 1위를 기록했지만 챔피언스 그룹에서는 오락가락하는 성적 때문에 [[클뤼프 브뤼허 KV]]한테 우승을 내주며 2위를 기록했지만 창단 최초로 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 진출권을 가져갔다. === 2022-23 시즌 === 벨기에 컵에서 6라운드에서 4부리그팀인 로얄 카펠렌을 7:1로 대파했고 7라운드에선 [[KV 오스텐더]]를 2:1로 제압했다. 8강전에서 디펜딩 챔피언 [[KAA 헨트]]를 4:0로 완파하며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로얄 앤트워프]]와 합계스코어 1:1로 비긴 뒤에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탈락했다. 2022-23 시즌 유로파리그에서 D조 1위를 차지한 뒤, [[분데스리가]] [[우니온 베를린]]을 합계 스코어 6-3으로 물리치며 8강으로 가는 이변을 일으켰다. 8강에서 [[레버쿠젠]] 만났으며, 1차전은 무승부로 2차전 패하면서 탈락했다.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에서는 3위를 기록하면서 아쉽게 우승을 실패했다. === 2023-24 시즌 === 2023-24 시즌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부터 가진다. 상대는 스위스의 [[FC 루가노]]. 1차전에서는 2-0으로 승리하였고, 2차전 1:0으로 이겨서 조별리그 진출했다. 현재 벨기에 리그 11R 에서 모든 선수가 미친 활약을 하고 있다. [[구스타프 닐손]] - 6골 [[데니스 에케르트 아옌자]] - 5골 [[모하메드 아모우라]] - 5골 [[카메론 푸에르타스]] - 7어시 [[라자르 아마니]] - 4어시 벨기에 리그 14R 까지 11승 1무 2패로 리그 1위를 달리고 있다. 감독인 [[알렉산더 블레신]]은 어떻게서든 100년의 한을 풀고 우승을 꼭 하겠다고 다짐했다. [[알렉산더 블레신|그]]가 말하는 키플레이어는 [[카메론 푸에르타스]]와 [[모하메드 아무라]]. == 스쿼드 == [include(틀: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