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1세기의 우주 개발)] ||<-2>
[[파일:로켓 랩 로고.png|width=100%]] || ||<-2> '''{{{#ffffff 로켓 랩[br]Rocket Lab}}}''' || ||<|2> '''설립''' ||[[2006년]] [[6월 13일]] ||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 || '''산업''' ||항공우주 || || '''제품''' ||발사체, 우주선, 우주SW 등 || || '''사업 분야''' ||페이로드 발사 대행, 우주 부품 판매 || || '''경영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292b; font-size: 0.75em" {{{#fff '''CEO'''}}}}}} 피터 벡[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292b; font-size: 0.75em" {{{#fff '''CFO'''}}}}}} 애덤 스파이스 || || '''이사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292b; font-size: 0.75em" {{{#fff '''의장'''}}}}}} 피터 벡 || || '''시가총액''' ||21억 달러 {{{-2 (2023년 10월)}}} || || '''매출''' ||2억 1,100만 달러[* 부품 판매가 1억 5,000만 달러, 발사 대행으로 6,1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2 (2022년)}}} || || '''영업이익''' ||1억 3,500만 달러 {{{-2 (2022년)}}} || || '''고용 인원''' ||약 1,400명 {{{-2 (2022년)}}} || ||<|2> '''본사''' ||[[미국]] [[캘리포니아]] 헌팅턴 비치 || ||[include(틀:지도, 장소=Rocket Lab CA, 높이=300px, 너비=100%)] || || '''링크''' ||[[https://www.rocketlabusa.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user/RocketLabNZ|[[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rocketlabus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ocketlab, 크기=24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cket_Lab_takes_off_from_Launch_Complex_1_-Still_Testing-.jpg|width=100%]]}}} || || [[일렉트론 로켓|'''{{{#ffffff Electron}}}''']] || [목차] == 개요 == 2006년 [[뉴질랜드]] 국적의 피터 벡이 세운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이다. 발사체에 소형 인공위성이나 큐브샛을 실어 페이로드 발사 대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나, 실제 매출의 대부분은 개별 우주 부품 판매 부문에서 발생한다. 외주를 받아, 우주선, 우주SW, 통신, 바퀴, 기술 솔루션 등 개별 판매를 한다. 저렴한 로켓 개발비와 로켓 재사용을 기반으로 소형발사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발사대는 뉴질랜드와 버지니아에 위치해 있다. == 역사 == * 2006년 설립. * 2009년, "Atea-1"이라는 사운딩 로켓 발사 성공으로 남반구의 민간우주기업 최초로 우주에 진입한 회사가 되었다. * 2010년 12월, [[NASA]]와 큐브샛 발사를 위한 소형 발사체 개발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17년 5월 25일, 일렉트론(Electron) 로켓의 첫 발사가 이루어졌지만 224km 상공에서 통신이 원활하지 못해서 자폭시켰다. * 2018년 1월 21일, 일렉트론 로켓의 두번째 발사 (Still Testing)이 이루어졌다.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하였고, Planet Labs와 Spire Global의 큐브샛을 무사히 궤도에 올려놓았다. 이 로켓에는 Humanity Star라는 탑재체도 있었는데, 빛을 주기적으로 반사하는 작은 패널을 달아서 밤하늘에 관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 2021년 3월 1일, 중형발사체인 뉴트론(Neutron) 로켓의 개발 계획을 발표하였다. == 지배구조 == ||
{{{#fff '''주주명'''}}} || {{{#fff '''지분율'''}}} || || 코슬라 벤처스 || 15.6% || || 베세머 벤처스 || 11.9% || || 피터 벡 || 11.4% || || 퓨처 펀드 인베스트먼트 || 6.1% || || [[뱅가드그룹]] || 5.1% || || 애덤 스파이스 || 1.2% || ||<-2> 2023년 4월 DEF 14A 기준.[[https://d18rn0p25nwr6d.cloudfront.net/CIK-0001819994/f22f0aa1-cc56-46c6-be85-7c0be7e5c88d.pdf|#]] || == 발사체 == === Ātea-1 === (Ātea는 마오리족 언어로 우주라는 뜻이다.) Ātea-1 로켓은 사운딩 로켓이다. 길이는 6m이다. 2009년 말, 120km 상공에 2kg 화물을 운반할 예정이었다. 모든 게 순조로웠지만 탑재체와의 통신이 영 좋지 않아서 회수에는 실패했다. 그래도 로켓 자체의 회수는 성공하였다. 첫번째 발사 이후로 퇴역하였다. === [[일렉트론 로켓|Electron]] === [[일렉트론 로켓]] 문서 참조. === [[뉴트론 로켓|Neutron]] === [[뉴트론 로켓]] 문서 참조. [youtube(agqxJw5ISdk)] [[2021년]] [[3월 1일]] 개발계획이 공개된 로켓 랩의 차세대 중형발사체다. 구체적인 크기와 성능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영상에서 페어링의 크기를 공개하여 대략적인 목표 성능을 예상할 수 있다. 도시형버스 한 대를 탑재할 수 있는 크기의 [[팰컨 9]]보다는 페어링이 작으나 기존의 일렉트론보다 크기가 매우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10301005406/en/Rocket-Lab-Unveils-Plans-for-New-8-Ton-Class-Reusable-Rocket-for-Mega-Constellation-Deployment|기사]]에 따르면 뉴트론은 높이 40m에 4.5m의 지름을 가지는 크기로 제작될 예정이며, 지구 저궤도(LEO)에 8톤, 달 궤도(TLI)에 2톤, 화성과 금성으로 1.5톤의 화물을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스페이스X]]와 마찬가지로 장기적으로 독자 우주선을 개발해 [[국제우주정거장]]으로 화물과 사람을 운송할 계획이 있으며 해상 플랫폼 착륙이 예정되어 있다. [[2021년]] [[12월 2일]], [[https://youtu.be/7kwAPr5G6WA|공식 영상]]을 통해 추가적인 내용과 로켓의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동체는 전작인 [[일렉트론 로켓|Electron]]과 같이 탄소섬유를 이용해 만드며, 1단에 7개의 엔진이 장착되고, 페어링이 분리되는 방식이 아닌 1단부에서 열렸다 닫히는 방식이다.[* 즉 1단에서 페어링을 열고 2단 로켓이 그 안에서 발사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SpaceX]]처럼 페어링 회수를 위해 별도의 선박을 운용하는등의 노력을 줄일수있다.] 최초 발사는 미국 버지니아 주에서 [[2024년]]쯤에 이루어질 예정이다. == 발사장 == === Launch Complex 1 === [[파일:Still-Testing-8.jpg|width=500]] 뉴질랜드 마히아 반도에 위치한 발사장이다. 주변 경관이 매우 아름다워서 최고의 발사장으로 꼽힌다. 72시간마다 발사해서 30년동안 쓸 수 있는 발사장으로서 2016년 9월 26일에 열렸다. === Launch Complex 2 === [[파일:NSF-2020-04-30-00-08-43-187.jpg|width=500]] 미국 [[버지니아주]] 월럽스섬에 위치한 [[NASA]]의 Wallops Flight Facility에 있는 발사장이며 미 정부의 소규모 위성 임무 요구에 따라 만들어진 발사장으로 연간 최대 12개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 Launch Complex 3 === 미국 [[버지니아주]] 월럽스섬에 위치한 [[NASA]]의 Wallops Flight Facility안에 있는 2024년 완공예정인 발사장이며 [[로켓 랩|Rocket Lab]]의 [[뉴트론 로켓|Neutron]]의 전용 발사장으로 계획되어 있다. == 기타 == ||<-2>
[[파일:rocket-lab-vector-logo.png|width=100%]] || || '''{{{#ffffff 구 로고}}}''' || 2022년 2월 18일부로 로고가 변경되었다.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미국의 항공 우주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