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5e83 40%, #ffffff)" '''{{{#!html 록시 뮤직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0C0000>'''{{{#ffd700 이름}}}'''||<:><#0C0000>'''{{{#ffd700 록시 뮤직[br]ROXY MUSIC}}}'''||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0C0000>'''{{{#ffd700 멤버}}}'''||<:><#0C0000>'''{{{#ffd700 브라이언 이노,브라이언 페리,콜린 블런스톤,필 마젠에라,그레이엄 심슨,폴 톰슨}}}'''|| ||<:><#0C0000>'''{{{#ffd700 입성 연도}}}'''||<:><#0C0000>'''{{{#ffd700 2019년}}}'''||||}}}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1970년대 아티스트,순위=19)] ---- [include(틀:이브닝 스탠더드 선정 20대 영국 록밴드)] ---- }}}|| [include(틀:록시 뮤직)]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roxymusiclogo.png|height=50]] ||{{{#000 '''{{{+1 록시 뮤직}}}'''[br]{{{-2 Roxy Music}}}}}}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xymusicmembers.jpg |width=100%]]}}} || ||<-3> || || '''데뷔 싱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d9d1; font-size: .9em" [[Virginia Plain|{{{#4f96c0 '''Virginia Plain'''}}}]]}}} || || '''데뷔 앨범'''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d9d1; font-size: .9em" [[Roxy Music|{{{#4f96c0 '''Roxy Music'''}}}]]}}} || || '''멤버''' ||<-2>[[브라이언 페리]] ,,(리드 보컬, 키보드, 하모니카),,[br]앤디 맥케이 ,,(색소폰, 오보에),,[br]폴 톰슨,,(드럼),,[br]필 만자네라 ,,(리드 기타),, || || '''전 멤버''' ||<-2>[[브라이언 이노]] ,,(신디사이저, 1970 - 1973),,[br]에디 좁슨 ,,(신디사이저, 1973 - 1976),,[br]그레이엄 심슨 [br] 존 구스타프손 [br] 살 마이다|| || '''장르''' ||<-2>'''[[글램 록]]''', '''[[아트 팝]]''', [[팝 록]], [[신스 팝]], [[소피스티 팝]], [[뉴 웨이브]] || [목차] [clearfix] == 소개 == 리드 싱어이자 [[싱어송라이터]]인 [[브라이언 페리]][* 대표 솔로곡 중 Slave to love가 있다.], 색소포니스트 앤디 멕케이, 기타리스트 필 만자네라, 키보디스트 에디 좁슨, 드러머 폴 톰슨, 초기에 탈퇴한 [[브라이언 이노]]로 구성되었던 영국의 전설적인 [[글램 록]] 밴드이다. 록시 뮤직은 [[팝아트]]의 아버지이자 페리의 스승이었던 리처드 해밀턴의 미학의 영향하에서, 슈투룸 운트 드랑 시기의 카바레 음악과 1950년대의 미국 로큰롤과 [[신스 팝]]을 결합, '''화려하고 퇴폐적이며 지적인''' 음악을 추구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특히 영미권의 대중음악에 음악가 [[데이비드 보위]]와 비견되는 엄청난 영향을 끼쳤는데 보위에 비해 록시 뮤직은 더욱 [[문학]]적이고 [[문화]] 지향적이었던 탓에 유럽이나 북미가 아닌 [[대한민국]]에서의 지명도는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이다. [* [[텔레비전(밴드)]]의 리더 톰 벌레인이 내한 당시 [[장기하와 얼굴들]]에 대해 초창기 [[록시 뮤직]] 음악과 닮았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13090460864|링크]]] 20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글램 록]] 및 [[아트 팝]] 밴드로 간주되며, 이들의 비주얼과 사운드는 당대의 [[펑크 록]]뿐만 아니라 1980년대 이후의 뉴 로맨틱스 밴드들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음악적인 부분은 차치하더라도, 댄디한 [[웨일즈]]적 미남을 가리키는 표현인 'Tall, Dark and Handsome'의 대명사와도 같았던 브라이언 페리는 [[듀란 듀란]]과 [[디페시 모드]]를 위시해서, [[더 카스]], [[더 스미스]]의 [[조니 마]], [[펄프]]나 [[스웨이드]] 같은 뮤지션들의 [[롤 모델]]이었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 브라이언 페리)] 국내 대중 음악 팬들에게는 록시 뮤직의 8번째이자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인 Avalon(1982)에 수록된 '''More Than This'''[* 이와 곡명이 똑같은 해외 밴드의 싱글 곡이 여러 편이 있다.]와 '''Avalon'''이 친숙하게 노출된 곡이며, 전위적이며 유혹적인 보컬과 묘한 댄싱의 매력을 발산하는 브라이언 페리가 한국에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More Than This는 [[스칼렛 요한슨]]이 주연한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2003, 원제: Lost in Translation)' 삽입곡으로 더욱 인지도가 높아졌었다. 극 중에서 [[빌 머레이]]는 이 노래를 음치스럽게 부르는 장면도 나온다.] || [youtube(kOnde5c7OG8)] || [youtube(bpA_5a0miWk)] || == 디스코그래피 == === 스튜디오 앨범 === * [[Roxy Music]] (1970) * [[For Your Pleasure]] (1973) * Stranded (1973) * Country Life (1974) * [[Siren(록시 뮤직)|Siren]] (1975) * Manifesto (1979) * Flesh and Blood (1980) * Avalon (1982) === 라이브 앨범 === * Viva! (1976) * The High Road (1983) * Heart Still Beating (1990) * Concert Classics (1998) * Valentine (2000) * Concerto (2001) * Vintage (2001) * Ladytron (2002) * Reflection (2002) * Roxy Music Live (2003) [[분류:록시 뮤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