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롯데)] [include(틀:트립어드바이저 선정 한국의 베스트 호텔)] ||<-2> {{{+1 {{{#fff '''롯데호텔 부산'''}}}}}}[br]{{{#fff '''LOTTE HOTEL BUSAN'''}}} || ||<-2> [[파일:롯데호텔 로고(좌우).svg|width=100%]] || || '''호텔등급''' ||[[호텔#s-3.1|5성급 ★★★★★]] || || '''개관''' ||[[1997년]] || || '''규모''' ||지하 5층, 지상 43층, 650실 || || '''운영사''' ||㈜부산롯데호텔 || ||<|2> '''주소'''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롯데호텔 부산, 너비=100%, 높이=200px)]}}}||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772 ([[부전동(부산)|부전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earch.de.phinf.net/HI232767128.jpg|width=100%]]}}}|| || '''롯데호텔 부산 전경'''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772 ([[부전동(부산)|부전동]])에 있으며 [[롯데백화점 부산본점]]과 함께 붙어있다. 구 부산상업고등학교[* [[부산진구]] 당감동 화장터로 이전 후 2004년 [[일반계 고등학교]]로 전환하고 [[개성고등학교]]로 개명했다. 상당히 큰 규모의 부지를 자랑한다.] 부지를 사들인 다음 착공을 해 면세점은 [[1995년]] 개장, 호텔은 [[1997년]]에 개관하였다. [[그랜드코리아레저|세븐럭]] 카지노 등 부대시설도 있다. 건물 디자인의 경우 서울에 있는 롯데 본점을 본딴 것으로 보인다. 부산의 많은 호텔들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도심에 위치하여 외국인(특히 일본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온다.[* 물론 [[해운대구]] 같은 곳도 호텔이 많으나 시내와는 멀리 떨어져서(무엇보다 [[김해국제공항]]과 너무 멀다는 요인도 크다.) 부산 전체를 둘러보거나 업무 차원에서 온 사람은 이 호텔을 찾는 사람이 많다.][* 일본인들 대부분은 롯데가 일본 기업이라는 인식이 굳게 박혀서 한국 여행 시에도 호텔롯데를 애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토요코인]]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덕분에 여기에 붙어있는 [[면세점]]도 항상 매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서면역]]과 지하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나 거리는 다소 멀다. 다만 호텔 바로 앞에 버스 환승 정류장이 있다.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공식 호텔이기도 했다. 지분의 100%를 일본 롯데가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1988년 부전동 부지매입 당시에 취득세와 등록세를 합쳐서 세금으로 191억원을 냈어야 했지만 외국 법인이라는 이유로 '''외국인투자촉진법을 적용받아 세금을 면제받는다.''' 이후 1989년에 외국인투자촉진법이 폐지되지만 부산시 당국은 1991년에 롯데에 폐지된 이 법을 적용한다. 결과적으로 그 해에 롯데가 해당 부지에 대해 납부한 세금 총액은 '''종합토지세 2,900원과 재산세 80원에 불과했고''' 1989년부터 1991년까지 납부한 세금 총액은 '''4,970원에 불과했다.'''][[https://theimpeter.com/467/|#]] == 지배구조 == 2019년 5월 31일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롯데홀딩스 || 46.62%||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L제3투자회사[* 구 일본 롯데냉과 투자부문] || 20.57%||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L제12투자회사[* 구 일본 롯데리아홀딩스 투자부문] || 8.81%||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광윤사 || 6.83%||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L제7투자회사[* 구 일본 롯데애드 투자부문] || 6.43%||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L제9투자회사[* 구 일본 롯데데이타센타 투자부문] || 6.07%||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L제6투자회사[* 구 일본 롯데식품판매 투자부문] || 3.18%||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L제10투자회사[* 구 일본 롯데부동산 투자부문] || 0.91%||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L제2투자회사[* 구 일본 롯데상사 투자부문] || 0.57%|| == 역대 임원 == * 대표이사 * 호텔롯데 대표이사 겸임 (1984~1998) * 임승남 (1992~1997) * 손일권 (1998~2002) * 이종규 (2002~2006) * 홍희표 (2006~2007) * 김승웅 (2007~2010) * 이동호 (2010~2012) * 송용덕 (2012~2016) * 김성한 (2016~2020) * 서정곤 (2021~ ) * 총지배인 * 이인균 (1996~1998) * 김승웅 (1998~2006) * 김성한 (2012~2017) * 김부현 (2017~2019) * 이동주 (2019~ ) == 기타 == * 1998년에는 커피를 마시면서 통유리로 볼 수 있는 위치에 러시아산 [[호랑이]]를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19990614/7447349/1|전시한 바 있었다.]] 현재는 2세가 [[통도환타지아]]에서 지낸다. * [[수영장]]이 있으며 리모델링을 실시했다. 실내, 야외 수영장이 있으며 야외 수영장은 여름에만 개장한다. * 호텔 주변 골목길에 밤마다 [[포장마차]]가 들어선다. 포장마차 입구에 메뉴, 대표안주 등이 쓰여있어 입맛에 맞게 골라서 들어가면 된다. * 롯데호텔 부산의 경우 독립법인인 ㈜부산롯데호텔[* 전신은 1978년 설립된 롯데음향이며 1984년 건립계획을 위해 외자도입 승인 후 업종과 사명을 변경했다.]에서 운영하며 ㈜[[호텔롯데]]와는 별개인 회사이다. 그래서 면세점도 부산과 서울을 따로 운영했던 적도 있었다. * 2011년 [[더샵 센트럴스타]], 2014년에 [[BIFC]]가 지어지기 전까지는 서면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였기 때문에[* 지금도 부산진구 내에서는 2위, 서면에선 3위다.] 롯데호텔 옥상에는 언론사와 경찰청의 CCTV를 비롯한 여러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동서고가도로]] 진양램프를 비추지만 화재등 사건발생이 날 경우 고지대에서 사건현장을 바라볼 수 있기에 상당히 용이하게 활용되고 있다.[* 일례로 [[부산 부전동 오피스텔 주차타워 화재]] 당시 화재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했으며, 2023년 3월 20일에 발생한 수정산의 부속산인 팔금산 화재 역시 화재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했다.] 네이버와 다음 지도앱 역시 롯데호텔의 경찰청 CCTV 스트리밍이 가능하다. [[분류:호텔롯데]][[분류:호텔]][[분류:높이 100m 이상의 마천루]][[분류: 부산광역시의 마천루]][[분류:부산진구]][[분류:가야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