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미국 함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Long_Beach_(CGN-9)_entering_Subic_Bay.jpg]] [목차] == 개요 == [youtube(rAKrXevkJOw)] || USS Long Beach CGN-9 finished product.wmv || [[미 해군]]이 1959년에 건조한 원자력 [[순양함]]. [[위치타급 중순양함|사실 CGN-9 USS Long Beach 딱 1척만이 건조되었기에 롱비치'''급'''이라고 부르기에는 조금 애매하다.]] 미군이 건조한 원자력 추진 군함으로서 소련의 [[키로프급]]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또한 소련의 대함 미사일 러시에 대한 대항에 큰 역할을 하게 될 4면 고정 위상배열 레이더 탑재 방공함의 원조이기도 하니 여러모로 굉장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 함선이라고 할 수 있다. 저 거대한 크기의 함교에 1면마다 세로 직사각형, 가로 직사각형 형태의 [[위상배열 레이더]]가 꽉 차게 설치되어있었다.[* 롱비치와 엔터프라이즈의 함교가 저렇게 큰 이유가 바로 이 레이더 '''어레이 안테나''' 사이즈에 딱 맞게 설계되었기 때문.] 이 레이더는 엔터프라이즈급 항공모함에도 탑재된 AN/SPS-32/33[* SPS-32는 탐색 레이더, SPS-33은 추적 레이더로 구성]으로, 당시 기술의 한계로 함대방공이 가능한 위상배열 레이더가 저 정도 크기는 되어야 했던 모양. 저 무식한 크기가 아주 삽질은 아니었는지 롱비치함의 방공 능력은 그닥 나쁘지는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이 레이더 자체는 전설적인 신뢰성을 자랑(?)했는데 얼마나 고장이 잦았는지 고장난 상태가 '정상'이고 고장이 나지 않은 상태가 '비정상'으로 보였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이 때문에 같은 레이더를 설치한 엔터프라이즈에서는 이 레이더를 함선 전체의 전투 시스템과는 연결시키지 않았는데, 자칫 전투 시스템까지 망가뜨려서 항공모함 전체가 깡통이 될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력도 엄청나게 소비해서 애초에 원자력 추진함인 롱비치급이 아니면 설치가 곤란할 지경이었다. 결국 1980년에 AN/SPS-32/33은 철거되고 종래에 사용되던 AN/SPS-48/49 레이더로 교체했다.[* 본 문서 상단의 사진이 철거된 이후의 사진이다. 함교 위 마스트에 있는 사각형 어레이가 AN/SPS-48, 후방 마스트의 좌우로 긴 파라볼라 안테나가 AN/SPS-49이다. AN/SPS-32는 함교의 저 매끈한 부위에 전방 기준 우현[* 즉 4면이 가운데 기준에서 약간 시계방향으로 옮겨 달려있다. AN/SPS-33은 반대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조금 치우쳐 있다.] 쪽에 상하로 길고 좌우로 좁은 형태, AN/SPS-33은 전방 기준 좌현쪽에 좌우로 길게 생긴 사각형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어 함교 4면에 각각 붙어 있었다.] 롱비치급은 모습을 딱 봐도 알 수 있듯이 엄청난 대두라 함 균형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고, 저 정도 크기의 함선에 원자력이 그닥 적합하지도 않았다. 위에 언급한 AN/SPS-32/33 레이더 때문에 전력 자체는 많이 필요했지만, 그것만을 위해서 원자력 추진 체제를 탑재하기에는 비효율적이었다. 결국 효율성은 이래저래 꽝이었기에 2번함이 건조되지는 않았다. 말 그대로 위상배열 레이더 방공함의 시험용 정도. 다만 USS 롱비치는 배치된 이래 [[베트남 전쟁]]에서 탈로스 미사일로 적기인 [[MiG-17]]을 격추시키는 전과를 올리거나, [[걸프전]]에도 참전하는 등 이래저래 쓰이며 1995년에야 퇴역했다. 이후 이래저래 여러 순양함이 배치되다가 최초의 이지스함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까지 계보가 이어진다. 함체(Hull) 측면에도 특이사항이 있는데, 롱비치급은 항양성과 속도를 중시하여 세장비가 매우 긴 전형적인 미국 순양함 함형으로 건조된 최후의 함정이다. 롱비치 이후로 취역한 '순양함'들은 기존의 볼티모어급, 오리건시티급 중순양함을 개수한[* 참고로 알바니급의 전전전전(...)함급이자 미 해군 최초의 미사일 순양함인 보스턴급 미사일 순양함도 볼티모어급을 개수한 함선이었다.] [[알바니급 순양함|알바니급]]을 빼면 전부 그냥 뻥튀기된 구축함 함형으로 건조되었다. 예를 들어 버지니아급은 애초부터 선도구축함(Destroyer Leader)으로 건조되었다가 미 해군 분류체계의 변경으로 헐 넘버만 DLGN에서 CGN로 바뀐 것이고, 타이콘데로가 같은 경우는 애초에 구축함인 스프루언스의 함체에 이지스 레이더를 얹고나니 배수량이 너무 커져 순양함으로 재분류(DDG-47 → CG-47)한 것이다.[* 이 때문에 미 해군의 CG 헐넘버는 CGN-42 이후 43~46을 건너뛰고 바로 CG-47 타이콘데로가로 이어진다. 이는 타이콘데로가가 DDG-47이었다가 헐 넘버를 그대로 유지한 채 CG로 함종 분류를 변경한 결과.] 물론 미국의 경우 기존 구축함들도 9~10:1의 세장비를 가지고 있었기에 함형이 구축함형태가 되긴했지만 10:1에 가까운 세장비는 타이콘데로가급 까지 유지되었다. 이후 미 해군 최초로 세장비가 7.5:1로 낮아진 대형 전투함이 바로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이다. 한때 이지스화 개장과 더불어 [[Mark 71 8인치 55구경장 대구경 경량 함포]]를 장착하려는 생각도 했었다고 한다. == 제원 == ##지명이기 때문에 띄어쓰기는 하지 않는다. ||<-3> {{{#fff {{{+1 '''롱비치'''}}}[br]''Long Beach''}}} || ||<-2> '''이전급''' ||[[프로비던스급 순양함|프로비던스급]] || ||<-2> '''다음급''' ||[[알바니급]] || ||<-2> '''표준배수량''' ||15,540톤 || ||<-2> '''만재배수량''' ||17,525톤 || ||<-2> '''전장''' ||219.84m || ||<-2> '''전폭''' ||21.79m || ||<-2> '''흘수''' ||9.32m || ||<-2> '''승조원''' ||1,160명 || ||<-2> '''출력''' ||80,000SHP || ||<-2> '''최고 속력''' ||30노트 (약 56km/h) || ||<|3> '''동력''' ||<|2> '''기관''' ||C1W [[원자로]] × 2기 || ||[[제너럴 일렉트릭]] 터빈 × 2기 || || '''추진''' ||2축 [[프로펠러]] || ||<|7> '''레이더''' || '''대함''' ||AN/SPS-10 || ||<|2> '''대공''' ||AN/SPS-48[*3차원식] || ||AN/SPS-49[*2차원식] || || '''방위''' ||AN/SPS-32 || || '''추적''' ||AN/SPS-33 || ||<|2> '''사격통제''' ||AN/SPG-49 × 2기[* RIM-8 탈로스 전용] || ||AN/SPG-55 × 4기[* RIM-2 테리어 전용] || || '''소나''' || '''탐색/공격''' ||AN/SQS-23 || || '''전자전''' || '''교란체계''' ||AN/SLQ-32 || ||<|6> '''무장''' ||<|2> '''대공''' ||2연장 [[RIM-2]] 테리어 → [[SM-1|RIM-67]] 스탠더드 ER [[대공 미사일]] 발사대 × 2기 || ||2연장 [[RIM-8]] 탈로스 발사대 × 1기 → [[BGM-109 토마호크|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발사대 × 2기[* 박스형으로, 총 8발 탑재했다.] || ||<|2> '''대잠''' ||8연장 [[RUR-5 ASROC]] 발사대 × 1기 || ||3연장 324mm Mk.44 및 [[Mk.46 경어뢰]] 발사관 × 2기[* 이후 8발의 [[하푼]] [[대함 미사일]]도 어뢰 발사관으로 운용하게 됐다.] || || '''함포'''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 2문 || || '''CIWS''' ||[[팰렁스]] × 2기 || ||<-2> '''탑재 헬기''' ||1기 || == 현재 == [[파일:롱비치 몸통.png]] 2005년에 브레머튼에서 발견된 상부 구조물이 철거된 롱비치이다. [[파일:화질좋은 롱비치.png]] 2010년에 찍힌사진에서는 확실히 롱비치의 선체임을 알 수 있다.[* 선수부분과 길쭉한 선체.] [[파일:현재롱비치.png]] 2020년에도 조각난 형태로 살아있음을 확인. == 관련 항목 == * [[해상 병기/현대전]] * [[순양함/배수량별 목록]] * ~~[[후소급 전함]]~~[* 후소급도 상부 구조물(정확히는 함교)의 높이가 대단해 함선 균형이 문제가 된 경우다.] * [[류조(항공모함)]][* 류조도 마찬가지로 하부(선체)에 비해 상부(갑판, 함교, 격납고)가 매우 높아 문제가 매우 많았다] [[분류:순양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1961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