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onatics Unleashed'''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Loonatics_titulo.jpg]] [목차] == 소개 == [[워너브라더스]] 자체 제작 애니메이션으로 2005년부터 2007년까지 Kids' WB라는 채널에서 방영했다. [[루니 툰]] 캐릭터에 모티브로 해서 만든 [[SF]] 애니메이션. 샌더 슈와르츠가 제작하고, [[톰 루거]]가 작가 자문 의원을 맡았다. == 배경 == 서기 2772년, 애크미트로폴리스[* 가상의 기업 [[애크미 주식회사]]에서 따왔다.]에 유성이 떨어졌다. 어쩐 일인지 도시가 파괴되는 대신 주인공 6명이 초능력을 가지게 되고, 자바디아라는 의문의 여성이 그들을 모아 루나틱스라는 팀을 만들게 된다. 이 주인공들은 모두 클래식 루니 툰 캐릭터들의 후손들이다. 악역들 중에도 루니 툰 캐릭터들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많다. == 캐릭터 개요 == === 에이스 버니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Loonatics_sword_defense.jpg|width=600]] 성우는 찰스 슈레터 루나틱스의 리더이자 [[벅스 버니]]의 후손. 초능력을 갖기 전에는 영화의 스턴트맨으로 활동했으며, 팀에서 유일하게 무술을 익혔다. 벅스 버니의 후손이어서인지, 자신의 적을 놀리거나 말장난하는 걸 좋아하며, 말버릇은 벅스 버니와 같은 'What's up, doc?'. [[눈에서 빔|눈에서 레이저]] [[사이클롭스(마블 코믹스)|빔을 쓸 수 있으며]] 가디언 스트라이크 소드라는 검을 주 무기로 사용한다. 이미지 컬러는 노란색. === 렉시 버니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Ordinance_1.jpg|width=600]] 성우는 제시카 디치오 루나틱스의 홍일점으로 [[롤라 버니]]의 후손으로 원래 대학에서 치어리더로 활동했다. 작중에서 귀로 초음파 광선을 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미지 컬러는 분홍색. === 데인저 덕 === [[파일:external/editthis.info/Danger_Duck.jpg|width=600]] 성우는 제이슨 말스덴 [[대피 덕]]의 후손으로 능력을 가지기 전까지는 수영장에서 일했다. 루나틱스 내에서 대우가 대피 덕 마냥 가장 좋지 않기에 에이스 버니에게 열등감을 가지고 있다. 순간이동 능력과 끈끈이를 발사할 수 있다. 이미지 컬러는 주황색. === 슬램 태즈매니안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Food_1.jpg|width=600]] 성우는 [[케빈 마이클 리처드슨]] [[태즈(루니 툰)|태즈매니안 데빌]]의 후손으로 조상처럼 강력한 스핀을 할 수 있다. 여담이지만 레브와 테크가 조상과 달리 말을 할 수 있는데 반해 이쪽은 제대로 못하며 지능도 물려받은 듯. 그래도 일행원 중에 힘은 가장 세다. 이미지 컬러는 보라색. === 레브 러너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Untitled00080.png|width=600]] 성우는 [[롭 폴슨]][* 성우가 성우인지라 롭 폴슨 본인이 맡았던 [[거북이 특공대]] 시절의 [[라파엘(닌자 거북이)|라파엘]]과 목소리 톤이 유사하다.~~어쩌면 노린 걸지도~~] [[로드 러너(루니 툰)|로드 러너]]의 후손으로 굉장히 말이 빠르다. 능력은 조상처럼 [[플래시|빠르게 달리기]] 이미지 컬러는 빨간색. === 테크 E. 코요테 === [[파일:external/orig04.deviantart.net/tech_e__coyote_from_loonatics_unleashed_by_apmaddog-d4ubxih.png|width=600]] 성우는 [[케빈 마이클 리처드슨]] [[와일 E. 코요테]]의 후손으로 루나틱스의 인텔리 [[공돌이]]. [[매그니토|쇠로 된 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고,]] 몸이 재가 되어버려도 자가 복구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조상인 코요테가 로드 러너와 앙숙이었던 것에 비해, 테크와 레브는 사이가 좋다. 이미지 컬러는 연두색. == 에피소드 == 총 26개의 에피소드로 시즌 1, 2로 나뉘며 2007년 5월 5일에 마지막 에피소드를 끝으로 종영되었다. === 시즌 1 (2005-06) === ||
'''화수''' || '''제목''' || '''방영일시''' || '''비고''' || || S01E01 || Loonatics on Ice || 2005.09.17 || || || S01E02 || Attack of the Fuzz Balls || 2005.09.24 || || || S01E03 || The Cloak of Black Velvet || 2005.10.01 || || || S01E04 || Weathering Heights || 2005.10.08 || || || S01E05 || Going Underground || 2005.10.29 || || || S01E06 || The Comet Cometh || 2005.11.05 || || || S01E07 || The World is My Circus || 2005.11.12 || || || S01E08 || Stop the World, I Want to Get Off || 2005.11.19 || || || S01E09 || Sypher || 2005.11.26 || || || S01E10 || Time After Time || 2006.02.11 || || || S01E11 || The Menace of Mastermind || 2006.02.18 || || || S01E12 || Acmegeddon Part I || 2006.05.06 || || || S01E13 || Acmegeddon Part II || 2006.05.13 || || === 시즌 2 (2006-07) === ||
'''화수''' || '''제목''' || '''방영일시''' || '''비고''' || || S02E02 || A Creep in the Deep || 2006.09.30 || || || S02E03 || I Am Slamacus || 2006.10.07 || || || S02E04 || The Heir Up There || 2006.11.04 || || || S02E05 || The Family Business || 2006.11.11 || || || S02E06 || Cape Duck || 2006.11.18 || || || S02E07 || The Hunter || 2007.02.03 || || || S02E08 || It Came From Outer Space || 2007.02.10 || || || S02E09 || Apocalypso || 2007.02.17 || || || S02E10 || In the Pinkster || 2007.02.24 || || || S02E11 || The Music Villain || 2007.03.03 || || || S02E12 || Planet Blanc: The Fall of Blanc (Part I) || 2007.04.28 || || || S02E13 || Planet Blanc: In Search of Tweetums (Part II) || 2007.05.05 || || == 평가 == >몇가지 작품들은 제외했습니다, 왜냐면 받을만한 반응을 받았으니까요. '''루나틱스 언리시드는 망했고...''' > >[[Nostalgia Critic]] - Looney Tunes Show: Good or Bad?- 루니 툰 팬들의 반응을 재현할때. 방영 당시에는 평가가 좋지 않았다. 일단 루니 툰의 후속으로 제작되었는데 너무 원작과 괴리감이 컸다. 기존 루니 툰은 가벼운 옴니버스 코미디였는데 반해 이것은 액션 히어로물처럼 정극으로 제작된데다, 캐릭터 디자인은 [[파워레인저]]와 [[배트맨 비욘드]]를 다분히 의식한 듯한 모습으로 원본과 상당히 이질적이다. 예를 들자면, [[톰과 제리]]가 미래식 슈트를 입고, 어두컴컴한 미래 도시를 배경으로 서로 레이져 총싸움을 하게 만들었다고 생각해보자. 그나마 초반부는 세기말을 연상시키는 어둡고 황폐한 분위기였지만 중반쯤에 들어와서는 루니툰 특유의 유쾌한 분위기가 어느 정도 첨가되었다. 그리고 방영 연령층을 잘못 잡았다.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ce_Bunny.jpg|width=600]] [[파일:external/orig07.deviantart.net/evil_eyes_2_by_20010.jpg|width=600]] 문제의 눈으로 주인공들이 능력을 쓸때 눈이 저렇게 된다. 아동들에게 무섭게 느껴졌다고 하며, 심지어 학부모들이 항의를 하는 사태까지 이어지게 만들었다. 본래는 배트맨 TAS처럼 청소년층을 타겟으로 했다. 그러나 루니 툰 캐릭터는 전부터 대부분 아동들 또는 성인 매니아층을 상대로 방영했었다는 걸 생각해 보자. 게다가 루나틱스 언리시드를 방영하기 전에 유아용 애니메이션 베이비 루니 툰을 방영하고 있었다. '''당연히 청소년들은 베이비 루니 툰 마냥 유치하다고 생각해 이걸 안 보고, 저연령층들은 기존에 방영하던 베이비 루니 툰 후속작인 줄 알고 봤다.''' 결과는 학부모들의 항의와 흥행 실패. [* 워너브라더스 애니메이션의 사장 샘 레지스터에 따르면 루나틱스 언리시드의 주인공들이 모두 나오는 프레임이 영구박제 되어 회사 복도에 반면교사로 걸려있다고 한다.] 여파가 컸는지 루나틱스 언리시드 이후 2011년에 루니 툰 쇼가 제작되기 전까지 한동안 루니 툰 스핀오프가 나오지 못했다. 그래도 지금 보자면 기존의 고착화된 코미디에서 액션물로 파격적인 시도를 했다는 게 재평가 받고 있다. 각 에피소드도 꽤나 볼만한게 많은 편이고, 몇몇 에피소드들은 그럴싸한 반전요소들도 있다. 또한 원작팬들에게 향수를 느낄 수 있고 여러 가지 오마주 요소들도 있는 편. 훗날 루니 툰 쇼가 시스콤이라는 이도저도 아닌 장르 변경과 지나친 캐릭터성 변경[* 벅스와 대피는 사회에 찌들고 우울한 성격으로 변했고, 특히 롤라는 스페이스 잼의 모습은 어디가고 얀데레같은 성격으로 변질되어 올드팬들에게 엄청난 혹평을 받았다.]으로 시대를 뒤쳐져 흥행 실패로 망해버렸고[* 다만 작품 자체는 크게 나쁘지는 않은 편이라 해당 작품의 평가는 좋은 편에 속하며 현재는 관련 밈들도 올라올 정도로 다시금 인지도가 올라오고 있다.], 뉴 루니툰 쇼는 기존의 슬랩스틱 코미디와 병맛은 챙겼지만 얇은 그림체와 외모에서 혹평을 받아 루니 툰 팬들에게 루나틱스 언리시드의 주가는 더더욱 올라갔다. 지금도 캐릭터성 자체는 매력적이라 아군 6인방 루나틱스 팬아트가 나오는 편이며, 특히 주인공과 히로인인 에이스와 렉시의 인지도가 높다. [[HEROMAN]]처럼 캐릭터 자체는 괜찮지만 스토리나 전개 부분에서 망해버린 케이스다. == 관련 항목 == * [[루니 툰]] * [[워너 브라더스]] [[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SF 애니메이션]][[분류:톰 루거 참여 작품]][[분류:루니 툰]][[분류:2005년 애니메이션]][[분류:2007년 종영]][[분류:워너 브라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