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200907161945144b1.jpg]] '''ルドルフ・ハイトマン''' / '''Rudolph Heitmann'''[* 이름 '하이트만'의 뜻은 황야의 사람이라는 뜻인데, 성 '[[루돌프]]'가 서양에서 부정적인 방향으로 굵직한 사건들을 일으킨 유명인들이 많아 [[DQN 네임|작정하고 악역에 어울리게 만든 이름]]이다.] [목차] == 개요 == [[유희왕 5D's]]의 등장인물. 성우는 [[카와하라 요시히사]] / [[방성준]] / [[숀 셰멀]][* 일미 성우 둘다 전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매드 독 이누카이]]를 담당했다.] [[듀얼 아카데미아]] [[네오 도미노 시티]] 지부의 교감.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전작]]의 [[크로노스 데 메디치|아카데미아 교감]]처럼 열등생들을 무시하는 인물로, 낮은 레벨의 몬스터를 대놓고 쓰레기 취급하고 단순히 상급 몬스터의 서포트를 위한 제물로만 보는 경향도 있다. == 작중 행적 == >'''"듀얼리스트의 능력이 낮으니까, 저레벨 몬스터밖에 안쓰는 겁니다."''' [[유희왕 5D's/일상생활 편|일상생활 편]] 67화에서 등장. 열등생들이 잔뜩 모인 [[루카(유희왕)|루카]]와 [[루아(유희왕)|루아]]의 반을 쓰레기 취급하고 있었으며, 단체로 퇴학시켜 듀얼 아카데미아의 평균을 올리려고 했다. 이 사정을 알게 된 [[이자요이 아키]]가 공개적으로 항의를 하던 와중, 그 직후 교장 선생의 수리 의뢰를 받고 찾아온 [[후도 유세이]][* 팀 5D's는 당시 WRGP 참가를 위한 자금을 모으고 있었다. 크로우는 개인 택배를, ~~[[잭 아틀라스|전 킹]]은 [[잉여]]가 되고~~ 유세이는 각종 기계를 고치는 일을 부업으로 삼는 중이었다.]를 마주하게 된다. 유세이에게 수리를 의뢰한 교장은 '고쳐야 하는 게 기계가 아니다.'라며 말 끝을 흐렸는데, 그 대상이 다름아닌 하이트만이였던 것. 이내 사정을 파악한 유세이와 듀얼을 치르게 되었다. 후공 첫턴부터 [[앤틱 기어/OCG화 되지 않은 카드#앤틱 기어 스태추|앤틱 기어 스태추]] - [[기계 복제술]] 로 [[앤틱 기어 골렘]] 3마리를 불러내 총공격을 시도했으나[* 첫 패에 앤틱 기어 골렘 3장이 있었다. 다시 말해, 스태추가 없었으면 그야말로 [[하노이의 기사|완벽한 패]]였다.], 유세이는 [[튜너즈 베리어]]의 효과를 적용한 [[가드 오브 플레임벨]]로 막아내버린다. 그 다음은 레벨 썬더로 데미지를 줘서 [[원턴 킬]]을 하려 들었으나 이번에는 유세이의 [[날개 와타]] 효과에 의해 효과 데미지가 막히면서 끝내 원턴킬은 실패. 다음 턴에 [[익센트릭 보이]]와 터릿 워리어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소환한 후에 [[버라이어티 아웃]]으로 분해하고 사용한 튜너즈 봄으로 앤틱 기어 골렘 3마리가 날라가버리면서 3000 데미지를 받은 후에 [[데브리 드래곤]]의 직접 공격을 맞고 역으로 [[원턴킬]] 당하며 패배했다.[* 스타더스트 분해 후에 유세이를 이해 못한다는 듯이 답답해하다가 깨닫게 되는데, 루카네 반을 조롱할때 훑어보던 데이터베이스에 나온 몬스터들이 전부 특수 소환되었기 때문이다. 자기가 욕하고 있던 몬스터들한테 된통 당한 셈.][* [[날개 크리보|필드 클린 후]] [[진화하는 날개|효과데미지 3000]], 그리고 [[엘리멘틀 히어로 페더맨|공격력 1000의 몬스터]]로 다이렉트 어택을 가해 승리하는 듀얼로그는 [[유우키 쥬다이]] vs [[만죠메 쥰]] 실기시험의 오마주로 보인다.] 패배 후에는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교장의 뜻에 따라 루카의 반을 퇴학시키는 것은 없었던 일로 하기로 했다. == 평가 == [[앤틱 기어]] 덱을 쓰는 것도 그렇고, 열등생을 깔보다 못해 내쫓으려 드는 모습도 그렇고, 컨셉이나 하는 것부터가 모두 전작의 [[크로노스 데 메디치]] 교수가 초반에 보여주었던 모습의 판박이다. 거기다 "저레벨의 몬스터를 쓰는 건 저급 듀얼리스트다", "저레벨 몬스터는 고레벨 몬스터의 소재가 되기 위해서나 쓰이는 거다"라는 식의 발언을 해대기까지 한다. GX 이후 시대가 꽤 지난 작중 시점으로 보면 그의 태도는 사뭇 시대착오적이기까지 한 수준으로, 결국 '쓸모없는 카드란 없다'는 사상을 가진 [[후도 유세이]]에 의해 듀얼로 반박되었다. 애니를 떠나 실제 듀얼 환경으로도 싱크로 소환이나 엑시즈 소환 등에는 저레벨 몬스터가 더 선호된다. 고레벨 몬스터는 어드밴스 소환이나 특수 소환으로 불러와야 해서 필드 전개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 대표적으로 [[정룡]]과의 시너지 때문에 선호되었던 [[No.11 빅 아이]]는 정룡 출시 이전엔 그 미쳐돌아가는 소환난이도 때문에[* 레벨 8의 경우 트레이드 인 같은 카드가 있어 소환 조건이 없는 몬스터를 묘지에 묻어뒀다가 꺼내오면 되기에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레벨 7은 [[펜듈럼 소환]]과 [[오드아이즈]] 계열이 나오기 전까지는 불러오기 꽤 힘들었다.] 어마무시하게 좋은 효과에도 불구하고 그저 장식카드였다는 점이 있다. 또한 [[링크 소환]] 시대엔 와선 [[드라코넷]]의 존재로 오히려 루돌프가 무시한 카드들이 현시대의 가장 무서운 카드가 되었다. 무엇보다 덱 자체에 하급 몬스터밖에 안들어가는 티어덱이 많이 늘었다. 대표적인 예시가 '''[[섬도희]]''',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무엇보다 본인이 썼던 [[앤틱 기어]]도 요즘은 저레벨 몬스터[* [[앤틱 기어 하운드독|하운드독]], [[앤틱 기어 프레임|프레임]], [[앤틱 기어 와이반|와이번]] 등의 신규 저레벨 몬스터들의 효과가 유용한 점도 크게 작용했다.]의 비율을 늘리고 고레벨은 융합이나 기어 타운 특소로만 쓴다. 사실 2022년 기준 환경으로 굳이 얘기를 안하더라도, [[파이브디즈]]가 방영할 당시에 이미 [[습지초원]], [[전지맨]] 같이 로우레벨 비트덱들도 굉장히 강했다. 오히려 이런 덱들은 [[레벨 제한 B구역]] 같은걸 써서 고레벨 몬스터의 공격을 차단했다. == 기타 == [[유희왕 태그 포스]]에서는 GX 시즌의 [[카바야마]] 사감을 이어, 제비뽑기를 맞출 경우 일러스트가 다른 카드를 주는 역할로 등장한다. 3기의 인물이지만 초반에 등장했기에 2기의 내용을 다루는 DS용 게임 [[유희왕 5D's 리버스 오브 아르카디아]]에도 클리어 후 필드에 등장하는 식으로 특별 출연한다. 그러나 그에 관련된 스토리 같은 건 없고, 그냥 팩 개방 조건을 채우기 위한 듀얼 상대일 뿐이다. == 사용 카드 == === OCG화된 카드 === * 효과 몬스터 * '''[[앤틱 기어 골렘]]''' × 3 * 마법 카드 * [[기계 복제술]]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효과 몬스터 * [[앤틱 기어/OCG화 되지 않은 카드#앤틱 기어 스태추|앤틱 기어 스태추]] × 3 * 마법 카드 * 레벨 썬더 ==== 레벨 썬더 ==== [[파일:LevelThunder-OW.png]] || 한글판 명칭 ||'''레벨 썬더'''|| || 일어판 명칭 ||'''レベル・サンダー'''|| || 영어판 명칭 ||'''Level Thunder'''|| ||<-2> 일반 마법 || ||<-2>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의 레벨 합계×100 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분류:유희왕 5D's/등장인물]]